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인간의 발달과 정신건강에서 중년기 정신건강의 개념을 이해하고, 관련보도(뉴스,기사)를 찾아 정신건강문제를 파악하여 개입방안을 작성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중년기 발달적 특성
    2) 중년기 발달적 과제
    3) 중년기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정신건강상 문제
    4) 신문기사 예제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tv나 방송매체를 통해서 사오정이나 구포자등 일상용어가 된지 오래다. 그러한 상황에 피하기 위해 결혼과 출산을 기피하기도 하지만, 우리 주위에 평범한 대부분의 중년기는 결혼을 하여, 가정을 꾸린 사람들이다. 중년기 정신건강에 대한 서구의 연구가 비교적 일관되게 보고하는 결과 중 하나는 여성이 남성보다 정신 건강이 매우 열악하다는 점이다. 정신건강에 있어서의 이러한 성차(gender difference)를 사회적 역할 점유에 있어서의 남녀 차이와 연결시켜서 설명하고자 하는 실증 연구들이 축적되어 왔다. 여자가 남자보다 우울증이 높고, 심리적 복지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에 대한 성(gender)의 효과는 취업여부 와 심리적 복지감에 있어서의 남녀차이는 교육수준의 동등화로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가 증가하고 교육에 있어서는 남녀차이가 완화되면 정신건강에 있어서의 남녀차이가 줄어들 것임을 시사한다. 취업여부와 우울감은 성별 상호작용 효과를 보여서 비취업 남성의 우울감이 비취업 여성의 우울감보다 더 높게 나타나 직업 역할이 남성의 정신건강에 얼마나 중요한 지를 보여준다. 이 과제물을 통해서 인간발달과 정신건강에서 중년기의 정신건강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본 뒤, 그들의 정신건강의 저해 요소를 살펴보며 그에 대한 대안을 작성해보도록 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중년기 발달적 특성
    중년기는 보통 40세부터 시작하여 65세 이전까지로 인생의 전반기에서 후반기로 넘어가는 중요한 전환기이며, 인생의 황금기, 인생전성기로 인생목표를 성취해 가는 삶의 절정기로 내적 · 외적인 변화를 다양하고 폭넓게 경험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한 개인에게 부과된 과업을 거의 완수하고 사회적 책임자의 위치에 있는 원숙한 시기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우리나라 사회 환경에 맞는 복지사업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서술하시오.(예) 아동 학대문제 다양한 중독문제 노인 치매문제 등)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저출산 문제
    1)우리나라 저출산현황
    2)타국가의 정책
    3)우리나라 출산정책 문제점(출산권 보장)
    4)정부정책외 민간기업 정책
    5)문제점 개선방안

    2. 고령화 문제
    1)고령화 현상
    2)노령화로 인한 문제점
    3)노령화 개선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저출산 문제에 관한 뉴스나 토론을 많이 접하고 있다. 그런 빈도가 증가 할수록 실제적인 문제로 다가오고 있음을 느낀다. 아주 간단한 이야기지만, 출산율이 낮으면 20년 뒤엔 그만큼 생산인구가 감소한다는 이야기이고, 또한 의료기술 발달에 따른 고령화로 인해 부양해야 하는 인구는 오히려 증가하는 문제에 부딪히고 있다. 출산률과 고령화에 직면한 우리의 현실적인 문제에 대해 본론에서는 두가지 복지문제에 대해서 어떤 사업과 정책이 필요한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저출산 문제
    1)우리나라 저출산 현황
    우리나라의 출산율(합계출산율)은 2021년 기준 가임여성 1명당 0.808명이다. 2018년 기준 1명 아래인 0.98명으로 떨어진 이후 하락추세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이렇게 가다 보면 올해 2023년 기준 0.7명 이하가 될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까지 나오고 있으며, 우리나라 출산율은 심각을 넘어 위험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동기부여 이론의 종류와 자신이 선호하는 이론과 그 이유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동기부여 내용이론
    1. 매슬로우의 욕구 단계론
    2. 허츠버그의 2요인 이론
    3. 맥클리랜드의 성취동기이론

    2)동기부여 과정이론
    1. Vroom의 기대이론(Expectancy Theory)
    2. Adams의 형평성 이론(Equity Theory)
    3. 자기결정이론
    4. Locke의 목표설정 이론(Goal Setting Theory)
    5.맥그리거의 X․Y이론

    Ⅲ. 결론

    본문내용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면서 다양한 환경과 사람과 부딪치면서도 간혹 자신의 위치와 행동에 대해 의구심을 가질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런 경우는 아마도 스스로의 목표설정이 없거나 목표가 설정되었다 할지라도 이를 행하려는 의지가 부족하거나 동기부여가 결여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동기부여는 스스로의 계획적인 목표와 의지에 의해서 발생할 수도 있겠지만, 교사나 친구, 부모님이나 가까운 친구들에게 영향을 받는 경우도 대부분이다. 교육학이나 심리학에서는 이러한 동기부여를 중요한 학문적 요소로 여기는 것 같다. 이에 동기부여를 통해 그 내용이 어떤한지 알아보며, 본문을 통하여 동기부여 활용방안에 대해서 심도있게 다루어 보고자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다문화가족 자녀들의 성장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해서 논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다문화가족이란
    2. 다문화 현황과 실정
    3. 다문화가정의 자녀
    4. 다문화가족 문제점
    5. 다문화 가족 지원책
    6. 사회적 지원방향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다문화가정자녀들이 학교에서 겪는 어려움으로는 학업문제, 외모문제, 부모국적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이유로 또래로부터 따돌림을 경험하고 있다. 특히 다문화가정 자녀들에게 나타나는 학습능력 저하, 학습동기 결여, 소극적인 관계로 인한 친구들과의 관계형성의 어려움이 학교생활의 부적응이나 일탈의 원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사회의 부적응으로도 이어지고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다문화가족의 자녀들이 성장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해결방안 위주로 논의해보고자 합니다.
    .

    Ⅱ. 본 론

    1. 다문화가족이란

    다문화가족은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 국제결혼이주자, 북한이탈주민, 외국인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 등으로 구성된 가족을 비차별적 언어로 부른다. 다문화가족의 확장의 개념으로 자국 내에 거주하는 모든 외국인 가정을 포함하는 반면, 소극적 개념은 단 순히 주거 거주하는 것이 아닌 가족 중 한명이 한국 국적을 취득해 구성된 가정을 의미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국내 출산정책의 모범사례를 지방자치단체에서 찾아보시고 학습자께서 시장이라면 인구를 늘리기 위해서 어떠한 정책을 시행할지 자유롭게 서술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저출산 문제
    1)우리나라 저출산현황
    2)타국가의 정책
    3)우리나라 출산정책 문제점
    4)정부정책외 민간기업 정책
    5)지방자체단체 사례
    5)문제점 개선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인구 저출산 문제에 관한 신문이나 티비를 통하여 많은 사회적 문제화가 되고 있고 그 파급효과는 점점 커지고 있다. 이런 사회적 문제의 증가로 인해 앞으로 미래에 다가올 실제적인 문제을 피부로 느낀다. 아주 심플한 이야기이지만, 아동 출산율이 낮으면 20~30년 뒤엔 그만큼 청년수 감소에 따른 생산인구가 감소한다는 이야기이고, 또한 의료기술 발달에 따른 고령화로 인해 부양해야 하는 인구는 증가하여 부양해야하는 문제에 부딪히고 있다. 출산률과 고령화에 직면한 우리의 현실적인 문제에 대해 내가 시장이라면 어떠한 정책을 펼쳐야 좋은지에 대해 본문에서 기술해 보고자 한다.
    .

    Ⅱ. 본 론

    1. 저출산 문제
    1)우리나라 저출산 현황
    우리나라의 출산율(합계출산율)은 2021년 기준 가임여성 1명당 0.808명이다. 2018년 기준 1명 아래인 0.98명으로 떨어진 이후 하락추세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이렇게 가다 보면 올해 2023년 기준 0.7명 이하가 될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까지 나오고 있으며, 우리나라 출산율은 심각을 넘어 위험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에 문재인정부 및 윤석열정부는 저출산 문제, 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내오고 있다. 저출산·인구 감소문제는 윤석열 정부뿐만 아니라 이전 정부 때부터도 제기돼 왔기 때문에 어느 정권만의 문제가 아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허혈성 심질환 정의, 원인, 증상, 검사, 종류

    목차

    1. 정의

    2. 원인
    (1) 조절 불가능한 위험요인
    (2) 조절 가능한 위험요인
    (3) 기여요인

    3. 증상
    (1) 협심증
    (2) 심근경색

    본문내용

    신체 각 부분이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려면 혈관을 통해 적절한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아야 한다. 심장도 마찬가지로 관상동맥이라는 혈관을 통해 필요한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는다. 필요한 양을 공급받지 못하면 심장근육에 대사산물이 쌓이고 저산소증에 빠지게 되어 기능에 장애가 생기는데 이러한 경우를 심근허혈이라고 한다.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질 때 이런 현상이 발생한다. 관상동맥이 좁아지는 이유는 주로 관상동맥의 동맥경화 때문이며 흡연, 스트레스, 비만 등이 위험요인이다.

    ▶정의
    부적절한 관류상태로 인해 심근에 산소가 불충분해진 상태 또는 심근의 산소요구량과 산소 공급량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장질환

    ▶원인
    (1) 조절 불가능한 위험요인
    유전적 소인 : 가족력
    40대 이상
    남성이 여성보다 4배 이상, 경구피임약 복용 여성, 폐경이 빠른 여성
    흑인
    (2) 조절 가능한 위험요인
    도시>농촌
    흡연(혈전 발생, 혈관 수축, 조직에 산소공급 저하)
    고혈압, 고콜레스테롤, 고지혈증, 비만, 좌식생활, 운동부족
    (3) 기여요인
    당뇨, 공복 시 혈당>110mg/이
    스트레스, 호모시스테인 수치

    ▶종류
    허혈성 심질환에는 협심증, 심근경색증이 있다.

    ① 협심증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혈류 공급이 감소하면서 산소 및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장근육이 이차적으로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되는 것을 말한다.

    ▶종류
    (1)안정형 협심증 : 동맥경화증 때문에 만성적으로 협착이 되어서 발생
    병인 : 심근허혈 / 죽상경화증
    특성 : 1~5분(20분 미만)간 지속되는 통증으로 촉진요인 제거 시 완화
    EKG는 ST 분절 하강
    휴식이나 NTG에 의해 완화
    촉진요인 : 운동, 극한 기온, 감정변화, 과식, 흡연, 성생활, 자극제, 스트레스
    (2)불안정형 협심증 : 죽상경화병변이 파열되어 혈전이 생겨서 갑자기 협착이 심해져 발생
    병인 : 죽상경화반의 파열이나 미란과 이에 동반된 비폐쇄성 혈전

    출처 : 해피캠퍼스

  • 한국 사회복지 실천의 과제 및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본인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한국 사회복지 실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서술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결론
    1. 한국 사회복지 실천의 과제 및 방향
    1) 한국 사회복지 실천의 과제
    2) 한국 사회복지 실천의 방향

    2. 본인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한국 사회복지 실천의 발전 방향
    1) 경제 환경으로 인한 사회적 양극화 현상 해소(발전 방향)
    2) 경제 환경으로 인한 사회적 양극화 현상
    3) 경제 환경으로 인한 사회적 양극화 해소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리 사회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복지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사회복지가 실천되고 있는데, 사회복지 실천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생활 과업을 성취하고 고통을 덜며 열망과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사람들의 능력에 영향을 주는 인간과 사회환경 간의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것이다. 사회복지 실천은 인간과 사회 환경의 부조화로 인하여 나타나는 개인‧집단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최소화하며 이런 문제를 미리 예방하고 개인‧집단‧지역사회의 잠재력을 최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원조이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사회복지 실천이란 인간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개인, 집단, 가족 그리고 지역사회의 문제 및 욕구에 역량을 강화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접근방법을 가지고 개입하는 종합적·체계적이며 ……

    <중 략>

    현대사회복지 실천은 국가나 사회가 반드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삶을 더 향상되게 하고, 인간 발달을 충족하기 위해서 사회복지제도를 만들 수 있다는 견해에 따라 사회복지 실천의 발전적 관점은 제도적 개념을 넘어 인간 발달 또는 사회 발전에 초점을 맞춘다. 이런 맥락에서 사회복지 실천의 과제 및 방향 설정은 매우 중요하며 향후 사회복지 실천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까르의 간호사 국가고시 대비 연습문제 [기본간호학 [1]]

    목차

    없음

    본문내용

    1.맥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닌 것은?
    ① 연령
    ② 통증
    ③ 공포
    ④ 운동
    ⑤ 자세

    2.다음 중 혈압이 높게 측정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
    ① 커프가 너무 좁거나 느슨하게 감은 경우
    ② 밸브를 너무 천천히 푸는 경우
    ③ 운동 및 활동 직후에 측정하는 경우
    ④ 커프에 충분한 공기를 주입하지 않은 경우
    ⑤ 팔이 심장보다 낮게 위치한 경우

    3.복부검진 전 준비사항이 아닌 것은?
    ① 대상자가 방광을 비웠는지 확인한다.
    ② 시진, 촉진, 청진, 타진 순으로 확인한다.
    ③ 대상자는 앙와위로 눕히고 머리와 무릎 밑에 베개를 두어 복부가 이완되도록 한다.
    ④ 대상자의 불편감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주의를 관찰한다.
    ⑤ 촉진 전 손과 청진기를 따뜻하게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인증O] 지역간호학실습- 보건교육안 (퇴행성 관절염) 상세한 레포트입니다. 구매하시면 후회 않으실거예요!!

    목차

    없음

    본문내용

    대상
    퇴행성관절염 예방에 관심이 있는 00시 60세 이상 10명

    학습주제
    퇴행성 관절염은 예방이 최고 !

    학습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관절염이 발생 되지 않는다
    단기목표: 지식- 대상자는 관절염의 원인, 증상에 관한 O, X 퀴즈 문제 3문항 모두 맞춘다.
    대상자는 관절염의 예방법에 대해 3가지 이상 설명한다
    기술- 대상자는 관절염 예방 운동법 시범을 보인다.
    태도- 대상자는 관절염 예방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행동-대상자는 일주일간 매일 관절염 질환 예방 운동법을 실생활에서 실천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인증O]지역간호학실습- 보건사업 기획(결핵) 상세한 레포트입니다. 구매하시면 후회 않으실거예요!!

    목차

    1.현황분석
    2.건강정보
    3.목적
    4.목표설정
    5.전략수립
    6.수행을 위한 세부 계획 수립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현황 분석
    (1) 지역의 건강 수준 및 건강 결정 요인 평가: 문제와 문제 원인의 발견

    1. 인구 정보
    ➀ 인구수
    총 576,397명(남 : 279,670명, 여 : 286,543명, 외국인 : 10,184)

    동 명
    행정단위
    세대수
    금월 인구





    외국인수

    798
    5,558
    234,797
    576,397
    279,670
    286,543
    10,184
    성당동
    44
    287
    10,965
    24,648
    11,939
    12,520
    189
    두류1·2동
    33
    208
    8,526
    15,585
    7,511
    7,934
    140
    두류3동
    16
    95
    4,257
    8,998
    4,318
    4,620
    60
    본리동
    31
    200
    8,698
    22,483
    10,911
    11,101
    471
    감삼동
    40
    277
    11,818
    28,311
    13,828
    14,343
    140
    죽전동
    27
    165
    7,117
    14,919
    7,333
    7,416
    170
    장기동
    22
    183
    7,185
    18,247
    8,789
    8,974
    484
    용산1동
    39
    288
    12,355
    32,261
    16,096
    16,001
    164
    용산2동
    33
    275
    11,329
    30,061
    15,021
    14,808
    232
    이곡1동
    29
    235
    9,214
    24,416
    12,007
    11,882
    527
    이곡2동
    25
    217
    6,905
    17,293
    8,545
    8,342
    406
    신당동
    53
    365
    16,490
    35,644
    16,386
    15,537
    3,721
    월성1동
    44
    320
    13,688
    44,229
    21,588
    22,500
    141
    월성2동
    34
    220
    8,573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