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Ⅰ.서론
Ⅱ. 문헌 고찰
1. 질병의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
6. 치료 및 간호
Ⅲ. 간호사례
1.간호사정
(1)신생아 관련정보
(2)신체사정
(3)신생아처치 및 검사
(4)교환영역
(5)반사반응
(6)아프가 점수
(7)CRIES SCALE
(8)약물&치료
2.간호과정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서론
기저귀 발진은 신생아, 영아에게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피부질환이다. 신체적 결함이 없어도 정상 신생아라도 누구든 생길 수 있고 관리와 치료만 잘 한다면 더 이상 문제되지 않는 질환이기에 간호가 상당히 중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저귀 발진의 생리, 원인, 증상, 치료와 간호에 대해 공부하고 교육하여 발생률을 줄이고 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기저귀 발진을 케이스 스터디를 하기로 결정하였다.
Ⅱ. 문헌 고찰
1. 질병의 정의
기저귀 발진, 기저귀 접촉 피부염이라고도 하는 기저귀 피부염은 신생아, 영유아에서 가장 흔한 피부 발진이다. 일반적으로 엉덩이, 하복부, 생식기 및 허벅지 위쪽을 포함하여 기저귀와 직접 접촉하는 피부 표면에서 생기며 기저귀 찬 부위가 빨개지며 작은 발진이 생긴다.
기저귀를 차는 부위에 생기는 피부염(혹은 습진)을 총칭하며, 급성 염증성 피부질환중 하나이다. 약 5%에게서는 심한 발진(심한 홍반, 열상, 구진, 두드러기)이 있다. 기저귀를 잘 갈아주지 않고 모유나 우유의 처방이 바뀌거나 고형식이 시작과 같은 식이의 변화와 관계가 있다. 이는 모유영양아보다 인공영양아에게 많다.
2.원인
기저귀 피부염은 소변, 대변, 비누, 세제, 연고, 마찰등의 자극 물질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접촉에 의해서 발생한다. 소변에 의한 자극은 암모니아 이외의 여러 가지 소변분해산물이 원인으로, 그것들이 ph를 증가시켜 정상적으로 약산성이어야 할 피부가 자극물질에 더욱더 예민하게 반응하게 된다. 대변 또한 세균과 장내에서 생산되는 효소들이 피부에 자극물질로 작용하여 ph를 증가 시킨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