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크환자 간호(종류, 방법 등)

목차

쇼크 환자 간호
1. 쇼크의 단계
1) 보상단계
2) 보상 부전 단계
3) 비가역적단계

2. 쇼크의 종큐
1) 저혈량성
– 출혈성 쇼크
– 체액손실로 인한 쇼크
2) 심장성 쇼크
– 패혈성 쇼크
– 신경성 쇼크
– 아나필락틱 쇼크
3) 병태생리
– 호흡기계
– 심혈기계
– 신경, 내분비계 변화
– 소화기계
– 콩팥계
4) 일반적 증상
5) 약물 요법
6) 치료
– 에크모ECMO
– 대동맥내 풍선펌프 IABP
– 체위
– 체온조절
– 간호: 비침습적 사정, 침습적 사정

본문내용

쇼크는 원인이나 임상증상에 따라 저혈량성(Hypovolemic), 심장성(CArdiogenic), 분배성(distributive)로 분류된다.

① 쇼크의 단계
쇼크의 단계는 보상, 보상부전, 비가역 세가지로 나뉘게된다.

(1) 보상단계
시작은 대동맥동과 경동맥동에 있는 압력수용기가 MAP보다 지속적으로 10mmHg 하강했을때이다. 심박출량의 저하로 모세혈관으로 가는 혈액순환이 저하되면 혈액의 정수압이 저하된다. 정수압이 주변조직보다 낮아지면 체액은 압력이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흐르므로 전신순환량은 증가된다. 심박출량이 감소되면 교감신경 자극으로 혈압이 유지된다. 따라서 초기단계에는 심박출량이 많이 저하되더라도 혈압은 정상으로 유지된다.

<중 략>

ⓐ 패혈성 쇼크: 세균감염으로 세균에서 유리된 내독소의 작용에 의해 전신 혈관이 확장, 혈압 저하 발생, 산소부족, 심박출량 감소로 쇼크가 발생됨. 원인균으로 그람음선균,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이 있으며 환자의 영양실조, 면역억제, 광범위한 개방상처, 위장관계 병변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음.
– 초기에는 보상작용에 의한심박출량 증가로 과도한 혈관이완으로 건조하고 따뜻한 피부, 홍조를 띰(Early shock), 쇼크 진행 시 심근억제인자 유리, 정맥귀환향이 감소되어 피부창백, 차고 축축하며 얼룩덜룩해짐(Late shock)인 나타나는데 체온이 저하되고 폐에서 악설음, 천명음이 청진되며 2차적으로 폐울혈이 나타남.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