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질병의 기술
Ⅱ. 환자 간호력 사정
Ⅲ. 진단검사
Ⅳ. 투약 약물
Ⅴ. 기타 사정 자료
Ⅵ. 간호과정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췌장(Pancreas)
간 다음으로 큰 소화샘으로 위의 뒤쪽에 위치한 회백색의 장기이다. 외분비샘에서 소화효소를 분비해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기능과 내분비샘에서 우리 몸의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과 글루카곤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췌장은 자율신경에 의해 내분비 및 외분비 기능이 이루어진다. 부교감 신경은 췌장의 내분비 및 외분비 기능을 조절하고 교감신경은 샘세포를 자극하여 효소의 분비를 자극한다.
췌장은 가늘고 긴 모양으로 머리, 몸통, 꼬리 3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췌장에는 췌관이 있다. 췌관(duct of Wirsung)은 췌장꼬리부터 머리로 향하고 총담관(Common Bile Duct ; CBD)과 합쳐져 십이지장의 바터팽대부(ampulla of Vater)로 연결된다. 바터팽대부에는 오디 괄약근이 존재하여 십이지장으로 들어가는 담즙과 췌장액의 방출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위치
췌장의 머리는 십이지장(duodenum) 만곡부에 놓여있고, 하대정맥(Inferior Vena Cava)과 복부대동맥(Abdominal aortic aneurysm)과 인접한다. 몸통은 상장간동맥(Superior mesenteric artery), 상장간정맥(Inferior mesenteric vein)과 인접한다. 꼬리는 왼쪽에 있는 비장(Spleen)과 좌측신장(Lt.kidney)와 인정해있다.
기능
• 내분비 기능
췌장의 내분비 기능은 주로 랑게르한스섬(islet of Langerhans)에서 이루어진다. 랑게르한스섬의 α세포에서는 글루카곤이 분비되어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전환하여 혈당수치를 상승시킨다. β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은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 전환하여 혈당수치를 감소시킨다.
• 외분비 기능
췌장의 외분비 기능은 샘꽈리세포(ancinar cell)가 담당한다. 단백질을 분해하는 트립신(Trypsin), 탄수화물을 분해하는 아밀라제(amylase), 지방을 분해하는 리파제(lipase)의 소화효소를 분비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