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생기부] 아동복지학과 맞춤형 생기부 기재 예문입니다. 생기부 작성에 막막하신 분들이 보시면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목차

    1. 진로활동 특기사항 기재 예시
    2. 자율활동 특기사항 기재 예시
    3. 동아리 활동 특기사항 기재 예시

    본문내용

    자신의 진로에 대해 방황하던 중, ‘진로 적성검사 ‘(2023.03.26)활동에서 진로 정보 사이트 진로 적성검사를 통해 자신이 꿈꾸는 유치원 교사에 대해 확신하게 됨. 진로를 정한 후, 진로 정보 사이트를 통해 유치원 교사의 자질, 능력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키우기 위해 학교 활동에 열심히 참여함. 진로 정보 사이트를 통해 자신이 희망하는 학과, 대학을 정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며 자신의 진로를 위해 적극적인 태도를 보임. 나의 진로 포트폴리오 제작하기(2023.12.12.) 활동에서 아동 인권에 대한 신문스크랩 활동을 진행함. 유치원에서 일어난 아동학대에 대해 심각성을 느끼고 유치원 교사의 자질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됨. 유치원 아동학대 기사를 접하면서 유치원 교사로서 책임감, 공감 능력의 필요성을 느낌. 또한, 어린이 모델과 같이 어린 나이에 돈을 버는 아동의 인권을 다룬 기사를 접하며 자신이 생각하지 못한 아동 인권에 대해 생각해 봄.

    출처 : 해피캠퍼스

  • [A+]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기계공학실험(2) 기초 진동 실험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내용
    3. 실험 이론
    4. 실험기구 및 재료
    5. 실험방법
    6. 실험결과
    7. 결과에 대한 고찰
    8. 결론
    9.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본 실험의 목적은 1 자유도 강체 보 진동계의 자유진동, 강제진동 실험을 통해 진동의 실험해석과 관련된 실험 기법 및 개념을 습득하는 것이다.

    2. 실험 내용
    본 실험에서는 강체 보와 스프링, 점성 감쇠기로 구성된 1 자유도 진동 구조물의 진동 특성을 실험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한다. 자유진동 실험에서는 비감쇠 자유진동과 감쇠 자유진동 실험을 한다. 먼저 비감쇠 자유진동 실험에서는 파장을 측정하여 진동주기, 진동수, 고유진동수, 스프링 회전강성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해 질량관성모멘트를 계산하여 이론값과 비교한다. 감쇠 자유진동 실험에서는 진동주기, 진동수, 감쇠 고유진동수, 대수감소율, 감쇠비, 고유진동수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해 질량관성모멘트를 계산하여 이론값과 비교한다. 추가로 비틀림 점성감쇠상수를 계산하고 이를 통해 점성감쇠상수를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강제진동 실험에서는 보에 설치된 가진 모터를 작동하여 불평형 질량에 의한 조화가진력을 발생시켜 진동계를 가진 시키고, 그에 따른 조화가진 응답을 측정하고 분석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총 질소 측정 (TN) / 환경분석실험 / 환경공학과 / A+

    목차

    1. object & theory
    2. Experimental Process
    3. Observation & Result (Include Appendix)
    4. Discussion
    5. Pre report: 염화수소 측정
    6. Reference

    본문내용

    ○ Object
    폐수 중에 존재하는 부영양화 현상의 원인 물질인 유기성 질소와 무기성 질소의 총량을 측정한다.

    ○ Theory
    총질소 :
    총질소는 무기성 질소와 유기성 질소의 총량을 의미한다. 수중에 존재하는 질소의 총량은 수중의 생산력을 좌우하여, 하천, 호소 등의 부영양화를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이다. 부영양화 현상의 예측과 제어는 수중에 존재하는 질소의 총량을 기준으로 한다. 인구의 집중도가 큰 지역의 하천, 호소에 많다. 물속에 존재하는 질소화합물은 유기질소와 무기질소 형태로 존재하며 부영양화(효소 및 하천 내 조류의 이상증식으로 인한 현상)의 원인물질이 된다. 유기성 질소는 아미노산, 폴리펩타이드, 단백질 등 생물학적 생산물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유기화합물 중에 함유되어 있는 질소로, 분뇨, 공장폐수 등의 유입으로 증가한다. 무기성 질소는 암모니아성 질소, 아질산성 질소 및 질산성 질소를 의미한다.

    질소 증가→수중 생산력 증가→영양염류 증가→조류증가→조류 사후 분배→용존산소 결핍

    총질소 실험 원리 :
    물속에서 질소가스의 농도는 대기에서 질소가스의 평형에 따라 보통 15~20mg/L로 매우 높다. 하지만 질소 가스는 반응성이 없으므로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 물속에 존재하는 총질소의 농도를 파악하는 것보다 4가지 형태 각각의 질소 농도를 파악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므로 각각의 질소 형태에 대한 분석 방법 또한 중요하다. 총질소는 각각의 질소화합물의 합으로 구할 수 있으나 “Standard Methods”에서는 총질소 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분석방법이 수재되어 있다. 이 방법은 물속에 존재하는 총질소의 양을 신속하게 측정하는 데 유용할 것이며, 세 가지 형태의 질소화합물의 농도를 알 때 나머지 한 가지 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데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질소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킬달분해 과정을 거쳐야 하나 총질소 농도와 세 가지 형태의 무기 질소화합물의 농도를 알면 킬달분해 없이 유기질소의 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기계공학실험(2) 인장 실험 보고서

    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순서 및 방법
    3. 실험장치 및 구성
    4. 실험내용
    5. 실험 결과
    6. 결론 및 고찰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실험목적
    본 실험에서는 인장 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인장 실험에 사용되는 시험기의 사용 방법을 습득하고, 재료의 강도 해석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역학적 파라미터의 측정 방법과 원리를 이해한다. 재료에 가해지는 하중과 측정된 변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재료의 기계적 거동을 이해하고, 이로부터 재료의 기계적 특성을 결정하는 탄성계수, 항복강도, 인장강도, 연신율, 단면수축률 등과 같은 물성치를 이해한다. Steel과 AL의 평균물성치를 측정하고 Steel과 AL의 물성치 및 그래프가 어떻게 다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분석한다.

    2. 실험순서 및 방법
    ① 시편의 width, thickness, 표점거리를 측정한다.
    ② 인장시험기를 작동시킨 후 시편을 물리지 않은 상태로 영점을 맞춘다.
    ③ 실험 조건을 입력한다.
    ④ 시편을 물리고 하중을 가한다.
    ⑤ 시편이 파단되면 시험기로부터 시편을 제거하고 파단 시편의 width, thickness, 표점거리를 측정한다.
    ⑥ 인장시험기를 초기의 위치로 복구하고 다음 시편을 물린다.
    ⑦ Steel 시편 3개, AL 시편 3개에 대해 ①~⑥의 과정을 반복한다.

    3. 실험장치 및 구성
    (1) 인장시험기: 시편을 물려 파단까지 하중을 가해 인장하고 인장강도 및 파단강도를 측정한다.
    (2) 버니어 캘리퍼스: 시편의 인장 전후의 width, thickness, 표점거리를 측정한다.
    (3) 시편: 탄성계수, 항복점, 강도, 연신율, 단면수축률과 같은 물성치를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재료이다.
    (4) PC
    (5) 네임펜
    (6) 자

    4. 실험내용
    ■ Stress-strain diagram
    ① 비례한계(proportional limit, A): 이 초기 영역에서 응력과 변형률 사이의 관계는 비례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점 A를 넘어서면, 응력과 변형률 사이의 비례성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므로 A에서의 응력은 비례한계라고 불린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기계공학실험(2) 방사선계측 실험 보고서

    목차

    1. 실험 목적
    2. 이론적 배경
    3. 장치 및 구성
    4. 실험내용
    5. 실험 결과
    6. 고찰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여러 가지 방사선 계측기기를 활용하여 방사선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고 올바른 개념과 특성을 이해한다.

    2. 이론적 배경
    (1) 방사선과 방사능
    ① 방사선(radiation)
    불안정한 상태의 물질(방사성 물질)이 안정적인 상태로 바뀔 때 나오는 입자 혹은 빛

    ② 방사능(activity)
    물질이 방사선을 내뿜는 능력

    <중략>

    4. 실험 내용
    실험 1) GM Tube
    ① 거리에 따른 방사선 방호 효과
    ⅰ. 장비의 전원을 켠다.
    ⅱ. 실험조건을 설정한다.(900, 100)
    ⅲ. Co-60 방사선 시편을 계측기 (3/6/9) 칸에 위치시킨다.
    ⅳ. Count 버튼을 누른다.
    ⅴ. 사용 후 전압을 0으로 내리고 종료한다.

    ② 차폐체에 따른 방사선 방호 효과
    ⅰ. 장비의 전원을 켠다.
    ⅱ. 실험조건을 설정한다.(900, 100)
    ⅲ. Co-60 방사선 시편을 계측기 3칸에 위치시킨다.
    ⅳ. 차폐체(T(Pb), S(Pb), P(Al), X(없음))를 위치시킨다.
    ⅴ. Count 버튼을 누른다.
    ⅵ. 사용 후 전압을 0으로 내리고 종료한다.

    실험 2) HPGe 검출기
    : 커피 원두의 방사능과 방사성 핵종을 분석
    ⅰ. 커피 원두로 가득 찬 마리넬리 비커를 장비에 위치시킨다.
    ⅱ. 시편의 조건을 작성하고 측정을 실행한다.(live time: 80,000sec, 353)
    ⅲ. Start 버튼을 누른다.
    ⅳ. 측정 후 피크에 해당하는 동위원소를 확인하고 출력한다.

    5. 실험 결과
    (1) 실험 1-1과 1-2에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표를 만들고 이를 분석하시오.
    ① 거리에 따른 방사선 방호 효과
    900에서 100동안 Co-60 시편의 방사선을 측정한 실험 결과와 이론값을 [표 2]에 나타냈다. 3칸일 때 932개가 Count 되었고 에 따라 6칸이 되었을 때는 거리가 2배가 되었으므로 배가 되어 233개 정도가 Count 되어야 하지만 그보다 훨씬 많은 462개가 Count 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철 농도 측정 (Fe) / 환경분석실험 / 환경공학과 / A+

    목차

    1. object & theory
    2. Experimental Process
    3. Observation & Result (Include Appendix)
    4. Discussion
    5. Pre report: 총인 농도 측정 (TP)
    6. Reference

    본문내용

    ○ Object
    자외선/가시선 흡광광도법 (페난트로린법)을 이용하여 수중의 철 이온 농도를 측정한다.

    ○ Theory
    철 (Fe) :
    지각 중에 널리 존재하는 원소(약 5%정도 함유)로 알루미늄 다음으로 많이 존재하며 원소 중에서는 산소, 규소, 알루미늄 다음으로 많이 존재한다. 순수한 금속 상태로 산출되는 일은 극히 드물며, 다른 원소와 결합된 상태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암석이나 토양에서 주로 자철광(Fe3O4), 황화철(FeS), 산화제이철(적철광, Fe2O3) 등의 형태로 존재한다. 자연수 중에는 지표수에 1.5mg/L 이하, 평균 0.2mg/L로 존재하고 하천수에서 0.67mg/L, 빗물에는 0.23mg/L 존재하며 지하 심층수에는 20mg/L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자연수 중의 Fe는 암석 또는 토양 중의 철광석이 환원되어 용출되는 것으로 우수가 지하로 침투하는 경우 유기물 분해에 의하여 산소가 소비되고 CO2가 발생한다. 물속에서 용해성 철(Fe2+)로 존재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보통 Fe(OH)3 형태로 현탁되어 있다. 토양중의 Fe는 무산소 상태에서 환원작용이 일어나 Fe2O3, FeCO3, Fe(HCO3)2로 되어 용존한다. 따라서 철은 수중에서는 탄산수소염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초산염, 황산염, 염화물 및 유기화합물로 존재한다. 점토 등 유기물이 많은 물속에서는 휴민산염 등의 콜로이드성 유기착화합물로 존재한다.
    수도 등 기관내의 Fe는 원수 중에서도 유래되지만 관(철 재질)에서도 용출된다. 철이 함유된 물은 마셔도 별다른 해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Fe3+로 산화되어 콜로이드 침전을 형성, 물을 혼탁하게 만들고 이 때문에 미관상 좋지 않게 된다. 철은 세탁을 방해하며 배관시설물에 얼룩을 내기도 하고, 철 박테리아의 성장을 유발하여 배수관망에 장애를 일으키기도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황산화물(SOx) 측정 (침전적정법) /환경공학과/ A+

    목차

    1. object & theory
    2. Experimental Process
    3. Observation & Result (Include Appendix)
    4. Discussion
    5. Pre report: 암모니아 측정
    6. Reference

    본문내용

    ○ Object
    침전적정법(아르세나조 Ⅲ법)을 이용하여 대기오염물질 중 하나인 황산화물의 양을 정량한다.

    ○ Theory
    황산화물(SOx: sulfur oxides) :
    황(S)과 산소의 화합물을 총칭하는 것. 이산화황(SO2), 삼산화황(SO3), 황산(H2SO4) 그리고 황산구리(Cu2SO4)와 같은 황산염 등이 속한다. 주요 대기오염물질 중 하나로 수용성이 커 산성비와 스모그(런던형 스모그)의 원인이 되거나 기체 자체가 인체 점막에 작용하여 호흡기 질환을 일으킨다. 황은 주로 석유 등 석탄 연료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화석연료가 연소될 때 황이 산화되어 황산화물이 되어 배출하게 된다. 연소과정 중 생성되는 SOx의 비율은 SO2가 약 95%, SO3가 약 5%이다. 전세계 황화합물의 배출량 중 자연적 발생량은 50%, 인위적 발생량은 50%이다. 무색, 불연성 기체로 자극성 냄새를 가지고 있으며 환원성을 가진다. 이 때문에 수분과 함께 각종 색소를 표백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산성비 :
    이산화황(SO2,)과 삼산화황(SO3)이 물과 작용하여 아황산(H2SO3)이나 황산(H2SO4)이 되기 때문에 일어난다. 산성비는 식물의 엽록소를 파괴하여 식물의 잎을 누렇게 변하게 하거나 말라 죽게 하며, 건물을 서서히 부식시킨다.

    런던형 스모그 :
    1952년 런던에서 5일간 발생한 스모그 현상으로 400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원인은 가정 난방의 매연 중 황산화물(아황산가스)과 겨울에 발생하는 안개가 복합하여 황산미스트를 생성한 것으로 기관지염, 폐결핵, 폐렴 등 호흡기 질환을 일으켰다.

    배출가스 중 황산화물 측정 방법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
     2021 개정 후: 자동측정법(정전위전해법, 용액전도율법, 적외선흡수법, 자외선흡수법, 불꽃광도법), 침전적정법(아르세나조Ⅲ법)

    출처 : 해피캠퍼스

  • [A+]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기계공학실험(2) 오리피스 실험 보고서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기기
    3. 실험에 관련된 이론 및 원리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및 고찰
    6.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오리피스를 이용하여 실제 유량과 이론 유량의 비율의 토출계수(discharge coefficient)를 구하고 레이놀즈 수와의 관계를 알아본다.

    2. 실험기기
    오리피스 실험장치(AD-OMU100), 피토정압관, 컴퓨터(LabVIEW 프로그램)

    3. 실험에 관련된 이론 및 원리
    (1) Bernoulli Equation
    정상유동에서 점성효과가 무시되고, 비압축성 유동으로 가정하며, 유선을 따라서 적용되는 식이다. 유선에서 흐르는 속도와 압력, 높이의 관계를 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을 바탕으로 식으로 나타낸 법칙이며 식은 다음과 같다.

    (2) Reynolds Number
    유체요소에 작용하는 점성력에 대한 관성력의 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유동의 종류마다 다른 임계 값을 가지며 레이놀즈 수가 특정 값보다 작으면 층류, 크면 난류라고 할 수 있다. 식은 다음과 같다.

    (3) 오리피스
    [그림 3]에서 보이는 것처럼 파이프의 두 플랜지 사이에 구멍이 뚫린 판을 끼워 넣어서 만든 것이며 베르누이의 법칙을 통해 면적이 좁아지는 판을 지날 때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고 압력이 감소함을 이용하여 압력차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이다. 수축류에 있는 점 (2)에서의 압력은 점 (1)에서의 압력보다 작다. 연속방정식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식을 도출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황산화물(SOx) 측정 (중화적정법) / 환경분석실험 / A+

    목차

    1. object & theory
    2. Experimental Process
    3. Observation & Result (Include Appendix)
    4. Discussion
    5. Pre report: 암모니아성 질소 (NH3-N)
    6. Reference

    본문내용

    ○ Object
    중화적정법을 이용하여 대기오염물질 중 하나인 황산화물의 양을 정량한다.

    ○ Theory
    황산화물(SOx: sulfur oxides) :
    황(S)과 산소의 화합물을 총칭하는 것. 이산화황(SO2), 삼산화황(SO3), 황산(H2SO4) 그리고 황산구리(Cu2SO4)와 같은 황산염 등이 속한다. 주요 대기오염물질 중 하나로 수용성이 커 산성비와 스모그(런던형 스모그)의 원인이 되거나 기체 자체가 인체 점막에 작용하여 호흡기 질환을 일으킨다. 황은 주로 석유 등 석탄 연료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화석연료가 연소될 때 황이 산화되어 황산화물이 되어 배출하게 된다. 연소과정 중 생성되는 SOx의 비율은 SO2가 약 95%, SO3가 약 5%이다. 전세계 황화합물의 배출량 중 자연적 발생량은 50%, 인위적 발생량은 50%이다. 무색, 불연성 기체로 자극성 냄새를 가지고 있으며 환원성을 가진다. 이 때문에 수분과 함께 각종 색소를 표백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산성비 :
    이산화황(SO2,)과 삼산화황(SO3)이 물과 작용하여 아황산(H2SO3)이나 황산(H2SO4)이 되기 때문에 일어난다. 산성비는 식물의 엽록소를 파괴하여 식물의 잎을 누렇게 변하게 하거나 말라 죽게 하며, 건물을 서서히 부식시킨다. COD는 BOD(Biological Oxygen Demand, 용수 및 폐수의 유기물질에 의한 오염지표)와 더불어 사용되고 있는데, COD는 단시간에 측정가능하고 사용 기기 조작법도 비교적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

    런던형 스모그 :
    1952년 런던에서 5일간 발생한 스모그 현상으로 400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원인은 가정 난방의 매연 중 황산화물(아황산가스)과 겨울에 발생하는 안개가 복합하여 황산미스트를 생성한 것으로 기관지염, 폐결핵, 폐렴 등 호흡기 질환을 일으켰다.

    출처 : 해피캠퍼스

  • MDCG 2023-6_국문

    목차

    1. 소개
    2. 범위
    3. 동등성의 입증

    본문내용

    이 문서는 규정(EU) 103/2017의 745항에 의해 설립된 MDCG(Medical Device Coordination Group)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MDCG는 모든 회원국의 대표로 구성되며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대표가 의장을 맡습니다.
    이 문서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문서가 아니며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 공식 입장을 반영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없습니다. 이 문서에 표현된 모든 견해는 법적 구속력이 없으며 유럽 연합 사법 재판소만이 연합 법률에 대한 구속력 있는 해석을 내릴 수 있습니다.

    1 소개
    의료기기에 관한 규정(EU) 2017/745(이하 MDR(의료기기 규정))는 적합성 평가2 중인 기기에 필요한 임상 평가에서 동등한 기기와 관련된 임상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합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