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A+ 보장!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보건소 암 관리 사업 보건사업기획서

    목차

    Ⅰ. 사업추진배경
    (1) 부산광역시 중구의 지역개황도 및 일반 현황
    (2) 부산광역시 중구의 인구 현황
    (3) 부산광역시 중구의 지역건강수준
    (4) 부산광역시 중구 지역사회주민의 관심
    (5) 지역의 보건문제 해결 역량
    (6) 현황 분석 종합
    (7) 암 관리 사업 선정배경

    Ⅱ. 추진내용/사업전략
    (1) 사업 목적 및 목표
    (2) 사업 대상
    (3) 사업 추진전략 및 세부사업
    (4) 사업평가지표

    Ⅲ. 사업특징
    (1) 협력체계 구축
    (2) 주민참여 강화
    (3) 건강형평성 강화를 위한 노력

    Ⅳ. 자원투입
    (1) 사업에 투입되는 예산
    (2) 사업에 투입되는 인력

    Ⅴ. T/F 구성
    (1) 팀구성원 및 조직도

    Ⅵ. 핵심용어

    Ⅶ. 사업 구성요소 표

    Ⅷ. 참고문헌

    Ⅸ. 그룹과제 업무분담표 및 증빙사진

    Ⅹ. 느낀 점

    Ⅺ. 기타 첨부자료
    [부록1] 리플렛
    [부록2] 포스터
    [부록3] 현수막

    본문내용

    1. 부산광역시 중구의 지역개황도 및 일반 현황

    (1) 행정구역
    – 면적 : 2.8km²
    – 인구 : 23,925세대 40,524명
    – 행정구역 : 9개동 (보수동, 부평동, 남포동, 광복동, 영주1동, 영주2동, 중앙동, 동광동, 대청동)
    (2) 주요시설
    – 의료시설 : 179개 (종합병원1, 병원2, 요양병원4, 한방병원1, 의원66, 치과39, 한의원22, 약국44)
    – 기타 : 주민센터9, 학교9(초4, 중1, 고4), 유치원4, 어린이집13, 지역아동센터4, 경로당31, 복지시설54
    (3) 지역특성
    ①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의 분리, 주택가는 경사로에 다수 위치
    – 동서로 횡단하는 대청로를 중심으로 북쪽은 주거지역으로 경사지이며, 남쪽은 행정, 무역, 금융, 시장 등 경제활동 밀집지역으로 평지 지역임
    – 주거지역은 보수동, 영주1, 2동, 동광동으로 고지대에 위치해있으며 영세층이 밀집되어 있음
    ② 접근도가 좋은 도심의 공원
    – 중구 내 용두산공원, 민주공원, 중앙공원 외 중구청 인근의 복병산 체육공원 등이 있어 걷기 등 신체활동을 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되어 있음
    ③ 의료시설 다수 분포
    – 중구 인근지역의 대학병원을 포함한 의료시설의 다수 분포로 구민의 의료접근도는 양호한 편임

    2. 부산광역시 중구의 인구 현황

    • 인구감소
    : 부산광역시 중구는 합계출산율 0.381로 초저출산 현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급격한 인구유출로 인구절벽 위기상황임
    • 초고령화
    :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11,206명으로 전체 인구의 27.65%를 차지하고 있음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관련 의료분쟁 판례 분석 보고서(학습성과6보고서) A+

    목차

    I. 서론
    1. 의료인의 정의
    2. 의료인의 업무
    3. 의료인의 자격
    4. 의료분쟁

    II. 본론
    1. 의료분쟁 관련 판례 소개
    2. 의료분쟁 판례 상황 분석
    3. 의료분쟁 판례 관련 법적 기준 분석
    4. 판례 관련 법 조항의 임상현장 속 이행 상황

    III. 결론
    1) 간호관련 의료분쟁 판례 분석 과제를 수행하며 느낀 점
    2) 보건의료관련법규 교과목을 학습하며 느낀점

    IV. 참고문헌

    Ⅴ. 자가평가표

    본문내용

    1. 의료인의 정의 (의료법 제 2조)
    「의료법」에 따른 의료인이란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받은 의사 · 치과의사 · 한의사 · 조산사 및 간호사를 말한다.

    2. 의료인의 업무 (의료법 제 2조)
    의료인은 종별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임무를 수행하여 국민보건 향상을 이루고 국민의 건강한 생활 확보에 이바지할 사명을 가진다.

    의사
    의료와 보건지도
    치과의사
    치과 의료와 구강 보건지도
    한의사
    한방 의료와 한방 보건지도
    조산사
    조산과 임산부 및 신생아에 대한 보건과 양호지도
    간호사
    – 환자의 간호요구에 대한 관찰· 자료수집· 간호판단 및 요양을 위한 간호
    – 의사·치과의사·한의사의 지도하에 시행하는 진료의 보조
    – 간호요구자에 대한 교육·상담 및 건강증진을 위한 활동의 기획과 수행, 그 밖의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보건활동
    – 제80조에 따른 간호조무사가 수행하는 업무보조에 대한 지도

    3. 의료인의 자격
    1) 의사ㆍ치과의사 및 한의사 면허 (의료법 제 5조)
    ① 의사ㆍ치과의사 또는 한의사가 되려는 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해당하는 자격을 가진 자로서 제9조에 따른 의사ㆍ치과의사 또는 한의사 국가시험에 합격한 후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받아야 한다.
    ② 평가인증기구의 인증을 받은 의학ㆍ치의학ㆍ한의학을 전공하는 대학/전문대학원을 6개월 이내에 졸업하고 해당 학위를 받을 것으로 예정된 자는 제1항제1호 및 제2호의 자격을 가진 자로 본다. 다만, 그 졸업예정시기에 졸업하고 해당 학위를 받아야 면허를 받을 수 있다.
    ③ 제1항에도 불구하고 입학 당시 평가인증기구의 인증을 받은 의학ㆍ치의학ㆍ한의학을 전공하는 대학/전문대학원에 입학한 사람으로서 그 대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하고 해당 학위를 받은 사람은 같은 항 제1호 및 제2호의 자격을 가진 사람으로 본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보장!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보건소 사례관리보고서

    목차

    1. 대상자 선정배경
    2. 대상자 건강요구 사정
    3. 문제목록(Omaha 문제분류체계)
    4. 우선순위 선정
    5. 계획, 중재 및 평가
    6. 성공요인 및 장애요인
    7. 향후계획
    8. 참고문헌
    9. 느낀점
    10. 기타 첨부자료

    본문내용

    우리나라는 현재 30세 이상의 성인 10명 중 1.2명이 당뇨병 환자(당뇨병 유병률 11.8%)이며, 약 400만명이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2019 대한 당뇨병 학회에 따르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당뇨병 연령별 유병률도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특히 70세 이상의 여성의 당뇨병 유병률이 33.6%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당뇨병 전단계까지 범위를 넓히면 더 많아지는데, 성인 10명 중 2명이 당뇨병 환자이거나 잠재적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당뇨병 환자 10명 중 3명은 본인이 당뇨병이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당뇨병 인지율 72%) 30~44세의 젊은 연령층에서 본인이 당뇨병임을 모르고 있는 경우가 약 절반(45.6%)에 해당되어, 젊은 당뇨병 환자들에서 당뇨병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킬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 국민건강영양조사 당뇨병 유병률>

    <당뇨병 환자 수 예상 추이>

    당뇨병은 증상이 없기 때문에 모르는 상태로 몇 년이 지난 다음에 발견하게 되면 이미 당뇨병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젊은 연령층에서의 당뇨병 조기 진단이 강조되는 이유다. 해마다 당뇨병 인구는 빠르게 늘어, 2030년에는 당뇨병 인구가 500만명이 넘을 것으로 예상되며, 2050년도가 되면 우리나라의 당뇨병 환자수가 약 600만명을 차지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2011년을 기준으로 했을 때 183% 증가한 수치로 향후 40년간 약 2배 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보장!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보건소 보건교육안

    목차

    1. 대상자
    (1) 부산광역시 중구 현황분석
    (2) 대상자 선정 및 이유 
    (3) 대상자 특성 및 건강요구

    2. 교육주제
    교육주제 선정 및 이유

    3. 교육방법 및 매체
    (1) 교육방법 선정
    (2) 교육매체 선정

    4. 교육내용

    5. 평가계획

    6. 본시 교수학습안

    7. 참고문헌

    8. 그룹과제 업무분담표 및 증명사진
    ·
    9. 느낀 점

    10. 기타 첨부자료

    본문내용

    (1) 부산광역시 중구 현황분석
    ● 일반 현황

    <지역개황도>

    구분
    현황
    위치
    – 부산광역시의 남부에 위치
    – 남동으로는 부산대교와 영도대교를 경계로 영도구, 서로는 서구, 북동으로는 동구와 접함
    면적 및 인구
    – 총 면적은 2.83㎢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면적이 좁은 기초자치단체
    – 인구는 4만 명으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적은 인구의 자치구
    지역 특징
    – 주거지역과 상업지역 분리
    : 동서로 횡단하는 대청로를 중심으로 북쪽은 주거지역으로 경사지이며, 남쪽은 행정, 무역, 금융, 시장 등 경제활동의 밀집지역으로 평지임
    -주택가는 경사로에 다수 위치
    : 주거지역은 보수동, 영주1,2동, 동광동으로 고지대와 경사로에 위치하며 영세층이 밀집되어 있음
    – 접근도가 좋은 도심 공원
    : 중구 내 용두산공원, 민주공언, 중앙공원, 외 중구청 인근 복병산 체육공원 등이 있어 걷기 등 신체활동을 하기 좋은 환경임
    경제
    – 금융시설 및 회사가 밀집된 중앙동
    : 중앙동에는 시중은행, 증권사, 각종 투자회사 등 금융시설들이 모여 있음. 해운회사나 상선회사들도 중앙동에 주로 소재하고 있으며, 외국계 무역회사나 사무실들도 이곳에 밀집해 있어 외국인 비율도 원도심에서는 가장 높음. 연안여객부두도 이 지역에 있음.

    ● 지역건강수준
    ① 사망으로 본 건강수준
    지난 10년간 표준화사망률은 증가와 감소가 반복되는 추세이며, 전국, 부산보다 사망률이 높다. 또한 10대 사망 원인 중 8개가 암과 순환계질환으로 구성되어 있고, 타 지역보다 이들 질환이 더욱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관리대책이 필요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환자안전관련 사례 보고서 (스위스치즈모형, 원인결과도) A+

    목차

    I. 서론

    II. 본론
    1. 환자안전관련 사례제시
    2. 사례기반 원인결과도
    3. 사례 예방대책 (스위스 치즈모형)
    4. 환자안전을 위한 QI 활동

    III. 결론
    1. 임상현장에서 환자안전을 위해 해야할 노력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론

    한국소비자원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환자안전사고는 대부분 보건의료인의 부주의로 인하여 발생한다고 한다. 환자관리가 미흡하거나 처치실수 등 보건의료인의 부주의로 발생된 것이 67.1%이다. 환자안전사고 유형으로는 ‘처치․시술’ 문제가 41.6% (57건)로 가장 많았고, ‘낙상’ 27.0%(37건), ‘투약오류’ 7.3%(10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안전사고로 인한 환자 피해는 골절, 흉터, 장기 또는 조직의 손상 등이 나타나며 장애가 발생하거나 사망에 이른 경우도 적지 않게 나타난 것으로 파악되었다.

    수많은 환자안전관련 사고들이 발생하는 만큼 사례들을 통해 환자안전에 관해 학습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환자안전관련 사례를 한가지 선정하여 원인결과도를 그리고 그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을 스위스치즈모형으로 나타낼 것이다. 또한 환자안전을 위해 QI활동이 무엇이 있을지 탐구해볼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그들을 바탕으로 나중에 임상에서 직접 간호사로써 근무하게 된다면 환자안전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할지 작성해볼 것이다.

    [출처: 한국소비자원]

    II. 본론

    1. 환자안전관련 사례제시

    이는 간호사가 환자에 잘못된 약물을 투여해 사망에 이르게 한 것과 증거를 인멸하려고 했던 병원측과 관련된 사례이다. 육군 일병인 A씨는 손가락 골절 접합 수술을 받고 회복을 위해 병동으로 돌아왔다. A씨의 주치의는 궤양을 방지하기 위한 ‘모틴’과 구토를 막기 위한 ‘나제아’라는 약물을 처방내려 그에 따라 담당간호사인 B씨는 투약하였다. 그러나 투약한지 5분도 지나지 않았을 때 환자는 심정지로 의식을 잃고 호흡이 없었으며 축 늘어진 상태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보장!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보건소 국가암관리사업 보건사업기획서 PPT

    목차

    1. 사업 추진 배경
    1) 지역 현황
    2) 사업계획 배경

    2. 추진내용/사업전략
    1) 사업 목적 및 목표
    2) 사업 대상
    3) 사업 추진전략 및 세부사업
    4) 사업 평가 지표

    3. 사업 특징
    1) 협력체계 구축
    2) 주민참여 강화
    3) 건강형평성 강화를 위한 노력

    4. 자원투입
    1) 사업에 투입되는 예산
    2) 사업에 투입되는 인력

    5. T/F 구성
    1) 팀 구성원 및 조직도
    2) 주요 활동 내용

    본문내용

    <암 예방 교육> “암요암요”
    목적
    모든 연령층의 중구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도심공원에서 참여형 행사 형식으로 교육함으로써 암 예방의 필요성을 인식시킨다.

    모든 연령층의 중구민을 대상으로 용두산공원, 중앙공원, 민주공원, 복병산 체육공원에 부스를 설치하여 암의 정의와 종류, 암 유발 인자, 예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중 략>

    3) 의료비 지원 및 대상자 선정
    – 성인: 건강보험가입자 중 암조기검진사업을 통하여 확인된 신규 암환자
    기존 지원자의 당해 연도 건강보험료 부과 기준에 적합한 자
    – 의료수급권자: 모든 암종에 지원
    – 소아: 만 18세 미만으로 소득· 재산 기준 적합한 자 및 의료급여수급권자

    출처 : 해피캠퍼스

  • [4차 산업 기반 기술의 이해]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조사 중간고사 레포트

    목차

    없음

    본문내용

    [블록체인의 중요한 단어 3가지]
    블록체인의 중요한 용어는 크게 3가지가 있는데, 블록, 노드, 해시함수이다.
    1) 블록 : 블록체인은 거래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신뢰성을 확보하는 기술이다. 이때 블
    록은 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위
    이며, 블록 안에는 두 가지 중요한 부분이 있다.
    먼저, 블록의 바디
    는 다수의 거래 내용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이 부분은 블록에 포함된 실제
    거래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A가 B에게 얼마나 많은 비트코인을 보냈는지, 누가 언제 어떤
    거래를 했는지와 같은 정보가 여기에 기록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보잘 것 없는 나무의 역할은 보잘 것 없지 않다. 우리도 그렇다. 보잘 것 없는 사람은 없다. 비교룰 통해 스스로 보잘 것 없다고 생각 할 뿐이다. 남과 비교하여 우월감을 느끼는 것이나, 비참함을 느끼는 것은 결국은 같은 것이다.

    목차

    Chapter1 어느날 나무가 내 곁으로 왔다.
    Chapter2 나무가 나에게 가르쳐 준 것들
    Chapter3 나는 나무처럼 살고 싶다

    본문내용

    나는 나무처럼 살고 싶다.

    지은이: 우종영(나무의사)
    지은이 소개: 어릴 적 천문학자의 꿈을 가졌으나 색약 판정으로 절망한 다음 방황했다고 한다. 중동에서 돈을 벌어 원예 사업에 뛰어들었으나 망했다. 삶의 무게에 짓눌려 죽음도 생각했으나 북한산에 오르내리며 눈에 들어온 소나무를 보며 느낀 바 있어 지금까지 나무와의 인연을 이어오고 있다고 한다. 김수환 추기경님의 추천사도 눈에 띄었다.

    이 책은 나무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저자가 그 나무를 보면서 떠오르는 생각이나 감정, 과거의 경험 등을 기록한 책이다. 특히, 저자가 인생을 살면서 만난 사람과 나무를 잘 연결시킨 것 같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1) A 자료) 2. Gram staining, Streaking

    목차

    1. 실험 일시 및 장소
    2. 실험 도구
    3. 이론
    4. 실험 목표
    5. 실험 방법
    6. 결과
    7. 고찰
    8. 출처

    본문내용

    1. 실험 일시 및 장소 : 2023년 00월 00일, 29호관 618호

    2. 실험 도구
    – Sample : 흙을 재료로 sampling, spreading 과정을 거쳐 배양한 colony 중 뚜렷한 것을 채취하여 사용
    – 실험 기자재 : 마이크로 피펫 & 마이크로 피펫 팁 (1000 μL, 200 μL), tube (10 mL, 50 mL), tube rack, 슬라이드, clean bench, plate, 알코올램프, 라텍스 장갑, 광학현미경, 백금이
    – 시약 : LB 배지, crystal violet, Gram lugol, alcohol, safranin

    3. 이론
    ① Gram staining(그람염색법)
    세균을 염색하여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으로 구분할 수 있는 분열염색법 중 한 종류이다.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은 세포벽 구조에 따라 구분된다. 세균을 슬라이드글라스에 고정시킨 후 1차 염색약인 cristal violet으로 1∼2분 동안 염색한다. 이후 cristal violet을 세포에 강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매염제인 Gram lugol을 사용한다. 이는 1차 염색약과 결합하면서 불용성 화합물인 Cristal violet-iodine complex를 형성하며 짙은 보라색을 띤다. 이후 대비 염색제로 safranin 등의 붉은색 계통 색소를 1∼3분 동안 염색을 하고 물로 씻어 말린 후에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② Gram-positive bacteria(그람양성균), Gram-negative bacteria(그람음성균)
    Gram staining 시 탈색 과정에서 탈색되는 세균을 Gram-positive bacteria, 탈색되지 않는 세균을 Gram-negaitive bacteria로 분류한다. Gram-positive bacteria는 여러 겹의 펩티도글리칸이 중첩되어 형성된 두껍고 단단한 세포벽을 가진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보장) 치료적 의사소통 면담보고서/ 10 CYCLE 씩 7개/ 정신간호학 실습

    목차

    없음

    본문내용

    대상자
    000
    자료 분석
    진단명
    조현병(Schizophrenia)
    일시
    20XX년 XX월 XX일
    시간
    오후 1시 00분
    학생
    언어
    “안녕하세요~”

    비언어
    (밝게 웃으며)

    대상자
    언어
    “안녕하세요”

    비언어
    (무표정으로)
    학생
    언어
    “ 저는 00대학교에서 실습 나온 학생간호사 000이에요.”
    정보제공
    비언어
    (환하게 웃으면서 다가가며)

    대상자
    언어
    “반가워요..”

    비언어
    (고개를 끄덕이며)
    학생
    언어
    “성함이 어떻게 되세요?”
    관심 기울이기
    비언어
    (대상자를 바라보며)

    대상자
    언어
    “000이요.”

    비언어

    학생
    언어
    “방금 식사 끝나셨는데 밥은 맛있게 드셨어요?”
    관심 기울이기
    비언어
    (눈을 맞추며)

    대상자
    언어
    “네..”

    비언어
    (계속해서 걸으며)

    학생
    언어
    “어떤 반찬이 제일 맛있으셨어요?”
    개방형 질문
    비언어
    (고개를 돌려 눈을 맞추며)

    대상자
    언어
    “저는 쭈꾸미가 제일 맛있었어요.”

    비언어
    (눈을 바라보며)

    학생
    언어
    “여기 음식은 좀 입에 맞으세요?”

    비언어
    (눈을 맞추며)

    대상자
    언어
    “응. 여기 음식 괜찮아요. 계속 먹어봤는데 괜찮더라고.”

    비언어

    학생
    언어
    “맞아요. 저도 여기 온 지 이틀밖에 안되긴 했지만 정말 맛있더라고요”

    비언어
    (싱긋 웃으며)
    대상자
    언어
    “네. 맞아요.”

    비언어
    (고개를 끄덕이며)

    학생
    언어
    “00님은 여기 오신지 얼마나 되셨어요?”
    관심 기울이기
    비언어
    (눈을 맞추고 몸을 기울이며)

    대상자
    언어
    “한 한두달 됐지”

    비언어

    학생
    언어
    “지낼만 하세요?”
    관심 기울이기
    비언어

    대상자
    언어
    “응 근데 보다시피…”

    비언어
    (방을 가리키며 고래를 절레절레 젓고는)

    학생
    언어
    “왜요?”

    비언어
    (고개를 기우뚱하며)

    대상자
    언어
    “보이잖아… 저 사람은 시끄럽고, 저 사람은 냄새가…”

    비언어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