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Ⅰ. 서론
1. 실험 목적
2. 이론
1) 밀도
2) 과학적 표기법과 유효숫자
3) 고체와 액체 밀도 측정 실험의 이론값
Ⅱ. 본론
1. 고체 밀도 측정
1) 실험 준비물
2) 실험 방법
2. 액체 밀도 측정
1) 실험 준비물
2) 실험 방법
Ⅲ. 결론
1. 고체 밀도 측정 결과
1) 실험 결과
2) 결론 및 고찰
2. 액체 밀도 측정 결과
1) 실험 결과
2) 결론 및 고찰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 밀도의 개념을 알고, 고체와 액체의 밀도를 구할 수 있다.
– 다양한 실험 기구를 다루는 방법을 익히고 용도에 맞춰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 실험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유효숫자와 과학적 표기법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2. 이론
1) 밀도
– 밀도는 와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밀도는 질량에 의존하는 값이 아니므로, 물질의 질량 대 부피 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질량이 증가하면 부피 또한 증가하므로 부피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하지만, 질량은 온도와 압력의 영향을 받지 않지만, 부피는 온도와 압력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밀도를 제대로 측정하기 위해선 일정한 온도와 압력 조건에서 실험해야 한다.
밀도의 SI(국제단위계) 유도단위는 세제곱미터당 킬로그램이지만, 화학에 응용하기에는 단위가 너무 크기 때문에, 대개 세제곱센티미터당 그램 혹은 밀리리터당 그램을 고체 및 액체의 밀도에 사용한다. 기체는 대개 리터당 그램 단위를 사용한다. 이때, 1= 1= 1000으로 나타낼 수 있고, 1= 0.001로 나타낼 수 있다.
2) 과학적 표기법과 유효숫자
ⅰ) 과학적 표기법
과학적 표기법은 크거나 작은 숫자를 다루기 위해 사용하는 표기법이다. 화학에선 매우 크거나 매우 작은 수를 다루므로, 이를 처리하기 위해 과학적 표기법을 사용한다. 으로 표현하고 이때 은 1과 10사이의 수이고, n은 양이나 음의 정수이다.
과학적 표기법을 사용해 덧셈과 뺄셈을 할때에는, 지수 n 값을 서로 맞추고 N을 더하거나 뺀다. 곱셈과 나눗셈의 경우엔 N은 곱하거나 나누고 지수 n은 곱하기일 경우 더하고 나누기일 경우 빼준다.
ⅱ) 유효숫자
실험을 진행할 때, 사람의 눈으로 측정량을 정확하게 얻는 것은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측정값이나 계산값의 유의미한 자릿수를 알기 위해 유효숫자로 측정값을 나타내 오차범위를 나타낸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