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문헌데이터베이스론 과제_데이터베이스의 개념과 특징, 분류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목차

    1. 서론

    2. 본론
    1) 데이터베이스의 개념
    2)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3) 데이터베이스의 분류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한 학문에 대한 공부를 시작하는데 있어서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특징과 분류에 대해 공부하는 것은 필수적인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이유로 문헌정보학과 관련된 공부를 처음 시작하는 나는 이번 다섯 가지 과제 중에서 본 주제를 선택하였다. 본 과제에서는 데이터베이스의 개념과 특징 분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본론
    1) 데이터베이스의 개념
    데이터베이스란 특정 조직의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상호 관련된 데이터들의 모임이다. 첫 번째, 공유 데이터, 두 번째, 통합 데이터, 세 번째, 저장 데이터, 네 번째, 운영 데이터 총 4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1) 공유 데이터
    데이터베이스는 어느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이나 응용 시스템을 위한 데이터가 아니라, 특정 조직의 여러 사용자가 함께 소유하고 이용할 수 있어야 하는 공유 데이터(shared data)이다. 공용 데이터라고도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Use of Hashtags of Fashion Influencers on Instagram / 인스타그램 패션 인플루언서 해시태그 언어학적 분석

    목차

    1. Introduction: Puzzle & Data
    2. Previous literature
    3. Data analysis
    4.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본문내용

    As the usage of smartphones become more and more pervasive, members of the modern society has been using a diverse variety of SNS(Social Network Service) applications as a platform for communicating. Instagram, the image-based social platform has established itself as one of the most used SNS worldwide, by generating ‘hashtags’, which shares content by attaching keywords behind the “#” symbol. The hashtag allows users to search for specific information that they want,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image screening and enhancing curation functions. As a result, groups of people with similar interests were formed around hashtags, and companies began to use Instagram as a new marketing platform to communicate with them. Achieving the brand’s message delivery, product promotion, and customer expansion through influential users on social networks instead of existing celebrities has become an efficient, modern marketing strategy for recent companies.

    출처 : 해피캠퍼스

  • 학교도서관경영론 과제_학교도서관의 장서관리에 대해 서술하시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장서 관리의 의미
    2) 장서 관리의 기준
    3) 장서 관리의 바람직한 방향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장서란 특정 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자료의 집합체를 말한다. 도서관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이러한 장서를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이용자들이 쾌적한 조건에서 장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유지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번 과제에서는 장서 관리의 의미와 기준을 알아봄으로써 장서 관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본 교과목의 이름이 학교도서관경영론이므로 본 과제 속 도서관의 대상은 학교도서관으로 한정한다.

    2. 본론
    1) 장서 관리의 의미
    장서 관리(collection management)란 이용자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도서관의 자료를 선정하거나 수집하고 최적의 조건에서 이용자들이 장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유지나 보존, 평가, 폐기 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시대에 따라 도서 선택, 자료 선택, 장서 개발, 장서 관리의 흐름으로 불리어졌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받은 성인 임상종합 실습 case 췌장암 간호진단 12개, 간호과정 3개

    목차

    A.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2. 질병의 병태생리
    3. 증상
    4. 진단검사 및 합병증
    5. 치료 및 간호

    B. 간호과정 적용사례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4. 간호수행
    5. 간호평가

    C. 참고문헌

    본문내용

    A. 문헌고찰(임상종합 실습)

    췌장암(Pancreatic cancer)

    정의
    췌장은 소화 효소를 분비하는 중요한 기관으로 십이지장과 연결된 약 15cm의 가늘고 긴 장기이다. 명치끝과 배꼽 사이의 상복부에 위치한 소화기관으로서 각종 소화 효소와 인슐린을 분비하여 장내 음식물을 분해하고, 혈당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췌장은 머리, 몸통, 꼬리 세 부분으로 나뉘는데 십이지장과 가까운 부분이 두부, 머리와 몸통 사이가 체부, 가느다란 부분이 미부이다.
    췌장은 췌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췌액을 보내는 외분비 기능과 호르몬을 혈과 내로 방출하는 내분비 기능을 고루 가지고 있다. 췌장에 발생하는 종양은 인슐린 등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 세포에서 발생하는 종양(5~10%)과 소화 효소의 분비와 관련된 외분비 세포에서 기원하는 종양(90% 이상)으로 나눌 수 있다.
    췌장 세포의 대부분은 외분비(췌액 분비)에 관여한다. 췌액은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과 함께 십이지장으로 들어가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의 소화흡수에 관여한다. 따라서 췌장에 병이 생기면 소화 효소의 배출이 감소해 영양소를 제대로 흡수하지 못해 영양 상태가 나빠지고 체중이 줄어든다. 내분비 작용으로는 혈당 조절에 중요한 호르몬인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혈액 속으로 분비한다. 인슐린은 혈당을 낮추고 글루카곤은 높이는 역할이므로 당뇨병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에너지의 소비와 저장에 도움을 준다.

    원인 및 병태생리
    췌장암의 원인은 아직 분명하게 확인할 수 없으며, 50세 이상의 고령 남성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췌장암의 위험 인자로는 흡연(30%), 고열량식이(20%), 만성 췌장염(4%), 유전적 요소(10%) 등이 있다.
    ① 흡연 : 췌장암 발생과 관련이 깊은 발암물질로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이다.
    ② 식이 : 육류, 지방, 탄수화물 과도섭취, 과다 열량과 높은 체질량 지수가 췌장암의 위험도를 높이는 반면 신선한 과일, 채소, 비타민 등은 위험도를 낮추는 경향이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실습, 흡인성 폐렴, Aspiration pneumonia 비효과적 기도 청결, 고체온, 욕창

    목차

    1. 일반정보
    2. 병력
    3. 질병기술
    4. 신체검진
    5. 임상검사 및 해석
    6. 진단검사 및 특수치료
    7. 현재 투여약물
    8. 간호과정

    본문내용

    1. 기관 내 분비물 및 자기 객담 배출 어려움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 청결
    2. 세균감염으로 인한 폐의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3. 복합요인(장기간 부동자세, 연령, 당뇨, 의식장애)와 관련된 성인 욕창
    #1 간호진단: 기관 내 분비물 및 자기 객담 배출 어려움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 청결

    1 간호진단: 기관 내 분비물 및 자기 객담 배출 어려움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 청결
    주관적 자료
    ”보호자: 가래를 혼자 못 뱉어서 흡인기를 사용해서 빼“ (5/10)
    ”보호자: 거의 하루종일 잠만 자“ (5/10)
    ”보호자: 숨 쉴 때마다 목에 뭐 있는 거 같은 소리가 나“(5/10)

    객관적 자료
    – 진단명: Aspiration pneumonia (5/1)
    chest X-선 촬영:both lungs 병변이 뿌옇고 consolidation 양상 보임 (5/1)
    – 가래를 묽게 하여 배출을 돕는 뮤테란 주 6ml (acetylcysteine)을 1일 4회 IV로 투여 중임 (5/1~5/10)
    – 가래를 묽게 하여 배출을 돕는 뮤코미스트 액 800mg/4ml를 1일 4회 nebulizer를 사용하여 흡입 중임 (5/1~5/10)
    – O2 4L/min VNP (5/1~ 5/8), O2 2L/min VNP(5/9~5/10)
    – 기관지경 검사 결과: 다량의 점액농성의 분비물이 관찰됨 (5/3)
    – 가래 그르렁거리는 소리 들리나 자가 배출 안 되며 oral suction 통해 진득하고 노란 가래가 다량 배출됨 (5/7~5/9)
    – 하루종일 기침을 거의 하지 않고 잠만 자며 기침을 해도 효과적으로 분비물이 배출되지 않는 것을 관찰함. (5/10)
    – oral suction 시 suction tip이 2번 막힐 정도의 thick한 가래 중량 흡인됨 (5/10)
    – GCS: E2 V1 M3로 반의식 상태임 (5/10)

    목적
    기침을 통한 효율적인 객담 배출을 통해 기도 청결이 유지된다.

    평가기준
    –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그르렁거리는 가래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자료] 성인간호학 실습 골관절염(Osteoarthritis) Case Study (간호진단2개)(간호과정2개)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대상 및 방법

    Ⅱ. 본론
    A. 문헌고찰
    1. 골관절염

    B.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4. 간호수행
    5. 간호평가

    Ⅲ. 결론 및 제언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골관절염은 관절 부위를 구성하고 있는 연골조직이 점차적으로 파괴되어 발병하는데 이렇게 되면 관절을 구성하고 있는 뼈들이 서로 부딪히게 되어 통증을 일으키게 된다.
    현재 골관절염은 관절염의 가장 흔한 형태이며 활막관절의 만성적인 진행성, 비염증성 관절질환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55세 이상 성인의 80%가 골관절염의 방사선학적 소견을 가지고 있고 50세 미만일 경우에는 남자의 발병률이 높으며, 50세 이상일 경우에는 여성의 발병률이 2배나 더 높다. 주로 60세 이후에 발생하는데, 60세 이후 노년층 여자의 25%, 남자의 15%에서 발생하며 55세에서 65세 사이의 연령층에서는 증상의 유무에 상관없이 방사선 검사 시행시 85% 정도에서 퇴행성 관절염의 소견이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골관절염은 보통 퇴행성관절염으로 알려져 있고, 중년과 노년층에서 가장 흔하게 발병되는 질환 중 하나인데, 이렇게 흔하게 발병되고 있는 질환인만큼 이에 따른 적절한 치료와, 수술, 간호의 필요성을 느껴 본 사례 연구를 하고자 한다.

    B.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사례연구는 20**년 2월 21일 **대학교병원에 내원한 강**님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20**년 2월 21일 tibia osteotomy, fibular lengthening & allo B/G을 시행하신 36세 강**님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서, 연구기간은 강**이 내원한 20**년 2월 20일부터 20**년 3월 4일까지 시행되었으며 EMR, 환자 관찰, 문헌참고(여성건강간호학) 의료진과의 Q&A및 관찰 등을 통해 시행되었다.

    Ⅱ. 본론
    A. 문헌고찰
    1. 골관절염(Osteoarthritis)
    1) 정의
    골관절염은 일명 퇴행성 관절질환, 퇴행성관절염이라고 하며, 관절염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고, 국소적인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는 만성질환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성인간호학 실습 급성 담관염, 급성 담낭염, 변비,

    목차

    1. 일반 정보
    2. 병력
    3. 질병 기술(문헌고찰) 및 환자 사정
    4. 신체검진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사정
    8. 임상검사 및 해석
    9. 영상의학 검사 및 조직검사
    10. 약물
    11. 간호과정
    12.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간호진단: 복합적 요인(전신마취 수술, 부동, 약물, 우울감)과 관련된 변비

    주관적 자료
    “배변 활동이 입원 전부터 어려웠어요” (2/27)
    “수술도 받고 밥도 잘 못 먹으면서 더 악화된 거 같아요. 배변할 때 힘들어요.”(2/27)
    “불편감이 1-10 중에 7정도예요.”(2/27)

    객관적 자료
    병원에 입원하고 대변을 누지 못함. (2/20~2/26)
    전신마취 수술 후 ABR 상태 유지 중임. (2/23~2/28)
    과거력으로 우울증을 가지고 있음

    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변비에 도움이 되는 방법을 말할 수 있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복부가 편안하다고 표현한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정상 변을 본다.

    평가기준
    – 대상자는 3/1까지 변을 본다.
    – 3/6까지 대상자는 변비로 인한 복부 불편감이 7에서 3으로 줄어든다.
    – 3/6까지 대상자는 자신이 실천한 변비를 완화하는 방법을 2가지 이상 말한다.
    – 2/28일까지 대상자는 장배설 하는데 필요한 적절한 음식을 말할 수 있다.

    계획
    1. 대상자의 변비유발 요소를 사정한다.

    중재
    1) 대상자는 2/23일에 Biliary bypass(HJ anastomosis) 수술할 때 전신마취를 받았다. (2/23) 대상자는 담관 우회술을 받은 후 수술 부위 통증이 심하여 침상에서 ABR를 유지하고 있다. (2/23~3/1)

    2) 대상자는 마약성 진통제인 pethidine hydrochloride와 fentanyl citrate를 PCA를 통해 정맥내 주사로 투여받고 있다. (2/23~3/3)
    -PCA를 1시간에 4번 정도 누르는 모습이 관찰됐다. (2/27) -> 마약성 진통제 자주 사용

    3) 대상자는 심리적인 우울감을 호소하였다. (2/27) (“수술 부위가 아프고 외로워서 우울감이 더 심해졌어”)

    출처 : 해피캠퍼스

  • A+ 모성간호학 제왕절개분만 후 간호케이스, c-sec, 급성통증, 비효과적 자기건강관리, 지식부

    목차

    1. 일반정보
    2. 제왕절개 분만기록
    3. 일반 신체검진
    4. 산욕기 사정 기록지
    5. 현재 투여약물
    6. 간호과정

    본문내용

    (1) 일반 간호정보
    -이름 : 김ㅇㅇ나이 : 27
    -입원 년 월 일: 2023.11.12-수술 년 월 일: 2023.11.17
    -결혼상태: 기혼 -교육정도: 고졸 -종교: 무
    -본인직업: 주부 -남편직업: 회사원
    -몸무게 임신 전: 80kg-분만 전: 92.7kg -분만 후: 89.5kg
    -체온: 36.2℃ -맥박: 80회/min -호흡: 20회/min -혈압: 157/118mmHg

    과거 건강력
    – 없음

    사고 및 상해, 수술 경험이 있습니까?
    – 2018 복강경 난소물혹제거 수술

    시댁이나 친정 식구 중 임신 및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이 있습니까?
    – 모 (당뇨, 고혈압)

    성장 발달 중 특기사항이 있습니까?
    – 없음

    피임경험은 있습니까(방법, 문제점, 사용시기, 중단이유 등)
    – 질외사정, 가끔 피임약 복용

    과거 유산경험이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 없음

    월경력
    – 초경: 모름 -월경주기: 28일 -월경기간: 4일 -월경량: 적당함

    산과력(Parietry)
    -임신 횟수(gravida) : 0
    -총 만삭분만 수(para) : 0
    -조산한 수(preterm birth) : 0
    -생존아 수(living Children) : 0
    -유산한 수(abortion) : 0

    현재 산과력
    -마지막 월경일(L.M.P): 3월 정도 -분만 예정일(E.D.C): 23.12.28 -임신기간(G.P.): 34주
    -분만날짜: 23.11.17-첫 태동시기: 모름
    산전진찰은 어디에서 몇 회 받았습니까? 산전기간 동안 문제점이 있습니까?
    – 아산 다온 미래, 11/8일 최종 진찰일, 임신 기간 동안 고혈압과 당뇨 있어 간식 조절함

    임신기간 중 복용한 약물이나 특별한 검사가 있습니까?
    – 인슐린 투여 (노보래피드 플렉스펜 6-8 단위, 래버미어 12단위)

    출처 : 해피캠퍼스

  • [A+자료] 성인간호학 실습 OR Common Bile Duct Cancer

    목차

    1.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2. 사례연구
    1) 개인력
    2) 수술실 도착 시간
    3) 환자 준비
    4) 기계 준비
    5) 수술부위 소독
    6) 마취
    7) 피부 절개 혹은 수술부위 접근 방식
    8) 주로 사용하는 봉합사 및 바늘의 종류
    9) 절제 부위
    10) 출혈을 방지하기 위한 절차
    11) 수술동안 삽입되는 Drainage& Catheter
    12) 드레싱
    13) Scrub nurse, Circulating nurse의 역할
    14)수술 후 간호

    3.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문헌고찰 Common Bile Duct Cancer
    정의
    총담관은 간에서 만든 담즙이 나가는 간 내 담관과 담낭에서 이어지는 담낭관이 합류하여 만나는 곳에서 십이지장 내로 연결이 되는 곳입니다. 총담관 결석은 담즙을 십이지장 내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곳에 결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환자의 7~15% 정도가 담낭 결석과 함께 진단됩니다.
    원인
    담낭의 담석이 담낭관을 빠져나와 총담관에 결석을 형성하거나(이차성 담관결석), 담관의 감염 혹은 담즙정체로 인하여 처음부터 총담관 안에서 결석이 만들어지는 경우(일차성 담관결석)가 있습니다. 총담관 내에서 만들어지는 결석은 세균 및 기생충 감염과 관련이 되어 있으므로, 담관결석에 대한 치료 후 재발방지를 위해 원인제거를 해야합니다.
    증상
    우연히 발견된 무증상 담석은 저절로 십이지장으로 나가기도 하지만 담관의 확장, 간 기능 검사 수치의 상승과 함께 담성 산통, 담낭염, 또는 췌장염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담관결석에 의한 담도폐쇄가 나타난 경우 오심과 구토를 동반한 상복부의 심한 통증, 황달, 오한 및 발열의 3대 증상이 나타납니다.
    진단
    혈액 검사 상 빌리루빈 수치가 증가되어 있거나 알카리성 인산분해효소(ALP)가 증가되어 있으면 총담관 결석을 의심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검사가 필요합니다. 복부 초음파는 결석의 60~70%, 총담관 확장의 60~75% 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조영술이(ERCP) 가장 표준적인 검사 방법이며 정확도가 높은 검사입니다.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의 예시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이 어렵고, 십이지장에 개구하는 부위에 협착이 있는 경우는 경피적 간담도조영술이 시행될 수 있습니다.
    치료
    총담관 결석은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하므로 무증상 결석도 제거해야 합니다. 총담관 결석의 제거는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도조영술에 의하여 진단과 동시에 내시경적으로 오디괄약근 절개술을 시행한 후 내시경을 통하여 제거할 수 있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Barr body 관찰 및 PTC미맹 테스트

    목차

    1. Title

    2. Date

    3. Purpose

    4. Materials & Method

    5. Data & Result

    6. Discussion

    7. further study
    1) ACETO-ORCEIN 시약
    2) barr body

    8. Reference

    9. Pre-report

    본문내용

    1. Title : Barr body 관찰

    2. Date : 2000. 00. 00

    3. Purpose
    barr body를 관찰하여 그 구조를 안다.

    4. Materials & Method
    실험기구 : 슬라이드 글라스, 커버글라스, 이쑤시개, aceto-orcein 시약, 광학현미경, 현미경 필터

    실험방법 : ①이쑤시개로 여성의 뺨 안 쪽의 세포(구강상피세포)를 긁어낸다.
    ②깨끗한 슬라이드 글라스에 구강세포를 얇게 펼쳐서 도말한다.
    ③aceto-orcein시약으로 염색한다.
    ④커버글라스를 기포가 생기지 않게 덮는다.
    ⑤광학 현미경으로 핵 안의 barr body를 관찰한다.

    5. Data & Result

    ※ 색상이 선명치 않아 컴퓨터로 contrast를 높였으며, 특히 1000배 관찰의 경우 검은색 이미지 소스를 5배로 중첩되게 처리하였다.

    6. Discussion
    1) 이번 실험 역시 크게 복잡한 작업 없이 현미경 초점만 잘 맞추면 되는 간단한 실험이었다. 상피 세포를 도말하고 염색하는 작업부터 400배의 관찰까지 아무 문제없이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1000배의 관찰은 대부분의 조에서 성공하지 못했는데, 이것은 우선적으로 필터가 하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광학현미경은 가시광선을 사용하는데, 1000배(대물렌즈 100배) 이상의 배율에서 이 영역의 빛은 굴절해 들어가기에 너무 파장이 길다. 따라서 광학현미경의 최대 해상도 한계는 2000~3000배이며, 1000배의 관찰에서도 굴절률 차이를 줄여 주는 오일을 렌즈와 시료 사이에 넣거나, 가시광선 중 파장이 긴 적색광을 제거해 간섭을 줄여 시야를 선명하게 만드는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오일을 사용하는 경우 뒤처리가 복잡하므로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간편한데, 이번 실험에서는 한 조만 필터가 있었으며 오일도 없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