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3
Ⅱ. 본론 ······························································································· 3~5
1. 애니메이션에서의 성차별
2. 게임에서의 성차별
III. 결론 ···································································································· 5
Ⅳ. 참고문헌 ···························································································· 6
본문내용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미디어에 손쉽게 노출되는 현대, 특히 어린이들이 디지털 미디어에 노출되는 시기가 더욱 빨라졌다. 2020년에 실시된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만 3~9세 어린이의 하루평균 미디어 이용 시간이 약 4시간 45분(약 285분)으로 세계 보건기구(WHO)의 권고기준인 1시간을 훌쩍 넘긴 것을 볼 수 있다. 1)(한국언론진흥재단, 2020. p.27-32) 추가로 어린이가 가장 많이 이용한 서비스 및 플랫폼에서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이 78.7%, 게임 플랫폼이 37.3%로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2)(한국언론진흥재단 p.34) 이처럼 동영상과 게임은 큰 영향력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동영상과 게임에는 아직도 많은 성차별 요소들이 자리 잡고 있다. 이는 성차별적 사고를 정당화할 수 있는 요인이 되거나 성역할 고정관념을 강화시키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게임과 애니메이션 동영상에서 나타나는 성차별의 예시를 찾아보고 이로 인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탐구해보려고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