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s case study

  • 정신간호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CASE 간호진단(과정) 3개

    목차

    Ⅰ. 간호사례연구 보고서
    1. 대상자의 인적사항(Identification)
    2. 주호소(Chief Complaint)
    3. 건강력
    4. 약물 사용력(Alcohol and drug history)
    5. 병전성격
    6. 개인 발달력(Past personal history)
    7. 가족력(Family history)
    8. 신체검진
    9. 정신상태 검사(Mental Status Examination)
    10. 임상적 검사결과(심리검사, Lab.)
    11. 심리사회적 사정 (Psychosocial criteria)
    12.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
    13. 의학적 진단 (DSM-Ⅴ)

    II. 간호과정- 사례관리계획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위생상태
    두발상태, 세안, 손톱/발톱, 복장상태, 목욕상태 양호

    2. 태도
    협조적이지 않다. 병원 시간이 아닌 시간에 찾아가서 본인의 입장에서 말을 하기 바쁘다. 면담에 집중하지 않는다. 솔직하다 못해 독설을 한다. 무성의하지 않으며 방어적이다. 회피적이지 않고 적대적이다. 처방 된 약을 못 믿고 먹지 않았다고 말을 한다. 느리지만 반응을 보인다. 거부적이며 혼란스러워 보인다. 강아지를 맡아 준 후, 캐롤에 대한 감정을 느낀 후에는 혼란스러움을 느낀다.

    3. 얼굴표정
    외부 자극에 일관적인 표정을 보인다. 긴장되거나 우울해보이지 않고 화가나 보인다. 늘 심술 가득한 표정을 보인다.

    4. 자세
    보행장애는 없다. 상동행동도 없다. 제시간에 식사를 못 하고 병원을 찾았을 때 안절부절하는 모습을 보였다. 혼자 중얼거리거나 진전은 없다. 강박사고에 의한 강박 행동을 보인다. 공격적으로 행동하며 대인접촉을 피한다. 남들과 접촉하지 않기 위해 위험하게 피해다닌다.

    5. 언어
    비언어적 행동: 강박행동을 보임. 강박적으로 손을 씻거나 반복적으로 문을 잠그는 등의 행동을 함
    언어적: 적당한 속도와 부드러운 말투로 말을 하지만 말하는 내용은 대화상황에 불필요하고 부정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주변 사람을 비방하는 글이나 독설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2) 태도 및 행동(Attitude & Behavior)
    비누를 한번 쓰고 버린다. 손을 여러번 씻는다. 신발을 신을 때 특정 행동을 한다. 문을 잠글때와 불을 켤 때 5번씩 확인을 한다. 집의 물건이 줄 맞춰서 정리되어 있다. 길을 걸을 때 선을 밟지 않으려고 한다. 같은 식당에서 같은 점원에게 주문을 하고 같은 자리에서 같은 음식을 먹는다.

    3) 기분 및 정동(Mood/Affect)
    강박적인 행동과 규칙적인 생활을 할 때는 평온하지만 자신이 만든 규칙으로부터 방해를 받으면 불안감이 들고 자신이 좋아하는 여자가 자신의 강박적인 사고와 강박적인 행동 때문에 상처를 받을까봐 불안해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노인간호학실습A+] 교수님 극찬 자세한 간호과정 1개(영양불균형, 흡인의 위험)

    목차

    없음

    본문내용

    간호과정 #1 :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 식이
    (/) 식사 거의 못 한다고 하며 사식으로 죽 2숟가락 정도 먹음
    (/) 아침 죽 4숟가락 섭취함, 저녁 죽 3숟가락 먹었다고함
    (/) 저녁 단팥죽 2숟갈로 소량 섭취함

    # 식사를 거르려는 모습 관찰됨

    # 식사 시 2숟가락 먹으면 배부르다고 음식섭취를 하지 않으려 함

    # 경구 통한 식이 불충분하여 TPN 통해 영양보충

    # 5개월 간 15 Kg 가량 감소하였고, 탄력 없고 푸석한 피부, 갈라진 입술 관찰됨.

    # 신장 150.4cm, 체중 50kg
    [영앙평가] 단백질부족상태

    # 혈액검사
    – Protein 5.7,
    – Albumin 3.1로 감소
    -> 영양불균형, 영양 부족 의미함.

    간호목표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영양결핍으로 인한 잠재적, 실제적 건강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2,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더 이상의 체중 감소가 발생하지 않는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1일 이내에 세 끼 모두 거르지 않고 제 시간에 먹는다.
    2. 대상자는 5일 이내에 혈액검사 상 Protein, Albumin의 수치가 증가할 수 있다.

    간호계획 및 중재
    진단적 중재
    1. 대상자의 최근 영양 상태와 섭취에 초점을 맞춘 식이력을 사정한다.
    – 체중이 어느 기간 동안 얼마나 줄었는지, 식이 하는데 소화불량, 식욕 저하, 소량을 먹었음에도 나타나는 포만감, 가스팽만 등의 불편감 유무, 불편감을 악화시키거나 완화시키는 방법은 무엇이었는지 사정하였다.
    – 대상자는 약간의 우울과 기력 없음으로 인해 식욕부진으로 평소 식이를 4숟가락 이상 섭취하지 못함
    – 대부분을 그릇에 남겼고 더 먹으라고 섭취를 권장하면 입을 벌리지 않고 음식섭취를 거부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상자의 평균 식사시간은 15분 정도 소요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실습A+]뇌출혈(SDH, EDH), 두개절제술, 외과중환자실 case study (간호진단12개, 간호과정6개) 간호진단, 근거, 과정 세세하게 작성함

    목차

    가. 자료수집
    나. Data Clustering & Preliminary Diagnosis
    다. 간호과정
    라. 진단에 대한 자가학습

    참고문헌

    본문내용

    Disease
    1. Acute SDH(급성 경막하 출혈) Lt. convexity
    급성 경막하출혈은 뇌를 둘러싸고 있는 경막(dura)이라는 막의 안쪽에서 뇌 표면의 혈관이나 뇌와 경막 사이를 이어주는 혈관이 외상에 의해 파열되어 다량의 급성 출혈이 발생하여 뇌와 경막 사이의 경막하 공간(subdural space)에 피가 고여 뇌를 압박하는 상태로서, 흔히 뇌 실질의 좌상(타박상)과 파열, 뇌내출혈을 동반한다.
    경막하 혈종은 뇌를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긴급한 상황에 해당한다.
    조치가 늦어지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Etiology
    젊은 사람들에게서는 교통사고와 폭행에 의해 주로 발생하며, 노인의 경우 낙상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영유아에서는 아동학대에 의한 폭행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머리에 대한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지면서 가속력에 의해 회전운동량이 발생하는 경우, 뇌와 경막 사이를 이어주는 연결 혈관이 파열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심혈관계 질환이나 뇌혈관 질환 때문에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경우 복용하지 않는 사람보다 발생 빈도가 높고, 장기간 다량의 음주를 하는 경우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Signs &
    symptoms
    급성 경막하 출혈은 가장 심각한 형태의 두부 외상으로, 많은 경우에 의식장애가 동반된다.
    응급실에 도착할 때 이미 혼수상태인 경우도 있다.
    초기에는 인지 기능과 지남력이 저하되어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거나 계속해서 잠을 자려고 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출혈이 계속되고 뇌 부종이 생기면서 뇌압이 증가하면 환자의 의식이 급격하게 악화되면서 반신 마비, 동공 확대, 호흡곤란 등이 나타나고, 환자는 완전한 혼수상태에 빠지게 된다.
    출혈이 경미하고, 뇌 실질의 손상이 없는 경우 환자의 의식상태가 양호하여 두통만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Diagnostic
    머리 부위에 혹이 있는 경우도 있으나 겉으로 외상이 전혀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뇌 전산화 단층촬영(CT)을 통하여 정확한 진단을 해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편집 조현병 case study_진단5개, 과정2개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기간 및 방법
    3.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6) 간호
     
    Ⅱ. 본론
    1. 간호사정
    A) 일반적 사정
    B) 정신과 관련 사항
    C) 영역별 사정
    D) 가족사정
    E) Diagnoses
    2. Nursing process
    1) Nursing Problem List & Cue Grouping
    3. 간호과정 적용
    #1. 환청과 관련된 감각-지각 장애
    #2. 반복적인 부정적 경험과 관련된 만성적 자존감 저하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현악기의 줄을 고르면 좋은 소리가 나는 것처럼 병으로 인한 정신의 부조화를 치료를 통해 조화롭게 하면 현악기가 좋은 소리를 내듯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고 있는 조현병은 지능 저하를 일으키지 않으며 신체 질환이나 약물 관련 장애가 동반되지 않는 한 의식 수준도 명료한 편으로 꾸준히 약물을 복용하고 치료와 관리를 하면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는 질환이다. 하지만 조현병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과 환자 스스로 병을 인정하지 않거나 약에 대해 거부감을 가지는 것은 조현병 치료를 어렵게 하고 있습니다. 대다수의 조현병 환자는 난폭하거나 위험하지 않지만 치료 및 관리 되지 않는 경우 환각이나 망상으로 인해 충동적인 행동을 저지르기도 하는데 최근 들어 조현병 환자들이 저지른 범죄 사건이 언론을 통해 보도 되면서 조현병이 이슈화 되어 지고 있는 것을 보았으며, 실습 첫날에 조현병 환자분과 대화하며 실제로 관찰하고 어떤 치료가 이루어지고 관리되고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기 때문에 때문에 case로 선정하였고 조현병에 대한 잘못된 선입견을 깨고 대상자에게 어떻게 다가가고 어떤 간호를 할 것인지에 대해 공부하고 생각해보고자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c-sec(제왕절개) case study_진단3개, 과정3개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2. 본론
    1) 임부의 건강사정
    2) 제왕절개분만 산모사정
    3) 주요 검사
    4) 주요 약물  
    5) 간호진단 목록
    6) 간호과정  

    3. 결론
    1) 느낀 점
    2)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왕 절개는 산모의 복부와 자궁을 절개하여 태아를 출산하는 수술이다. 질을 통한 출산이 산모나 태아의 생명에 위협을 가할 수 있을 경우에 시술하는데, 어떤 경우에는 산모의 요청에 따라 이루어지기도 한다.
    아래의 제왕 절개 분만율 표 제왕절개 분만율 (출처: KOSIS 국가통계포털 – 온라인 간행물 – 2016년 한국의 사회지표 p92)
    에 따르면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제왕절개 분만율은 점차 높아져 가는 추세이며, 산모의 연령이 높을수록 제왕절개 분만율도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그만큼 현재 우리나라에 고령 임신을 통한 고위험 임신, 고위험 분만의 빈도가 점차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왕절개 수술 자체도 질식 분만보다 회복 기간이 길고 모체와 태아에게 미치는 위험률 또한 높기 때문에 간호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본 간호 대학생은 제왕 절개로 분만한 산모에게 적절한 산후간호, 수술 후 간호를 수행하여 대상자의 신체적, 정신적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급성담관염을 동반한 담낭결석 case study_과정2개

    목차

    [1] 사례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적 고찰
    1) 정의
    2) 발병원인 및 병태생리
     3) 증상 및 징후
     4) 진단검사 및 결과
     5) 합병증
     6) 의학적 치료
     7) 일반적인 간호관리

    [3] 간호사정
    1) 일반적 사항
    2) 주호소 
    3) 현병력
    4) 과거력
    5) 가족력
    6) NANDA의 간호사정도구를 이용한 간호사정
    7) 진단적 검사
    8) 진단(치료)을 위한 검사
    9) 주요 약물요법
    10) 기타 치료 및 간호
    11) 신체사정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사례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실습 기간 동안 케이스 선정을 위해 병동의 환자들을 살펴보던 중 담도계에 문제가 있어서 담관염과 담석증을 가진 환자를 만날 수 있었다. 담도는 간 안에 퍼져있는 작은 담관에서부터 시작하여 점차 굵은 담관으로 합류하여 간 밖으로 나와 총담관을 형성하고 췌장두부를 통과하여 췌관과 합쳐지고 마지막에 유두부를 통해서 십이지장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 기관에 폐쇄가 생기고 담관의 폐쇄로 인하여 배출되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는 담즙에 세균이 감염되어 급성 담관염이 발생하게 된다. 다소 생소하였던 담관염에 관해 Case study를 하는 이유는 급성담관염일 경우 생명에 위협적인 질병으로 응급입원이 필수적인 질병이라는 것을 알게되었기 때문이다. 합병증으로 간경변증, 간문맥 고혈압 등이 발생할 수 있어 담관 뿐만 아니라 간에도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다. 사례연구 대상자로 선정한 조OO 환자는 입원기간 동안 통증호소가 심하였고, ERCP 검사를 참관하며 관심을 가지게 된 환자이다. 본 학생은 이 간호사례 연구를 통하여 생소하지만 응급질병인 담관염 환자에게 있어 고려해야 할 간호문제들을 간호과정을 통해 해결함으로써 환자의 치료를 돕고 합병증을 예방하여 빠른 회복을 돕기위해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2] 문헌적 고찰
    (질환명 : 폐색의 언급이 없는 급성 담관염을 동반한 담낭 결석)
    1) 정의
    담관염은 담관계통에 발생하는 급성 또는 만성의 염증질환을 말한다. 염증성 질환으로 만성적인 염증이 진행되면서 담관 벽이 두꺼워 지게 되어 좁아지거나 협착이 생기는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담관염은 급성 담관염을 의미하며 심한 경우에는 혈압저하, 의식저하를 동반한 전신의 세균감염(패혈증)으로 사망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한 응급질환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절단 case study_과정2개

    목차

    1. 피부손상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2. 부적절한 자가간호와 관련된 지식부족

    참고문헌

    본문내용

    치료적 중재
    1. 근력 강화 운동을 실시한다.
    – 4시간마다 모든 관절의 관절범위운동(ROM)을 실시하였다.
    – 대상자에게 관절구축을 설명하고, 절단부 운동은 절단한 쪽의 관절 가동성과 근육 강도를 유지하는데 필요하며, 관절구축을 예방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고 설명하였다.
    2. 4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한다.
    – 4시간마다 측위 혹은 복위를 취해주었다.
    – 관절구축을 예방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하며, 무릎을 신전시킨 채 절단부위를 상승시켜 주었다.
    – 절단부를 외측하거나 외전시키지 않도록 하고, 휴식을 취할 때는 되도록 내전을 유지하도록 교육하였다.
    – 침상 위에 그네(trapeze)를 부착하였다.
    3. 절단부 피부 관리를 실시한다.
    – 절단부를 하루에 한 번 관찰하며 발적, 수포, 찰과상 발생 유무를 살폈다.
    – 당뇨병 환자이므로 말초혈관 같이 피부손상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설명하며 절단부의 피부 관리의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황달 case study_진단6개, 과정2개

    목차

    1. 환아의 일반적 사항
     
    2. 환아의 질병에 대한 이해
        1) 사례 질병 문헌고찰
          (1) 고빌리루빈혈증과 ABO 부적합 황달
          (2) 증상과 징후
          (3) 합병증
      (4) 진단 및 검사
           (5) 간호
          (6) 치료
     
    3. 간호사정
        1) 간호력
          (1) 일상생활력
          (2) 출생력
          (3) 건강력
          (4) 투약
          (5) 검사 및 처치
          (6) 신체사정
          (7) 신생아의 재태기간 사정
     
    4. 간호진단 및 목표 설정
        1) Nursing Problem List & Cue Grouping
     
    5. 간호과정
      #1. 빌리루빈 축적과 관련된 신생아 황달
      #2. 기저귀 발진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성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환아의 일반적 사항

    대상자 박OO은 2023년 2월 3일 출생으로 조사일 기준 생후 5일째이며, 남아이다. 재태연령은 39주이고, 출생체중은 3.2kg이다. 생후 4일째부터 얼굴, 사지, 공막이 노란빛을 띄며 황달 증세를 보여 빌리루빈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검사 결과 15.8mg/dL로 고빌리루빈혈증에 해당하는 수치가 나왔다. 원인 파악을 위하여 ABO, RH typing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검사결과 대상자의 혈액형은 A+로 엄마 혈액형 O+와의 ABO 부적합이 황달의 주원인으로 확인되었다. 황달 치료를 위해 2일째 Phototherapy 치료를 받고 있으며, 기저귀 착용으로 인한 둔부의 기저귀 발진이 관찰되었다.

    2. 환아의 질병에 대한 이해
    1) 사례질병 문헌고찰
    (1) 고빌리루빈혈증과 ABO 부적합 황달
    고빌리루빈혈증(Hyperbilirubinemia)
    : 혈액 내 빌리루빈 수치가 상승한 것을 말하며, 피부, 공막, 손톱이 노랗게 변하는 황달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고빌리루빈형증은 신생아에게 흔히 나타나며, 대부분의 경우 치료가 잘 되나, 병리적인 상태를 암시할 수도 있고, 고빌리루빈혈증은 간접(비결합형: unconjugated) 또는 직접(결합형: conjugated) 빌리루빈이 증가하여 발생한다.

    – 황달 : 혈액 중 빌리루빈의 양이 증가하여 피부 및 점맥 내 담즙의 축적으로 황색을 나타내는 병적 상태
    – 빌리루빈 : 적혈구에 함유되는 헤모글로빈의 체내에서의 대사산물, 간 또는 그 밖의 특수한 세포 속에서 생성되고 담즙 속에 함유되어 배설되는 적황색 색소

    출처 : 해피캠퍼스

  • A+ 기흉 case study_과정2개

    목차

    간호진단 및 진단 우선순위

    본문내용

    * 간호진단 및 진단 우선순위

    # 1 내용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왼쪽 가슴이 날카롭게 쑤시는 것처럼 아파요.”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차요.” (추)
    객관적 자료
    – 좌측 폐 기흉으로 응급실 내원
    – Lt. lung의 collapse
    – SpO2 : 88%
    – RR : 26회/분
    – 좌측 흉부의 움직임이 적고 청진 시 과공명음
    – 얕고 빠른 호흡
    간호진단
    폐기능 저하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목표
    단기적 목표
    ① 대상자는 3일 이내로 호흡곤란을 완화하는 방법에 대해 2가지 이상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② 대상자는 4일 이내로 SpO2 95% 이상을 유지할 것이다.
    장기적 목표
    ①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비강캐뉼라 없이 자발적이고 안정적인 호흡양상을 유지할 것이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진단적 중재
    이론적 근거
    1. 호흡 상태(호흡수, 양상, 호흡곤란 징후)를 사정하고 기록한다.
    – 4시간마다 호흡 상태를 사정하였다.

    호흡수
    양상
    호흡곤란
    10/25
    26
    얕고 빠름
    O
    10/26
    23
    얕고 빠름
    O
    10/27
    22
    빠름
    X
    10/28
    20
    빠름
    X
    10/29
    18
    정상
    X

    1. 호흡 상태를 사정하여 호흡곤란의 징후를 알 수 있다.
    2. 지속적으로 SpO₂를 모니터한다.
    – 6시간마다 산소포화도 측정기로 SpO2를 확인하였다.

    06:00
    12:00
    18:00
    24:00
    10/25

    88
    87
    87
    10/26
    86
    88
    88
    89
    10/27
    90
    91
    91
    92
    10/28
    93
    94
    95
    95
    10/29
    95
    95
    95
    96

    2. 혈액 내에 산소가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관찰함으로써 호흡중재 간호를 계획할 수 있다.
    3. ABGA 결과를 확인하고 이상 시 보고한다.
    – 검사 결과를 통해 폐의 산소화 및 가스교환이 잘되는지를 파악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급성폐쇄성후두염(크룹) case syudy_진단3개, 과정2개(자세)

    목차

    Ⅰ. 환아의 일반적 사항

    Ⅱ. 환아의 질병에 대한 이해 (진단명 : 급성 폐쇄성 후두염 – 크룹)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분류
    5. 진단방법
    6. 증상
    7. 합병증
    8. 일반적인 치료
    9. 간호

    Ⅲ.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크룹은 후두의 부종 혹은 폐쇄로 인해 쉰 목소리, ‘개 짖는 듯한’ 혹은 ‘쇳소리(질식성 호흡곤란)’, 흡기 시의 천명음, 호흡곤란으로 묘사되는 공명성 기침이 특징적인 증상군을 가리키는 일반적 용어이다. 후두의 급성감염은 영아와 어린 아동에서 발생률이 높고, 기도직경이 좁아서 염증에 의한 폐쇄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이 연령군에서 중요하다.
    크룹증후군은 후두, 기관 및 기관지에 영향을 준다. 그러나 후두염증이 목소리와 호흡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더 중요하다. 감염된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후두개염, 후두염, 후두기관기관지염, 기관염 등으로 기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후두기관기관지염은 대단히 어린 아동에서 발생하며, 후두개염은 나이든 아동에게 좀 더 일반적이다.

    2. 원인
    감염성 크룹은 바이러스가 주된 원인으로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75%로 가장 흔한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아데노 바이러스나 respiratory syncytial virus,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홍역 등의 바이러스도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외 A형 인플루엔자는 특히 심한 후두기관기관지염과 연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드물게는 디프테리아가 원인이 되기도 한다. 세균 중에서는 heamophilus 인플루엔자나 streptococcus pyogenes, str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pneumoniae, moxarella catarrhails가 흔한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3. 병태생리
    크룹증후군은 3개월~5세 유아에서 흔히 나타나는 질환으로 6세 미만의 어린이에게서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후두의 점막에 급성의 염증, 감염이 일어난 상태를 말한다. 거의 급성인두염의 부분 증세로 일어나며 후두가 부어 숨쉬기가 곤란해지며, 숨을 들이마시거나, 기침을 할 때 개 짖는 것 같은 ‘컹컹’소리가 난다. 치명적인 결과를 피하기 위해 조기에 발견하고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