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Uncategorized

  • 답을 내는 조직 독후감

    목차

    없음

    본문내용

    조직론에 대한 책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들기도 하고 아닌 부분도 있긴 했다. 정신론을 강조한 것은 너무 예전 일본 고전 경영론 책 같은 느낌이 들었다. 저자는 조직이 도전한 과제에 대해서는 끝까지 물고 도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를 한다. 아이디어를 통해 답을 낼 수 있다고 했다.

    저자는 회의를 할 때 정보를 취합하더라도 그저 현실에 대한 비관적인 상황, 그런 것에 초점을 맞추면 조직이 절대 나아질 수 없다고 했다. 저자는 다만 일에 대해서 계획성도 없이 바로 파고드는 일은 하지 말아야 한다고 했다. 회사에서 리더가 이런 지시를 내리기 마련인데 절대 안 좋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살아야 하는 이유 독후감

    목차

    없음

    본문내용

    재일교포라는 한 교수가 쓴 책이었다. 저자는 아들이 세상을 먼저 떠나는 아픔을 겪게 되는데 그것을 겪고 나서 왜 살아야 하는가 이유에 대해 지독하게 책도 읽고 고민을 많이 했다고 한다. 저자는 단장의 고통을 겪었다. 겪어보지 않은 사람은 절대 모를 고통일 것이다. 그 때 저자는 생각했다.

    이 고통이 왜 나에게 왔고 나는 왜 살아야 하는가 이런 질문을 스스로 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가 얻은 결론은 우선 살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저자는 우리 삶의 일회성, 한 번 살면 다시 돌아갈 수 없는 점과 유일한 삶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 부분은 공감이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바울의 생애와 사상

    목차

    1. 바울의 생애 (A Life of Paul)
    2. 바울의 서신들 (Pauline Epistles)
    3. 바울의 신학 (Pauline Theology)

    본문내용

    제 1 장 다메섹 사건 이전 (Before the Damascus Event)
    1. 다소(Tarsus)에서 출생한 디아스포라(Diaspora) 유대인(갈 1:13-14; 사도행전 21:39, 22:3)
    사도행전 22장 3절에서 바울은 “나는 유대인으로 길리기아(Cilicia) 다소(Tarsus)에서 났다”고 했다. 그는 다소에서 출생하였을 뿐 아니라, 21장 39절에 “나는 유대인으로 소읍이 아닌 길리기아 다소 성의 시민이니”라고 말한 대로 그 곳 시민권도 가지고 있음을 본다. 바울의 부모가 어떤 사정으로 셀류시드 왕조가 지배하는 길리기아의 다소로 이주하였는지는 알 길이 없다. 바울의 부모이든 혹은 그 이상의 선조이든 상당 기간 다소에서 정착한 디아스포라(Diaspora) 유대인2)이었다. 전형적인 유대인들이 그러하듯이 바울은 난지 팔 일 만에 할례를 받았다(빌 3:5).
    다소(Tarsus)3)는 지중해 북동쪽, 타우르스 산맥 기슭에 위치하며, 시리아(Syria)에서 소아시아(Asia Minor)로 들어가는 유일한 관문으로 번화한 헬레니즘(Hellenism)의 교육도시로 알려져 있었다. 람세이(Ramsay)에 의하면, 다소는 유명한 스토아 철학자 아데노도루스(Athenodorus: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B.C. 29년-A.D. 14년]의 친구이자 고문)가 활동한 헬라대학이 있었던 ‘제2의 아테네’ 수준이었다고 한다. 이곳에서 아데노도루스와 그의 동료 철학자들은 제자들을 가르쳤을 뿐 아니라 이 도시를 직접 다스리기도 했다. 다소 성은 내전이 있을 때마다 항상 우파의 편을 들 정도로 친 로마적인 경향이 있었고, 따라서 자유시(civitas libera)의 지위를 얻어 자치와 독립의 권리를 누려 왔다고 한다.
    사도행전 22장 3절(또한 26:4)에서 바울은 자신이 예루살렘 성에서 자랐다고 언급하는데, 많은 학자들은 이것이 교육에 대한 언급(가말리엘4)의 문하에서 교육받기 위한)일 것이라고 본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다윗의 생애

    목차

    1. 사울이 왕이 되다
    2. 버림받은 사울 왕
    3. 다윗이 왕으로 선택받다
    4. 다윗이 왕이 되다
    5. 다윗 왕의 정복활동
    6. 압살롬의 반란
    7. 시련과 시험
    8. 아도니아의 반역과 솔로몬 왕 즉위
    9. 성전건축준비
    10. 다윗의 죽음

    본문내용

    사울 왕이 하나님으로부터 버림을 받았을 때, 하나님은 선지자 사무엘을 베들레헴에 보내어 사울의 뒤를 이를 자로서 다윗에게 기름을 붓게 하였다. 사무엘이 이새에게 가서 그의 아들들을 차례로 볼 때에, 하나님께서는 그에게 “나의 보는 것은 사람과 같지 아니하니 사람은 외모를 보거니와 나 여호와는 그 중심을 보느니라”(삼상 16:7)고 말씀하시므로, 일곱 아들은 택하지 않으셨다. 이 때 들에서 양을 지키고 있던 막내 다윗을 불러오매 하나님께서는 사무엘에게 “그니 일어나 기름을 부으라”(삼상 16:12)고 말씀하시니, 사무엘이 기름 뿔을 취하여 다윗에게 부었더니 이날 이후로 그는 여호와의 신에게 크게 감동되었다. 그러나, 이 때 사울의 적의(敵意)를 일으키게 할까봐 아무런 공적 선언은 하지 않았다. 그저 그 곳 장로들 앞에서 행해졌다는 점에 공적인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이 기사에 한해서는 이 기름 부은 목적이 사람들에게 언급되어 있지 않다(삼상 16:4,5,13). 그러나, 이새와 다윗에게는 말했음에 틀림없다. 이것은 다윗의 인생에 있어서 제 1의 전기(轉機)이며, 하나님의 영이 그에게 크게 임하셨다. 그러나, 그는 일상자기 일을 소홀히 하지 않았다.

    1) 사울과 다윗의 만남
    한편 사무엘이 자신과의 모든 관계를 청산하고 더 이상 만나기를 거부하면서, 사울은 정서적으로 크게 흔들리기 시작했다. 두 사람 사이의 인간적인 관계에는 큰 문제가 없었다. 이미 두 사람 사이가 되돌릴 수 없을 정도로 갈라선 이후에도 사무엘은 사울에 대한 애정을 숨기지 못했다. 마치 아버지가 자신의 뜻과는 어긋나게 행동하는 아들을 보면서 꾸짖고 징계할지언정 부자의 인연을 끊을 수 없는 것처럼 말이다. 사울도 그런 사무엘을 함부로 대하지 않았다. 사무엘은 그가 믿고 상의할 수 있는, 가장 신뢰할만한 멘토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노인간호학 치매(dementia)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8개, 간호과정 1개 A+받은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대상자 정보
    ◾ 이름: 이OO

    ◾ 나이: F, 93

    ◾ 학력: 초등학교 졸업

    ◾ 결혼상태: 사별

    ◾ 보호자: 아들, 며느리

    ◾ 가족력: 무

    ◾ 인지능력: 하 (MMSE-DS 8점 측정)

    ◾ K-MBI: 중간정도 수준의 의존도 측정
    주호소
    ◾ 고혈압, 당뇨 약물 복용중

    ◾ Dementia

    ◾ Hypertension

    ◾ Diabetes mellitus

    ◾ Urinary incontinence

    < 대상자 간호진단 >
    1. 인지기능 저하와 관련된 용변 자기돌봄 결핍(Toileting Self-Care Deficit)
    2. 인지기능 저하와 관련된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Impaired Verbal Communication)
    3. 대인관계 욕구 저하와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Impaired Social Interaction)
    4. 근 긴장도의 저하와 관련된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
    5. 실금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의 위험(Risk for Impaired skin integrity)
    6. 부적절한 혈당관리와 관련된 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Ineffective Perpheral Tissue
    Perfusion)
    7. 하지근력 감소와 관련된 낙상의 위험(Riak for Falls)
    8. 지식 부족과 관련된 돌봄제공자 역할 긴장(Caregiver Role Strain)

    사 정
    간호진단
    장기목표/
    단기목표
    간호계획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출처 : 해피캠퍼스

  • 아동간호실습 case study 폐렴 pneumonia

    목차

    I.서론
    II.본론
    III.결론

    본문내용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최근 중국에서 유행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확산 조짐이 일어나고 있는 폐렴은 영아와 아주 어린 아동에게서 자주 발생하는 질환으로 소아기 이환율과 사망률의 중요한 원인이 되는 가장 흔한 감염성 질환 중 하나이다. 발열, 저산소증, 다양한 호흡기 장애 증상을 보이며 원인 병원체와 환자의 연령, 기저질환에 따라 감기와 유사한 정도의 경미한 증상에서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심각한 증상까지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인다. 폐렴은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등의 집단시설이나 같이 거주하고 있는 가족 사이에서 쉽게 전파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염성은 증상 발생 후 20일까지 지속될 수 있다. 본 학생은 사례 대상자로 삼은 폐렴 아동에 대한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아동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은 무엇이며 성인과 달리 어떤 약물로 치료를 하는지 그리고 어떤 간호를 제공할 수 있을지 공부해보고자 하였다.
    II. 본론
    1. 문헌고찰
    1) 정의
    폐렴(Pneumonia)은 말단 세기관지 아래 폐 실질에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주로 감염에 의해 나타나지만 합병증이나 비감염성 원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폐렴은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하나 유아나 어린 아동에게서 더 빈번하게 나타나며 저개발국가의 아동 사망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원인
    폐렴은 연령에 따라 원인이 다르며 신생아기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의 일차 원인 병원체는 RSV, Parainfluenza, Influenza, adenovirus 등 다양한 종류의 호흡기 바이러스이다. 그 외 세균이나 비감염성 원인, 진균(fungus), 원충(soccidios), chlamydia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지식재산과 저작권 이해 및 과제

    목차

    1. 지식재산과 지식재산권

    2. 지식재산권의 종류
    (1) 산업재산권
    (2) 저작권
    (3) 신지식재사권
    1) 산업저작권
    2) 첨단산업재산권
    3) 정보재산권
    (4) 특허 보호를 위한 국제 조약

    3. 지식재산권 등록
    (1) 출원 준비 – 지식재산의 선행 기술 조사
    (2) 특허 신청(출원)
    (3) 특허 출원을 위한 심사
    1) 방식 심사
    2) 출원 공개
    3) 실체 심사
    4) 특허 결정
    5) 등록 공고
    (4) 특허 등록

    4. 시대를 바꾼 지식재산권
    (1) 십자나사못
    (2) 이태리타월
    (3) 강남스타일

    5. 지식재산권 및 저작권 침해 사례
    (1) 아마존의 1-Click
    (2) 월트디즈니의 Car 2
    (3) 오리온의 초코파이

    6. 국제 출원 제도
    (1) 국제 출원 현황
    (2) 해외 특허 획득

    7. 국내 지식재산권의 과제

    본문내용

    인류는 삶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해 왔으며, 새로운 아이디어를 통해 다양한 문제를 해결해 왔다. 하지만 사회가 고도화되고, 복잡해지면서 우리 앞에 놓인 문제 역시 기존의 아이디어와 방법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워졌다. 이처럼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과 아이디어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무형 자산인 ‘지식재산’과 ‘저작권’의 시대가 도래했다.
    이 글에서는 4차 산업시대가 본격화되면서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는 지식재산의 개념과 종류를 알아보고, 시대 변화에 발맞춰 진화한 지식재산의 어제와 오늘을 살펴본다. 또한 지식재산 창작자의 권리 보호를 위한 국내외 정책은 무엇인지 확인하고, 개선 방안에 대해 고민해 본다.

    1. 지식재산과 지식재산권

    『지식재산기본법』 제3조 제1항은 “지식재산이란 인간의 창조적 활동 또는 경험 등에 의하여 창출되거나 발견된 지식·정보·기술, 사상이나 감정의 표현, 영업이나 물건의 표시, 생물의 품종이나 유전자원(遺傳資源), 그 밖에 무형적인 것으로서 재산적 가치가 실현될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지식재산은 ‘지적재산’과 혼용돼 사용되어 오다, 2011년 『지식재산기본법』이 제정된 이후 지식재산으로 명칭이 통일됐다.
    지식재산권은 발명·상표·디자인 등의 산업재산권과 문학·음악·미술 작품 등에 관한 저작권의 총칭으로, 『대한민국헌법』 제22조 제2항은 “저작자·발명가·과학기술자와 예술가의 권리는 법률로써 보호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직장인의 삶과 일을 하면서 함께 하는 일상에 대하여 여러 에피소드를 글로 표현

    목차

    없음

    본문내용

    재능의 불시착은 일하는 직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일반 직장인들의
    일상과 현실을 이야기 하고 있다.
    총 8가지 목차로 되어 있으며, 글을 읽다보면 내 주변의 일상과 비슷한 생각을 마주하게 된다.

    1.막내가 사라졌다

    “회사 다닐때나 상사고 선배지, 그만두면 아무 관계도 아닐 사람들끼리 진즉 기본매너는 지키고 살면 좀 좋아요? 지금 여기에 다니고 있으니까 껌뻑 죽는 척 해주는 거지, 나가면 알게 뭐에요? 말도 제대로 안 섞어줄 동네 아저씨고 모르는 아줌마지.”
    이 대사는 이 글의 주제가 아닌가 싶다.

    막내사원의 갑작스런 사직문자로 인해 팀 내 동료 직원들은 사직 이유가 자신들의 잘못은 없는지, 그동안 업무지시나 언행이 사내 괴롭힘등 법적으로 문제가 되는건 없는지 모두들 지난 일 들을 생각해보며 막내사원이 사직 대리인을 보내는 이유에 대해 불안한 일상을 그리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자활사업의 이해

    목차

    1. 자활사업의 이해
    (1) 자활사업의 정의와 목적
    (2) 자활사업 참여
    1) 자활사업 참여자 선정
    2) 자활사업 참여자를 위한 게이트웨이
    3) 자활 사례 관리

    2. 자활사업의 종류
    (1) 자활근로사업
    (2) 자활기업
    (3) 자산형성지원사업
    1) 희망저축 1
    2) 희망저축 2
    3) 내일키움통장

    3. 자활사업과 탈수급

    본문내용

    2020년 1월 20일,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지 3년이 지나고 코로나로 인한 팬데믹은 사실상 종결됐지만, 그 상흔은 우리 사회 구석구석에 여전히 남아 있다. 한국은행의 분석에 따르면 가계 대출 원리금 부담 때문에 최소한의 생계를 이어가기조차 힘든 사람은 300만 명에 달하며, 이 가운데 175만 명은 아예 소득보다 원리금 상환액이 더 많아 소비 여력이 없는 사실상 파산 상태나 마찬가지인 셈인 것으로 알려졌다. , 「빚의 역습…가계대출 299만 명, 원리금 갚느라 최소 생계도 ‘허덕」, 2023년 7월 2일

    과도한 부채를 진 가계의 대량 파산 조짐은 사회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금융권 빚을 감당하지 못해 법원과 신용회복위원회에 채무 조정을 신청한 개인은 2023년 5월 3일 기준으로 103,234명을 기록했다. 법원행정처에 따르면 2023년 1~4월 사이 접수된 도산 사건 신청 건수는 총 67,616건으로 전년 동기 54,534건에 비해 23.9% 증가했다. 이 가운데 개인회생 신청은 전체 도산 사건 신청 건수의 59%인 39,859건을 차지하며 전년 동기 27,421건에 비해 무려 45.4%가 늘어났다.
    경기 침체가 길어지면서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저소득층 주민의 삶은 더욱 팍팍해졌다.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은 있지만 일자리를 찾지 못하거나, 일을 하면서도 좀처럼 경제적 상황이 나아지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 ‘자활사업’이 주목받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일할 수 있는 근로 빈곤층의 자립을 돕는 자활사업에 대해 알아본다.

    1. 자활사업의 이해

    출처 : 해피캠퍼스

  • 남성 생식기계 의학용어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ejaculation
    [idʒækjuˈleɪʃn]
    사정
    2
    ejacuulatory duct
    [idƷǽkjulətɔ́:ri dʌkt]
    사정관
    3
    epididymis
    [èpǝdídǝmǝs]
    부고환
    4
    flagellum
    [flǝdʒélǝm]
    편모
    5
    foreskin
    [fɔːrskɪn]
    포피
    6
    fraternal twins
    [frǝtə́ːrnə twins]
    이란성 쌍둥이
    7
    glans penis
    [glænz píːnis]
    음경 귀두
    8
    identical twins
    [aidéntikəl twins]
    일란성 쌍둥이
    9
    interstitial cells of
    the testis
    [ìntǝrstíʃəl sel ɑv
    ðǝ téstis]
    고환의 간질세포
    10
    parenchymal tissue
    [pəˈrɛŋkɪml tíʃuː]
    실질조직
    11
    perineum
    [pèrǝníːǝm]
    회음
    12
    prepuce
    [príːpjuːs]
    포피
    13
    prostate gland
    [prάsteit glænd]
    전립선
    14
    scrotum
    [skróutǝm]
    음낭
    15
    semen
    [síːmǝn]
    정액
    16
    seminal vesicles
    [sémənl vesɪkl]
    정낭
    17
    seminiferous tubules
    [sèmənífərǝs tybyles]
    세정관
    18
    spermatozoon
    [spə̀ːrmǝtǝzóuǝn]
    정자
    19
    sterilization
    [stèrəlizéiʃən]
    불임법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