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화기계 구조와 기능 및 병태생리
2.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및 병태생리
본문내용
1) 소화기계 구성
– 위장관계 : 구강, 식도, 위, 소장, 대장, 직장, 항문
– 부속기관 : 침샘, 간, 담낭, 췌장
2) 기능 : 음식물 섭취, 소화, 흡수, 대사 및 노폐물 배설
구강의 구조와 기능
– 음식물과 수분 섭취 통로, 미각수용체를 가짐
– 치아를 통한 저작운동
– 타액분비
– 탄수화물의 소화 시작됨
– 음식물을 식괴로 만들어 부드럽게 함
식도의 구조와 기능
– 식도분비물(점액)을 분비하여 식도벽 보호
– 미주신경의 지배로 연하작용 – 식괴를 위로 이동시킴
– 식도하부괄약근 : 위로 들어가는 음식의 양 조절
– 식괴가 위속으로 들어가면 역류 방지 위해 괄약근 닫음
구강식도 병태생리
1. 구강, 식도질환
구강감염은 국소 또는 전신질환에 의해 생길 수 있다. 구강점막에 영향을 미치는 전신질환으로는 골수질환, 영양장애 등이 있으며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에게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기관지 천식으로 부신피질호르몬 제제를 흡입하는 환자도 위험군이며, 특히 이들은 칸디다증에 걸리기 쉽다.
구강감염은 호흡기나 심장질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구강위생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통증으로 인해 수분과 음식 섭취가 어려운 경우는 국소 연고를 바르거나 아스피린이나 아세트아미노펜과 같은 진통제를 투여하거나 진통제가 들어 있는 구강 세척제 등을 사용한다. 음식 섭취 시 불편감을 덜어주기 위해 유동식을 제공하며 양념이 강한 음식이나 오렌지 주스, 뜨거운 음료 등은 피한다. 알코올이 많이 함유된 함수액은 오히려 병변에 자극을 주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하며 생리식염수, 처방받은 함수액 등을 사용한다.
– 아프타성 구내감염 : 구강과 입술에 궤양이 생기며 병변의 중심에 괴사가 진행되는 경계가 뚜렷한 홍반성 반점이 있다.
– 단순포진 : 수포가 터져서 궤양을 형성하고 몇주이내에 치유된다. 또한 전신적인 감염 증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 칸디다증 : 면역결핍이나 항생제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정상세균이 파괴될 때 칸디다균이 과성장하여 발생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