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문헌고찰
1. 질환의 정의 및 종류
2. 임상증상
3. 진단적 검사
4. 치료 및 간호
5. 합병증 및 예후
Ⅱ. 응급실 환자 사례보고서
1. 사례(문제 진술)
2. 병력수집
3. 신체사정
1) 1차 사정
2) 2차 사정
4. 진단검사
1) 지혈검사
2) 혈액화학검사
3) 혈액학 검사
4) 방사선검사
5) 위내시경
5. 응급치료 및 간호계획
1) 약물
2) 응급 처치 및 간호
3) 경과(평가)
4) 핵심기본 간호술 달성 여부
Ⅲ. 실습소감
1. 지식 및 기술측면
2. 대인관계 측면
3. 윤리적 측면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진단명 또는 의증 : AGE(acute gastroenteritis)
1. 질환의 정의 및 종류
1) 정의
급성 위염 ·장염이 동시에 일어나는 증세로 각각 독립적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대개의 경우 위염 ·장염이 동시에 발병되면서 하나의 병상을 나타낸다.
2) 종류
종류
특성
① 포도상구균 급성 위장염
– 기온이 높고 습한 여름철에 잘 걸림.
– 상한 어패류나 고기 가공품, 도시락, 슈크림 등을 먹고 4시간 이내에 증상 나타난다.
– 갑자기 구역질을 하면서 먹은 음식을 토하고 물 같은 설사한다.
– 대부분 증상이 가벼워 반나절이나 하루 정도 지나면 괜찮아진다.
② 보툴리누스균 급성 위장염
– 보툴리누스균이 들어 있는 햄, 통조림 따위를 먹고 나서 8~35시간 지난 후 증상 나타난다.
– 배가 몹시 아프고 구토와 설사한다.
– 근육이 마비되는 증상도 일어난다.
– 예전에는 사망률이 높은 병이었으나 최근에는 식품을 위생적으로 보관, 관리해 발생률이 많이 감소하고 있다.
③ 살모넬라균 급성 위장염
– 가장 흔히 걸리는 급성 위장염으로 여름부터 초가을까지 많이 발생한다.
– 살모넬라균에 오염된 달걀, 고기 가공품 등 먹고 나서 12~24시간 지난 후 증상 나타난다.
– 발열, 구토, 설사를 하고 배가 몹시 아프다.
– 살모넬라균은 60도 이상의 고온에서 처리하면 살균되므로 음식을 충분히 익혀먹으면 예방할 수 있다.
④ 병원성 대장균 급성 위장염
– 위생적으로 처리되지 않은 쇠고기나 유제품, 불결한 조리 기구 등을 통해 감염된다.
– 붉은 피가 섞인 변을 보고 배가 몹시 아프면서 설사를 하는 것이 주된 증상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