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Uncategorized

  • 사회보장의 목적 및 기본 이념

    목차

    ① 사회보장의 목적 및 기본 이념
    ② 사회보장, 사회보험, 공공부조, 사회서비스, 평생사회안전망의 개념
    ③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 비교
    ④ 국민의 책임
    ⑤ 사회보장 급여의 수준 및 신청방법

    본문내용

    「사회보장기본법」의 목적은 제1조에 명시되어 있다. 이는 사회보장에 관한 국민의 권리를 정하고 있으며, 국가와 각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명시하여 사회보장정책이 수립되고 추진될 수 있도록 관련 제도에 대한 사항을 규정하여 국민의 복지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에서는 기본 이념에 대해 명시되어 있다. 이는 우리나라의 모든 국민이 특정한 사회적인 위협으로부터 해방되어 인간답고 행복한 삶을 지속적으로 누릴 수 있도록 스스로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며, 사회참여나 자아실현에 필요한 여건과 제도를 건설하여 사회통합과 복지사회로의 나아감을 목적으로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일반생물학실험]전기 영동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및 원리
    1) 실험 배경

    3. 실험 기구 및 시약
    1) 실험 재료

    4.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5. 실험 결과
    1) SDS-PAGE and Staining

    6. 토의 사항
    1) 실험 고찰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1.1. 단백질 전기영동의 원리를 이해한다.

    2. 실험 이론 및 원리
    2.1. 실험 배경
    전기영동의 원리는 단백질 분자들은 표면의 여러 부위에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띄고 있어, 단백질 혼합액 속에 전극을 설치하고 직류전압을 가하면 음극 또는 양극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전기장 안에서 하전된 입자가 양극 또는 음극 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전기영동이라고 한다. 이동하는 속도는 입자의 전하량, 크기와 모양, 용익의 pH와 점성도, 용액에 있는 다른 전해질의 농도와 이온의 세기, 지지체의 종류등 여러가지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성질에 의해 전기영동법은 아미노산, 뉴클레오티드, 단백질 등과 같은 하전된 물질들을 분리하거나 분석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용된다.
    전기영동법은 여러 종류가 있는데, 첫 번째로는 이동계면 전기영동법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일반물리학실험1] 단조화 진동과 감쇠 운동 실험 보고서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의 이론(원리)
    3. 실험 기구 및 실험 방법
    4. 결과 및 분석(분석, 토의,오차 발생 원인)
    5. 결론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용수철의 복원력에 의해 단조화 진동(simple harmonic oscillation)하는 카트의 주기를 측정한다. 알루미늄 트랙에서 자석에 의한 멤돌이 전류(eddy current)로 인한 감쇠 진동 (damped oscillation) 특성과 외부의 주기적 힘에 의한 강제 감쇠 진동(driven damped oscillation)의 공명 특성을 이해한다.

    2. 실험의 이론 (원리)

    (1) 단조화 진동하는 무체의 주기
    다음 그림과같이 직선 트랙위에서 두 개의 용수철에 연결된 카트를 한 쪽으로 밀어서 가만히 놓으면 진동한다.
    카트에 연결된 두 개의 용수철의 용수철 상수가 다른 경우, 용수철 상수가 인 한 쪽의 용수철이 압축되는 동안 다른 쪽에 놓인 용수철 상수가 인 용수철은 늘어나게 된다. 하지만 평형 위치를 향한 복원력은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질량이 인 카트의 변위 를 기술하는 운동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식(1)
    위 식에서, 등가 용수철 상수 (equivalent spring constant) 으로 두면 용수철 상수가 인 단일 용수철에 의한 조화 진동자와 같은 식이 된다. 는 물체를 변위 만큼 이동시킨 다음에 작용하는 복원력 를 측정하면 에서 구할 수 있으며, 진동 주기를 측정해도 구할 수 있다. 식 (1)과 같이 2회 시간에 대해 미분한 함수가 원래의 함수와 같아지고 부호만 달라지는 경우, 시간에 따른 를 나타내는 미분방정식의 해는 진폭 A인 사인(sine) 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심장내과] 심장내과 간호사가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주요 주사제

    목차

    1. 종류
    2. 약명
    3. 참고 사진
    4. 활용되는 상황 및 예시 & 금기

    본문내용

    종류
    강심제
    (Digitalis)

    약명
    도부타민
    (Dobutamine)

    활용되는 상황 및 예시 & 금기
    ▶심잘 질환이나 심장 수술로 인해 수축력이 저하된 심부전(Heart failure)환자의 단기 치료

    ▶ 5%DW 200ml + Dobutamine 250mg 2A Mix 하여 투여

    약명
    디곡신
    (Digoxin)

    활용되는 상황 및 예시 & 금기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심박출량을 늘이고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수를 조절
    ▶심박출량이 감소된 심부전증(Heart failure) 치료 및 빈맥(Tachycardia)치료에 사용

    ▶ 금기!!! 방실차단(AV block), 동방차단(SA block), 심실빈맥(VT), WPW증후군(WPW syndrome) 환자에게 투여하지 않는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일반물리학실험1] 현의 운동 (현의 진동) 실험 보고서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의 이론(원리)
    3. 실험 기구 및 실험 방법
    4. 결과 및 분석(분석, 토의,오차 발생 원인)
    5. 결론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사인파 발생기(sine wave generator)와 줄 진동기(string vibrator)를 이용하여, 줄에 장력이 걸린 현에 정상파를 형성한다. 진동수, 줄의 길이, 줄의 선밀도, 장력에 따라 현에 형성되는 정상파의 진행속력의 변화를 알아본다.

    2. 실험의 이론(원리)
    (1) 파동의 중첩
    똑같은 2개의 파동이 하나의 매질에서 전파되어 중첩될 때 같은 위상으로 중첩되면 합성파의 변위가 강하게 나타나고, 서로 180°의 위상 차이가 난 상태로 중첩되면 파동이 상쇄되어 약하게 된다. 이와 같이 똑같은 두 파동이 중첩되어 더욱 강해지거나 약해지는 현상을 파동의 간섭이라고 하는데, 그림 1에서 합성파의 변위가 커지는 간섭을 보강간섭이라 하고, 합성파의 변위가 더 작아지거나 0이 되는 간섭을 상쇄간섭이라고 한다.

    (2) 정상파
    파장, 주기, 진폭이 같은 두 파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여 중첩되면 보강간섭과 상쇄간섭이 일어나 합성파는 정지한 상태에서 일정한 진폭으로 진동하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데, 이러한 파동을 정상파(standing wave)라 한다. 이때, 진동을 하지 않는 곳 (상쇄간섭이 일어나는 곳)을 마디(node), 가장 큰 폭으로 진동하는 곳 보강 간섭 이 일어나는 곳)을 배(anti-node)라 한다.
    당겨진 줄(현)에서 형성되는 정상파는 그림 2와 같이 다양한 고유 진동 모드를 갖는다. 줄의 양쪽 끝이 고정되어 있다면, 양쪽의 고정단은 마디가 되고, 최소 1개 이상의 배가 준에 만들어진다. 중의 길이(L)가 파장()의 1/2배와 같은 경우(). 마디와 마디 사이에 1개의 배가 있는 진동이 형성된다. 또한 줄의 길이가 파장과 같아지면 (L=), 양쪽 고정단과 가운데에 마디가 있고 2개의 배를 가지는 진동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줄은 여러 개의 배를 갖는 진동을 형성할 수 있는데, 각각의 경우 줄의 길이는 반파장의 정수배와 같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일반물리학실험1] 힘과 가속도 실험 보고서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의 이론(원리)
    3. 실험 기구 및 실험 방법
    4. 결과 및 분석(분석, 토의,오차 발생 원인)
    5. 결론

    본문내용

    이번 실험은 추의 무게를 증가시키면서 카트의 가속도를 그래프를 통해 측정하고 가속도와 주어진 질량들을 이용하여 카트에 작용하는 힘, 줄의 장력을 구하고, 같은 조건에서 카트의 무게를 증가시켜 가속도, 카트에 작용하는 힘, 줄의 장력을 구하는 실험이다.

    <실험 분석>
    – 5g의 추 걸이와 추 5g, 1회 10g부터 5g씩 추가하여 40g까지 총 7회의 측정 진행
    – 실험 1은 0.250kg의 카트만, 실험 2는 질량 막대를 추가하여 총 질량 0.500kg으로 진행

    <질량, 물체의 가속도, 중력 가속도를 이용하여 장력 구하는 방법>
    [주어진 정보 : 카트의 질량 , 추의 질량 , 중력 가속도 ]
    [실험을 통해 얻는 정보 : 카트의 가속도 ]
    ⇨ 실험을 통해 최종 구하는 값 : 카트에 작용하는 힘, 줄의 장력

    <결과표 분석>
    [실험을 통해 얻은 그래프에서의 기울기 (카트의 가속도)]
    ● 추의 질량 증가 → 카트의 가속도 증가
    ● 카트의 질량 증가 → 카트의 가속도 감소

    [계산을 통해 구한 카트에 작용하는 힘, 줄의 장력]
    ● 추의 질량 증가 → 카트에 작용하는 힘, 줄의 장력 증가
    ● [실험 1]의 카트에 작용하는 힘, 줄의 장력 ≒ [실험 2}의 카트에 작용하는 힘, 줄의 장력

    실험방법
    실험. 힘과 가속도
    1. 테이블 끝의 도르래에 추를 매단 줄을 걸어둔다. 무선 스마트 카트의 전원을 켜고, 소프트웨어에 무선 연결한다. Hardware Setup > Avialable Wireless Device 화면에서 > ‘ 무선장치’아이콘 클릭 > ‘사용 가능한 장치’에서 장치 선택한다. 무선 스마트 카트는 모션 인코더와 힘 센서가 내장되어 있어, 운동 중 카트의 운동 속도를 기록함과 동시에 고리에 연결된 줄의 장력을 측정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일반물리학실험1] 이상기체 법칙 실험 보고서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의 이론(원리)
    3. 실험 기구 및 실험 방법
    4. 결과 및 분석(분석, 토의,오차 발생 원인)
    5. 결론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이상기체의 특징을 알아보고, 이상기체의 몰수를 구하며, 보일의 법칙, 샤를의 법칙, 게이-뤼삭의 법칙, 이상기체 방정식을 실험으로 알아본다.

    2. 실험의 이론 (원리)
    이상기체(ideal gas)란 실제 기체와 비교하여 다음의 가정을 한 점이 다르다.
    – 기체의 분자 수가 많고 사이의 평균 거리는 분자의 크기보다 훨씬 크다.

    <중략>

    실험 결과 분석
    실험 1. 이상기체법칙
    [그래프 분석] <압력(Pressure) - 시간, 온도(Temperature) - 시간>
    ■ 플런저를 끝까지 눌렀을 때
    – 압력-시간 그래프에서 압력이 상승하여 최고점을 찍는다.
    – 온도-시간 그래프에서 온도가 상승하여 최고점을 찍는다.

    ■ 플런저를 누른 상태로 유지할 때 (약 시간대 3.5초 ~ 10초 부피: 21.5mL 일정)
    – 압력-시간 그래프에서 압력이 일정한 값으로 수렴한다.
    – 온도-시간 그래프에서 온도가 일정한 값으로 수렴한다.

    ■ 플런저를 가만히 놓았을 때
    ­ 압력-시간 그래프에서 압력이 감소하며 일정한 값으로 수렴한다.
    ­ 온도-시간 그래프에서 온도가 감소하여 최저점을 찍었다가 다시 상승하며 일정한 값으로 수렴한다.
    ­ 약 15초 이후, 압력이 감소 후 일정한 값으로 수렴이 될 때, 주사기의 부피가 증가하고 있을 때, 온도도 증가한다.

    실험 2. 보일의 법칙
    [그래프 분석] 절대 압력(Abs, Pressure)-체적 (Syringe volume)
    ■ 50mL부터 5mL씩 감소하며 측정할 때
    – 세로축, 절대 압력이 증가한다. (기울기가 음의 값의 그래프가 나온다.)

    이번 이상기체 법칙 실험은 부피가 일정할 때 압력과 온도의 관계인 게이-뤼삭의 법칙, 압력이 일정할 때, 부피와 온도의 관계인 샤를의 법칙과 온도가 일정할 때, 압력과 부피의 관계인 보일의 법칙을 실험을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일반물리학실험1] 운동량과 충격량 실험 보고서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의 이론(원리)
    3. 실험 기구 및 실험 방법
    4. 결과 및 분석(분석, 토의,오차 발생 원인)
    5. 결론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1차원 트랙에서 운동하는 두 물체의 충돌 실험을 통하여 선운동량 보존 법칙과 충격량을 이해한다.

    2. 실험의 이론 (원리)
    (1) 선운동량의 정의와 운동량 보존 법칙
    운동량은 물체의 질량과 속도의 곱으로 정의되는 벡터양으로 로 표현되며, 운동량의 SI 단위는 이다. 운동량 보존 법칙에 의하면, 서로 충돌하는 두 물체로 구성된 계에서 외부 힘이 작용하지 않는 고립계일 경우, 충돌 전과 충돌 후의 전체 운동량이 서로 같으며, 충돌 전과 충돌 후의 각 물체의 운동량은 변할 수 있지만, 운동량의 합은 항상 일정하다. 운동량 보존 법칙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 는 충돌하는 두 물체의 질량들을, , 는 질량 인 물페의 충돌 전후의 속도를 , 는 질량 인 물체의 충돌 전후의 속도이다.

    (2) 충돌(collision)
    충돌은 크게 탄성 충돌 (elastic collision), 비탄성 충돌 (inelastic collision), 완전 비탄성 충돌 (perfectly inelastic collision)이 있다. 탄성 충돌에서는 충돌 전후의 운동량이 보존된다.
    질량이 이고 속도가 인 물체의 운동에너지는 이다. 탄성 충돌에서는 운동에너지도 보존되어서 충돌 전후의 운동에너지는 같다.
    비탄성 충돌과 완전 비탄성 충돌에서도 전체 운동량은 보존된다. 하지만, 운동에너지는 보존되지 않아서 충돌 후 운동에너지의 손실이 발생한다. 특히 완전 비탄성 충돌은 충돌 후, 두 물체가 합쳐져 같이 속도 로 운동하므로 운동량 보존 법칙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3. 실험 기구 및 실험방법
    <실험 기구>
    Ÿ 스마트 카트
    Ÿ 역학 트랙
    Ÿ 엔드 스톱
    Ÿ 질량 막대
    Ÿ 용수철 범퍼
    Ÿ Capstone 소프트웨어
    Ÿ 수준기

    <실험방법>
    (1) 실험 1: 운동량 보존
    #분열 – 같은 질량의 카트
    1. 2대의 카트를 이용하여 운동량 보존을 살펴보는 실험을 위해 빨간색과 파란색 2대의 스마트 카트를 준비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아동의 복지에 영향을 줄수있는 발달영역 중 자신의 주변에 가장 문제시 되는 영역에 대해 경험한 사실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이론에 대해 설명하고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서술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아동의 복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발달영역

    2. 아동의 복지에 영향을 주는 발달영역 중 본인의 주변에 가장 문제되는 영역

    3.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이론

    4. 문해결방법에 대한 본인의 생각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동의 복지는 여러 발달영역으로부터 영향을 많이 받는다. 아동복지는 아동의 복리를 증진하거나 욕구를 충족하는 것과 관련된 아동이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는 기본적인 여건을 조성하고 조화롭게 성장‧발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경제적, 사회적, 정서적 지원이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아동복지의 실천은 아동이 편안하고 행복하게 잘 지내는 상태 혹은 그러한 삶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환경을 조성해ㅜ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성장·발달하는 민감한 시기에 있는 아동복지는 아동의 복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발달영역이 상호작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아동의 전반적인 성장과 복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동의 복지를 위해서는 양육자의 면밀한 보살핌과 관심이 필요하며, 아동이 또래친구들과 건강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다. 즉 아동이 편안하고 행복하게 잘 지내는 환경을 통해 아동복지를 실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변화에 따라

    <중략>

    아동의 복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발달영역은 다양하며 여러 발달영역 서로 간에 상화작용을 하면서 아동의 전반적인 성장과 복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아동복지에 영향을 준다. 아동의 건강하고 안전한 발달을 관련하여 아동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발달영역은 다음과 같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정신간호학, 82년생 김지영, 비치료적 의사소통 분석을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재구성

    목차

    Ⅰ. 서론
    1. 문헌고찰

    Ⅱ. 본론
    1. 영화 소개
    2. 비치료적 의사소통 분석을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재구성

    Ⅲ. 결론
    1. 느낌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 정체성 해리성 장애
    (1) 정의
    : 한사람이 둘 또는 그 이상의 인격을 갖며, 한번에 한 인격이 그 사람의 행동을 지배하는 것을 말한다.
    (2) 원인
    : 대개 학대와같은 소아기 외상 경험과 연관되어있으며, 신체적 학대가 가장 흔하게 보고되는 아동기 외상이다.
    (3) 발병
    : 급격한 발병, 여자에게 잘 발병한다. 청소년기와 20대에 호발한다. 소아의 경우에는 여자보다 남자에게 발병이 잘되며, 성적학대, 정신적 외상, 신체적 폭행 등이 원인이된다. 첫 증상 후 진단이 내려지기 때지 걸리는 평균기간은 6~7년이다,
    (3) 증상
    :해리성 정체감 장애 환자들이 가지는 다중 인격의 수는 평균 5~10가지 정도이다. 성격간의 이동은 때로는 갑작스럽고, 드라마틱하게 이루어 진다. 환자들은 각각의 인격에서 경험한 것들이 일반적으로 기억하지 못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다른 인격의 존재를 완벽하게 인지하기도 하고, 때로는 본인이 아닌 친구 같은 남으로 경험하기도 한다. 하나로 한 사람 안에 둘 또는 그 이상의 각기 구별되는 정체감이나 인격 상태가 존재한다.
    (4) 특성
    – 한개인 내에 두개 혹은 그 이상의 인격이 존재하고, 한 성격에서 다른 성격의 변화
    – 지가에게 다른 인격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무관심
    – 정체성의 변화는 환경의 급격한 자극이 있을 때 갑작스럽게 일어나며, 각각의 인격은 서로 모순이 되고 때에 따라 정반대 되는 성격을 지님
    – 변화된 인격에서 원래의 인격으로 돌아갔을 때 그 동안 일을 기억하지 못함
    – 해리성 장애의 다른 형태보다 예후가 나쁨
    – 조기 발병일 수록 예후가 나쁘고 반이상이 만성 경과
    (5) 진단
    해리성 정체장애의 DSM-5 진단기준
    A. 둘 또는 그 이상의 각기 구별되는 성격 상태로 특징지어지는 주체성의 붕괴가 나타나는데, 몇몇 문화에서는 빙의의 경험으로 보기도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