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Uncategorized

  • 기분이 태도가 되지 않게 독후감

    목차

    없음

    본문내용

    감정과 태도는 별개의 것이라고 한다. 둘 중 하나를 고를 수 있어야 한다고 했는데 이게 결코 쉬운 일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회사 일을 겪다보면 내가 감정적으로 반응하려고 하지 않아도 먼저 감정적으로 대응하는 사람을 많이 접하게 된다. 이럴 때 침착하게 대응하는 게 어렵다.

    저자는 감정을 남에게 그냥 퍼부으면 안 된다고 했다. 맞는 말이다. 자기 감정을 자기가 책임지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적어도 남에게 전이 되도록 하지 않는 자세는 직장인이라면, 사회인이라면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할 태도이다. 말과 감정을 분리하는 것도 어렵기만 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신장 및 비뇨기계 정리

    목차

    1. 신장 및 비뇨기계 구조와 기능

    2. 신장 및 비뇨기계 사정: 건강력, 신체검사

    3. 진단검사
    (1) 소변분석검사
    (2) 소변
    (3) 혈액화학검사
    (4) 내시경검사
    (5) 방사선검사
    (6) 요역동성 검사

    본문내용

    ① 신장 및 비뇨기계의 구조와 기능
    비뇨기계는 두 개의 신장, 두 개의 요관, 하나의 방광, 하나의 요도로 구성되어 있다. 신장에서 소변을 생성하면 방광은 소변을 모으는 창고 역할을 하고, 요관과 요도는 소변을 흘러 보내는 통로 역할을 한다.
    1. 신장: 신장의 일차적 기능은 ⓵세포외액의 양과 구성성분을 조절하며, ⓶신체로부터 노폐물을 배설하는 일이다. 이외의 신장기능은 혈압조절, 적혈구생성인자(erythropoietin)의 생성, vit D의 활성화 및 산-염기 균형을 위한 조절작용 등이다.
    (1) 거시적 구조: 신장은 제 12흉추와 제 3요추 수준에서 척추의 후복막 공간(복막 뒤)의 좌, 우측에 각각 하나씩 있으며 강낭콩 모양을 하고 있다. 신장 하나의 무게는 115~117g이며 길이는 약 12cm이다. 우측 신장은 제 12늑골 위치에 있으며 좌측 신장보다 아래에 있다. 부신은 각 신장의 상부에 있다.
    신장은 상당량의 지방층과 결합조직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러한 조직은 신장을 지지하며 위치를 유지시킨다. 신장의 표면은 피막이라는 얇고 매끄러운 섬유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구조는 신장을 보호하여 복부나 후면에 가해지는 갑작스러운 충격에 대한 흡수제로서의 역할을 한다. 신장의 안쪽에 위치한 신문은 신동맥과 신경이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하며, 동시에 신정맥과 요관이 나가는 출구 역할을 한다. 신장의 실질조직은 신장의 종단면에서 볼 수 있다. 신장의 외부층은 피질, 내부층은 수질이라고 한다. 수질은 많은 수의 추체로 구성되어 있다. 추체의 첨부를 유두라고 하며, 유두를 통해 소변이 신배로 들어간다. 소신배는 넓어지고 합쳐져서 대신배를 형성하고, 대신배는 깔대기 모양의 주머니를 형성하는데, 이를 신우라고 한다. 소신배와 대신배는 소변을 신우로 이동시키며 소변은 이곳에서 요관을 통해 방광으로 가게 된다. 신우는 소량의 소변을 저장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내분비계 정리

    목차

    1. 내분비계의 구조와 기능

    2. 내분비계 사정 : 건강력, 신체검사,

    3. 진단검사
    1) 혈청 및 소변 검사
    2) 영상검사

    본문내용

    ① 내분비계의 구조와 기능
    1. 선: 내분비선에는 시상하부, 뇌하수체, 갑상선, 부갑상선, 부신, 췌장, 난소, 고환 및 송과선이 포함된다. 이들 선은 호르몬이라는 특정 화학전달물질을 만들고 분비한다. 내분비계의 다섯 가지 일반적 기능은 태아기의 생식기계와 중추신경계의 발달, 아동 청소년기의 성장발닥 자극, 생식, 항상성 유지와 응급요구에 대한 반응이다.
    2. 호르몬: 호르몬은 체내에서 생산되어 특정한 표적세포나 기관의 활동을 조절하는 화학물질이다. 많은 호르몬은 신체의 한 부분에서 생성되며 신체 내 특정 세포나 기관의 활동을 조절한다. 갑상선은 티록신이라는 호르몬을 합성하는데, 이것은 혈류로 분비되어 모든 신체조직에 영향을 미친다. 반면, 어떤 호르몬은 주위세포에 국소적으로 작용하고 혈류로는 들어가지 않는다. 국소작용은 측분비작용으로도 불리며 이에 대한 예시로는 난소에서의 성 스테로이드의 작용이 있다.
    대부분의 호르몬은 공통적인 특징이 있는데, 미량이지만 가변적이고 예측가능한 속도로 분비되고, 회환체계에 의해 조절이 되며, 특정 표적세포 수용체와 결합한다. 내분비계와 신경계는 강한 연관성이 있다. 예를 들어, 카테콜라민은 부신에서 분비되어 혈류로 들어가 다양한 표적기관에 작용한다. 카테콜라민이 뇌나 말초신경계의 신경세포에 의해 분비될 때는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여, 신경연접 부위에서 중요한 자극을 전달한다.
    기관은 호르몬을 분비함으로써 내분비선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장은 적혈구생성인자를 분비하고, 심장은 심방나트륨이뇨펩티드를 분비하며, 위장관계는 수많은 펩티드 호르몬을 분비한다.

    (1) 호르몬 수용체: 호르몬은 표적조직을 인식하여 ‘자물쇠와 열쇠(lock and key)’기전으로 수용체에 부착하여 작용한다. 그러므로 특정 호르몬은 그 호르몬의 특정 수용체를 가진 세포에서만 작용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만5세반 평가제 1년 관찰일지 50페이지

    목차

    1. 영역
    2. 관찰내용

    본문내용

    만5세 OOO 관찰일지

    3월~2월

    기본생활
    등원해서 가방을 계속 매고 서 있길래“OO가 한번 정리해 볼까?"라고 했더니 OO가 스스로 가방을 겨우 벗고서는 “도와주세요"라고 하였다. 그래서 교사와 함께 옷과 가방을 정리하고는“실내화를 신어볼까“ 라고 했더니 한참만에 실내화를 신고“제가 신었어요"라며 웃어보인다.

    해석 및 평가
    OO는 가방 정리나 실내화 신기, 점심 먹기 등 스스로 하려고 노력은 하나 아직은 서툴러 격려와 지도가 필요하다.

    신체운동
    OO가 걸어 다닐 때 다리가 구부정한 모습으로 걷는다. 교사가“OO야 다리를 피고 힘을 주고 걸어볼까?“ 라고 하자 다리에 힘을 주고 다리를 편다. 교사가 잘 했다고 칭찬 해주니 교사를 보고 웃는다.
    해석 및 평가
    평소 신체활동에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하나 걷거나 앉아있는 모습이 바르지 않다. OO에게 올바른 자세 교정을 위해 적절한 칭찬과 격려를 통해 도움을 주어야 겠다.

    의사소통
    OO가 연필로 편지지에 친구들의 이름을 적고 있다. OO가 ʻʻ왜 친구들 이름을 써?ʼʼ 라고 묻자 OO가 ʻʻ베스트 프렌드한테 편지 쓸 거야. 너 ʻ베스트 프렌드ʼ 쓸 줄 알아?ʼʼ 라고 묻는다. OO가 ʻʻ응.ʼʼ 하고 대답하자 ʻʻ나 써 줘, 그럼 보고 쓰게.ʼʼ 라고 말한다. OO가 종이에 글자를 적어주자 OO가 ʻʻ이게 베스트 프렌드야? 고마워.ʼʼ 라고 하며 편지지에 글자를 옮겨 적는다. 편지 아래쪽에 ʻ사랑해ʼ 라고 적은 후 편지지를 접어 봉투에 넣는다. 이후 다른 종이를 꺼내어 베스트 프렌드 글자를 반복하여 적는다.

    해석 및 평가
    편지로 마음을 전달할 수 있음을 알고, 친구 이름 등 익숙한 글자를 스스로 적을 수 있으며 새로운 글자 따라 써보기를 시도하고 글자를 반복하여 써 보며 익히려고 노력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학점은행제 – 체육학 학사 전공필수] – 운동역학 과제 – 지레의 원리와 인체지레에 대하여

    목차

    1.서론
    2.지레의 원리에 대하여
    3.지레의 종류
    4.인체지레에 대하여

    본문내용

    우리가 영화 ‘안시성’을 보다 보면 이따금씩 커다란 돌을 하늘 위로 크게 날려 적군의 성벽을 부수는‘투석기(投石機) https://ko.wikipedia.org/wiki/%ED%88%AC%EC%84%9D%EA%B8%B0 참고
    를 볼 수 있다. 돌멩이가 사람만 하더라도 100kg에서 200kg를 훌쩍 넘기는데 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그보다 더 큰 돌을 저 멀리 날릴 수 있었을까?

    투석기는 지레의 원리 여기에서 말하는 지레의 원리는 간단히 말하면 힘점, 받침점, 작용점의 위치에 따라 힘의 효과가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를 이용해 공격하는 성벽 너머로 큰 돌을 던져 피해를 주거나 성벽 자체를 부수거나 추가적으로 불을 붙이는 소이 효과, 혹은 동물이나 사람의 사체를 넣어 전염병을 확산시키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던 공성병기다.

    이처럼, 우리는 잘 인식하지 못하지만 지레의 원리와 더불어 인체지레는 핵심적인 물리학적 원리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도 우리의 일상에 알게 모르게 큰 영향을 미쳐왔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학점은행제 – 체육학 학사 전공필수] – 운동생리학 과제 – 호흡의 기전과 호흡조절의 기전에 관하여

    목차

    1. 서론
    2. 호흡 기전
    3. 호흡 조절의 기전

    본문내용

    최근 들어 유튜브로 연예 프로그램 방송을 틀면 플러팅을 잘하는 사람에게는 다음과 같은 댓글이 달리곤 한다. 예를 들자면, “숨 쉬듯 자연스러운 플러팅”혹은“숨 쉬듯 스며드는 그녀의 바이브”… 와 같은 말이 바로 그것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숨 쉬듯, 자연스러운, 스며드는”이라는 표현이다. 숨은 왜 자연스러운 것일까. 우리 인간은 우리 인간은 평생에 걸쳐 호흡을 하고, 잠을 자며 살아가지만, 억지로 본인 스스로가 평소에 의식하지 않는 이상, 큰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는 우리에게 호흡이란 매우 자연스럽고 행위다.

    그러나 겉으로는 그다지 어려울 것처럼 보이지 않는 호흡은 사실, 굉장히 복잡한 프로세스를 거쳐 다양한 생리학적, 신경학적 및 화학적 메커니즘의 통제 하에 진행되고 있는 고(高)난이도의 대사과정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번 레포트를 통해 이러한 호흡의 단계별 과정과 더불어 호흡의 각 기전, 기절을 이해하고 보다 폭 넓은 시각에서 이를 바라보고자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관리학 간호단위에서의 리더십 특과 동기부여 형태 조사 및 사례+느낀점(결론)

    목차

    Ⅰ. 간호단위에서 간호관리자 리더십의 특성
    Ⅱ. 간호단위에서 구성원들의 동기부여 형태
    Ⅲ. 느낀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행동이론 – 3원론적 관점
    이론특성
    · 화이트와 리피트는 리더의 권한과 부하들의 참여를 기준으로 리더십 유형을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함

    전제형 지도자 특성
    · 집단에 대해 강한 통제
    · 구성원들 강제 동기부여
    · 명령조 지시
    · 상의하달식 의사소통
    · 독단적 의사결정
    · 직위의 차이 강조
    · 처벌 목적으로 비판

    민주형 지도자 특성
    · 집단 통제 최소화
    · 경제적 보상과 자아보상으로 동기부여
    · 제안과 안내로 지시
    · 상의하달과 하의상달 의사소통이 자유로움
    · 의사결정에 구성원 참여
    · ‘나’, ‘너’보다 ‘우리’를 강조
    · 건설적 비평

    자유방임형 지도자 특성
    · 허용적이며 통제 없음
    · 구성원 요청 시 지지함으로써 동기부여
    · 거의 지시하지 않음
    · 다양한 의사소통 통로
    · 의사결정에 구성원 참여
    · 집단을 강조
    · 비평하지 않음

    관찰사례
    <민주형 지도자>
    : 병동 수간호사 선생님이 듀티를 새로운 방식으로 제안했는데 모든 간호사와 1대 1로 대화하며 제안에 대한 의사와 의견을 들었다. 간호사 한명씩의 의견을 듣고 수간호사 선생님이 바로 결정하지 않고 간호사 전체가 대화를 주고 받으면서 듀티 방식에 대한 의견을 냈다. 반대 의견이 많아지자 수간호사 선생님은 팀의 의견을 수용하고 기존 듀티 방식을 이어가겠다고 선언했다.

    2. 행동이론 – 관리격자이론
    이론특성
    · 블레이크와 모튼에 의하여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구조화와 배려라는 리더십의 개념을 기초로 리더의 행동 유형을 더욱 구체화하고 효과적인 리더십 행동을 배양하기 위한 기법으로 개발된 이론

    무관심형(1·1)
    생산과 인간에 대한 관심이 매우 낮으며, 리더는 자기 자신의 직분 유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노력만을 투입함

    인기형 (1·9)
    인간에 대한 관심은 높으나 생산에 대한 관심이 극히 낮으며 리더는 어떤 방향에서 구성원끼리의 원만한 관계 및 친밀한 분위기 조성에 주력

    출처 : 해피캠퍼스

  • intestinal obstruction 장폐색 성인케이스, 간호진단 2개 및 간호과정 6개/7개

    목차

    1. 일반적 사항
    2. 주호소
    3. 현병력
    4. 과거력
    5. 가족력
    6. 진단검사
    7. 약물
    8. 간호과정
    9.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수술과 관련된 위장관운동 기능 장애의 위험 (HOD#4=POD#3 / HOD#5=POD#4 / HOD#6=POD#5)

    주관적 자료
    Ÿ “배가 아파요” (POD#3)
    Ÿ “소화기 문제로 자주 병원 다녔어요”(POD#4)
    Ÿ “먹으면 소화가 안 될 것 같아요” (POD#4)
    Ÿ “배는 이제 안 아파요” (POD#4)
    Ÿ “방귀도 나오고 대변도 잘 나와요”(POD#5)

    객관적 자료
    1. 진단명: postoperative intestinal obstruction
    2. 수술명: laparoscopic assisted adhesiolysis
    3. 현병력: 최근 한달 간 두차례 장폐색 진단 하에 서울성모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하고 호전되어 경과보았으나, 11월 2일부터 복통 및 구토가 지속되어, 응급실을 통해 입원함
    4. 과거력: 2005년부터 2023년 10월까지 수차례의 반복되는 소화기증상으로 인한 수술력
    5. 자동화학면역검사
    6. abd. supine & erect (POD#0 ~ POD#5): bowel gas pattern is normal
    7. 약물: Gasmotin(위장관 운동 조절제), Lacidofil(유산균제제), Gaster(H2 수용체 차단제)
    8. 식습관 사정
    ① POD#3: 오전-비위관, 오후-sow
    ② POD#4: 당뇨식 미음 1/6 섭취, 물 2컵
    ③ POD#5: 당뇨식 미음 2/3 섭취, 물 1.5컵
    * POD#3~5 식사 후 복부 불편감 및 통증 없음

    간호진단
    수술과 관련된 위장관운동 기능 장애의 위험 (HOD#6 POD#5)

    간호목표
    장기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소화기증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단기
    1. 대상자는 2일 동안 소화기증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2.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식사를 남기지 않고 다 먹는다.

    출처 : 해피캠퍼스

  • CAOD 관상동맥 폐쇄성 질환 성인케이스, 간호진단 2개 및 간호과정 7개/7개

    목차

    1. 일반적 사항
    2. 주호소
    3. 현병력
    4. 과거력
    5. 가족력
    6. 진단검사
    7. 간호과정
    8.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호과정보고서
    1. 가능한 간호진단 리스트
    1) 통증: chest pain
    2) 관상동맥 협착과 관련된 심장조직 관류 감소의 위험성
    3) 심장기능 이상과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의 위험성
    4) 복합적 요인(질병, 통증, 약물, 고령, 비활동성 생활습관)와 관련된 활동지속성 장애
    5)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2. 간호과정기록지
    1) 통증: chest pain
    주관적 자료
    Ÿ “계속 아프니깐 걱정되지…”(HOD#3)
    Ÿ “가슴이 계속 아파” (HOD#3)

    객관적 자료
    2012. 12월 서울아산병원
    Ÿ coroanary artery obstructive disease 1 vessel
    Ÿ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l at pLCX with a stent

    2018. 8월. 아주대학교 병원
    Ÿ coroanary artery atherosclerosis
    Ÿ coroanary artery obstructive disease 1 vessel
    Ÿ aortic valve regurgitation
    Ÿ paroxysmal atrial fibrillation

    2023. 9월. 아주대학교 병원
    Ÿ coroanary artery obstructive disease 2 vessel
    Ÿ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l at mLAD with a stent

    간호 진단: 통증: chest pain

    간호목표
    1)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후에 chest pain을 느끼지 않는다.
    2) 단기목표
    (1) 대상자는 2일 이내에 NRS 통증 점수가 8점에서 5점 이하로 감소한다. (2) 대상자는 2일 이내에 CK-MB 수치가 정상범위로 돌아온다.

    간호계획
    ① 4시간마다 대상자의 V/S를 측정한다.
    : 통증 발생으로 V/S이 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대상자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제왕절개 C/SEC 모성간호학 케이스, 간호진단 3개 및 간호과정 7개/8개/6개

    목차

    1. 일반사항
    2. 동거가족
    3. 과거 건강력
    4. 과거 산과력
    5. 현재 산과력
    6. 분만관찰 기록지
    7. 간호과정
    8.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호진단
    실제적 (HOD#1, POD#0) pm. 12:00
    분만 통증: abdomen

    간호목표
    1. 장기 목표
    Ÿ 대상자는 퇴원 시에 NRS 점수를 1점 이하로 유지한다.
    Ÿ 대상자는 퇴원 시에 V/S을 정상범위로 유지한다.
    2. 단기 목표
    Ÿ 대상자는 분만 과정에서 NRS 점수가 7점 이하를 넘어가지 않는다.

    간호계획
    ① 30분마다 대상자의 V/S를 측정한다. : V/S은 대상자의 상태를 반영하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이다. 통증으로 인해 V/S이 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대상자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② 30분마다 PQRST로 대상자의 통증의 부위, 양상, 강도, 빈도 등에 대해 포괄적으로 사정한다.
    : PQRST는 환자의 통증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적절한 치료 및 관리 계획을 개발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이다. 각 구성 요소는 통증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문제를 다각적으로 접근함으로써, 환자에게 최상의 돌봄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③ 대상자에게 epidural anesthesia를 시행하고 1시간마다 효과 및 부작용을 사정한다. : 진통제로 통증을 경감할 수 있지만, 대상자의 체질에 따라서 효과의 정도가 다르고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④ 대상자에게 비약물적 통증 조절 방법(이완요법: 심호흡)에 대해 교육한다.
    : 심호흡은 신체적 · 정신적 평온 상태를 유도하고,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의 분비를 줄여서 통증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⑤ 쿠션과 베개를 사용하여 대상자가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돕는다.
    : 통증은 근육의 긴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완 요법 및 편안한 자세는 근육의 긴장을 완화시키고 근육의 혈액 순환을 증가시킨다. 이는 통증을 경감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⑥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 편안한 환경은 신체적 · 정신적 평온 상태를 유도하고,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의 분비를 줄여서 통증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