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A+, 소아과병동, 급성 기관지염, 간호과정 3개)

목차

Ⅰ. 문헌고찰
1. 해부생리
2. 정의
3. 원인
4. 증상
5. 진단
6. 치료
7. 경과

Ⅱ. 간호사정
1. 일반적 정보
2. 병력
3. 건강력
4. 진단 검사
5. 투약력
6. 입원 중 경과 및 처치
7. 기타 척도

Ⅲ. 간호과정
1. 우선순위 선정
2. 간호과정
# 진단 ①
# 진단 ②
# 진단 ③

Ⅳ. 소감 및 비판적사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Acute Bronchitis
1. 해부생리
기관지는 두 개의 주기관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측 주기관지는 좌측 주기관지에 비해 굵고 짧으며, 수직축에서 25˚정도의 각도로 경사가 급해 흡인이 용이하다. 우측 주기관지와 좌측 주기관지는 각각 세 개의 엽기관지(상, 중, 하)와 두 개의 엽기관지(상, 하)로 분지한다. 엽기관지는 다시 구역기관지로 분지되며 체위배액과 흉부 물리요법을 적용할 수 있는 기관지이다. 구역기관지는 소기관지를 거쳐 세기관지로 분지된다.

2. 정의
급성 기관지염은 목을 통해 폐로 이어지는 기도, 기관에 바이러스, 세균 등의 병원균이 침입하여 급성 염증이 발생한 상태를 의미한다.

3. 원인
급성 기관지염의 주된 원인은 상기도 감염과 마찬가지로 항상 독감, 감기와 같은 바이러스지만, 세균성 감염, 연기, 먼지, 화학적 자극물로 인해 급성 기관지염이 유발될 수 있다.

4. 증상
기관에 염증이 생기면서 점막이 붓고 점액이 분비된다. 이로 인하여 가슴통증, 미열, 기침, 가래, 두통, 인후통이 유발되며 호흡곤란이 발생하면서 호흡 시 천명음, 수포음이 들릴 수 있다.

5. 진단
증상을 통해 진단할 수 있어 기본적인 문진 및 신체검진 외에 추가적인 진단검사가 필요하지 않으나 급성 기관지염의 증상은 경증의 폐렴과 매우 유사하여 기관지염이 폐렴으로 진행되는 일부의 경우엔 감별 진단을 위해 흉부 X-ray촬영이 필요하다. 다음의 경우 폐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흉부 X-ray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 노인인 경우
○ 심한 통증을 동반한 경우
○ 고열과 함께 호흡이 빠른 경우
○ 만성 폐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6. 치료
급성 기관지염은 대부분 바이러스성 감염이기 때문에 증상 조절을 위한 약물 이외에 추가적인 치료는 보통 필요 없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대부분 자연히 호전된다. 일부 세균성 감염의 경우 증상이 심하다면 항생제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