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s case study

  • 가와사키 병 CASE STUDY (아동간호)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3개

    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신체 검진
    4. 성장기록지 기록
    5.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6. 약물
    7. 간호과정
    8.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문헌고찰
    가와사키병은 4세 이하의 영유아에게서 발생하는 급성 열성 발진증이다. 그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관상동맥류를 유발하는 급성 전신의 계통적 혈관염이 주된 병태이다.
    ① 소아, 특히 영유아의 질환이다.
    ② 증상(진단기준 항목)은 전부 기억하자.
    ③ 심장동맥에 혈관염이 생겼을 경우, 심근경색, 심장동맥자루 파열이 일어난다.
    ④ 치료는 아스피린 또는 γ–globulin 제제이며, 부신피질스테로이드제는 금기이다.

    원인
    1. 원인불명
    2.Group A streptococcal infection
    3. 면역반응의 불균형적 조절

    증상
    1. 5일 이상 계속되는 발열
    원인불명의 발열로, 38~40℃의 고열이 5일 이상 계속된다. 1~2주 계속되는 경우가 많으며 1개월 이상 계속되기도 한다.

    가와사키 사지말단의 변화
    2. 사지말단의 변화
    급성기에는 손발의 경직성 부종(손바닥이나 손가락이 부어올라 주먹을 쥘 수 없게 되는 정도), 손 · 발바닥 또는 손 · 발가락 끝에 홍반이 나타난다.
    회복기에는 손가락 끝에서 막성 낙설(표피 탈락)이 나타난다. 말초나 사지가 심하게 부어오를 때에는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다. 손톱과 피부의 이행부에서 피부가 벗겨진다.

    출처 : 해피캠퍼스

  • Fracture of thoracic vertebra CASE STUDY(간호)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3개

    목차

    1. Fracture of thoracic vertebra CASE STUDY
    1) 병태생리
    2) 임상증상 및 진단적 검사
    3) 치료
    4) 간호중재

    2. 간호사정
    1) 일반정보
    2) 건강력
    3) 신체검진 및 간호
    4) 약물
    5)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6) 특수치료 및 처치
    7) 간호과정

    3. 참고문헌

    본문내용

    Fracture of thoracic vertebra CASE STUDY

    1. 병태생리
    힘에 의하여 부러진 상태를 말한다. 흉추와 요추는 우리의 몸통을 이루는 뼈들로 척추 가운데 가장 긴 구간을 차지하고 가장 움직임이 많으며 유연하다. 척추는 신체의 중심이 되는 분으로, 체중을 하지로 전달하고 몸의 균형과 중심이 잡는 부위이다. 뇌와 장기 및 사지 간의 신호를 전달해주는 척수가 지나가는 통로로써, 이 신경을 보호해 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척수는 크게 4부분으로 나뉘는데 경추, 흉추, 요추, 천우 및 미골로 나뉘게 된다. 이 중 12개의 뼈로 이루어진 흉추부는 2쌍의 늑골과 가슴 중앙의 흉골로 미뤄지는 흉곽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부위이며, 그 아래쪽에 5개의 뼈로 이루어진 요추부가 있다. 그래서 이 뻐들은 떨어지거나 교통사고 등으로 강한 충격이 가해지면 뼈가 부러지는 골절 등이 일어난다.

    2. 임상증상 및 진단적 검사
    * 변형: 뼈의 모양이나 위치가 변하여 각이 생기거나 회전의 단축이 있으며 뼈윤곽의 변화와 놀림이 있다.
    * 부종: 골절부위에 장액성 체액의 증가와 출혈로 인한 부종이다.
    * 정상출혈: 피하출혈이 원인이다.
    * 근육경직: 골절부 근육의 불수의적인 수축이 있다.
    * 압통: 촉진으로 알수 있다.
    * 통정: 근육경직, 골편의중복 연조직이나 근육의 손상이 원이이며 환자가 움직이거나 환부에 압력이 가해지면 더욱 심해진다.
    * 감각 변화(저린감): 신경손상이 있을 때 저린감이나 감각이상이 있다.
    * 염발음: 골절편이 부딪힐 때 서로 맟닿는 소리가 난다.
    * 쇼크 : 심한 출혈을 동반할 때나 연조직 손상이 심할 때 올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Procidentia(uterine) 완전자궁탈출 A+++++ 케이스 스터디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기간 및 방법

    Ⅱ. 본론
    1. 건강문제와 관련된 정보수집 및 문헌고찰
    2. 대상자 사정
    3. 진단검사
    4. 약물
    5. 치료
    6. 간호

    Ⅲ. 간호과정
    1. 간호진단
    2. 간호과정

    Ⅳ. 결론
    1. 느낀 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일까지 병동에서 실습을 하면서 여러 가지 질환 중 자궁탈출증이라는 질환이 나에게 생소한 질병이라 연구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였다. 따라서 자궁탈출증 환자를 케이스로 잡고,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원인, 증상, 치료방법 등을 자세히 공부하고 대상자의 사정을 통하여 대상자의 간호문제를 발견하고 진호진단을 내림으로 대상자에게 적합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이 질환을 선택하였다.

    2. 연구기간 및 방법
    외래를 통해 입원한 대상자를 전산 자료(EMR)와 대상자와의 대화를 통해 간호 사정을 하였으며 간호사 선생님께 질문, 인터넷 검색, 교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 정리하였다.

    <중 략>

    질병원인
    골반에 있는 장기들은 골반바닥근육(pelvic floor muscle)과 인대에 의해 지지를 받고 있다. 골반바닥 근육과 인대가 선천적으로 약하거나 후천적으로 내적, 외적으로 손상을 받아 약해지면 골반에 있는 장기들은 지지를 받지 못하여 골반장기탈출이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는 노인 여성에게 국한된 적이 아니라 연령에 따라 다양하며 젊은 여성에게도 발생한다.
    골반장기탈출의 위험요인이 제시되고 있지만 복합요인에 의해 발생하기 쉽다. 주된 요인은 다음과 같다.
    – 임신과 출산, 특히 거대아 출산이나 난산, 겸자 분만 혹은 흡입(vaccum) 분만, 다산 등으로 근육과 인대가 늘어나거나 지지하는 힘이 약해져 탈출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은 출산에 의해 손상을 입은 후 수년 혹은 몇십년 후에 나타난다.
    – 노화와 함께 폐경에 따른 에스트로겐의 감소는 젊을 때부터 갖고 있던 근육과 인대의 손상을 더욱 악화시킨다.
    – 자궁에 종양이 있는 경우
    – 유전적으로 근육과 인대가 약한 경우
    – 자궁절제술을 포함한 골반수술의 경우
    – 2차적으로 복압을 증가시키는 요인 (아이나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릴 때, 흡연, 천식 혹은 기관지염으로 인한 만성 기침 및 변비 등으로 인한 긴장)
    – 비만

    출처 : 해피캠퍼스

  • ICU case study A+ HF(Heart failure) 심부전, 실제 간호사 작성

    목차

    1. 간호사정
    1)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사정하시오.
    2) 현질병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시오.
    3)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결과를 해석하시오.
    4) 대상자의 약물치료 현황을 파악하시오.
    5) 대상자의 기타 치료 및 간호 (I/O check, special V/S, education, pre,post op care등)
    6) 추가 검사 결과

    2. 간호진단 도출 ( S.O.A.P.I.E )
    1. 심장기능 악화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의 위험
    2. 폐기능저하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본문내용

    1)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사정하시오.

    성명: 김아무개
    성별: 남
    연령: 79
    병록번호: 1234567890
    주소: xx
    전화번호: XXXX
    입원일자: 2024년 X월 X일
    입원경로: ☐ 병실  응급실
    정보제공자: 아내
    C.C): Mental change
    P.I) : asthma, HFrEF/RV failure/moderate MR/severe TR, a-fib RVR
    : COPD
    : bronchiectasis
    : HFrEF[RV failure/moderate MR/severe TR, a-fib RVR]
    + R/O pulmonale, AKI, hepatic congestion

    (1) 교환
    ① 의식수준
    □ alert □ drowsy  stupor □ semicoma □ coma

    ② 활력증후
    체온 37.6 ℃ 측정부위 이마
    호흡 20 회/분 호흡을 위한 보조기구: ☐무  유 ventilater
    맥박 142 회/분 측정부위 인공심장박동기 착용여부  아니오 ☐ 예
    혈압 99/45 mmHg

    ③ 영양
    건강식품의 섭취  안한다 ☐ 한다
    식욕상태 ☐ 왕성 ☐ 보통  식욕부진
    식사종류 ☐ 일반식 ☐ 금식 ☐ 특별식이
    음식물섭취 경로 ☐ 구강  위관 ☐ 위루
    좋아하는 음식
    싫어하는 음식

    출처 : 해피캠퍼스

  • ICU case study aspiration pneumonia A+ 실제 간호사 작성

    목차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도출 ( S.O.A.P.I.E )

    본문내용

    2) 현질병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시오.

    (1) 현병력
    ① 질병 발생부터 병원에 오기까지 경과 (history of present illness)
    24.X.X일 상환 lung cancer with bone lymph node metastasis 있으신 분으로 내원 1일전 발생한 dyspnea에 대하여 OO병원에서 R/O aspiration pneumonia, severe dehydration 및 hypercalcemia 진단 받고 치료 받다가 ICU care를 위하여 본원으로 의뢰됨

    ② 현 시점에서 주호소(chief complaints) : desaturation

    <중 략>

    단기목표
    대상자는 2주 내에 새로운 피부손상이나 손상부위의 악화가 되지 않는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3개월 내에 피부 손상 부위 1단계 이상 줄어들고 회복된다.

    1. 2시간마다 체위변경을 실시한다. (supine → Rt. lateral → Lt. lateral → supine)
    2. 매 근무교대 시 마다 피부상태를 관찰하고, 기록하며, 상태변화가 있을 시 보고한다.
    3. heel, 뼈 돌출부위를 보호한다.
    4. air mattress와 스펀지 pillow를 적용한다.
    5. Back care와 massage를 주기적으로 실시한다.
    6. 시트에 주름이 없이 관리하고 침구 또는 방수포가 젖었을 때 즉시 교환한다.
    7. 피부를 건조하고 청결하게 관리한다.
    8. 억제대 착용 할 경우 착용 부위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관찰하고 침구 교환 시 같이 확인하며 억제대를 잠시 풀어 바람이 통하게 해준다.
    9. 매일 아침,저녁 2회씩 욕창 부위 드레싱을 해준다.
    10. 체위변경 시 옷에 구김이 있으면 원인으로 작용 할 수 있기 때문에 펴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정신건강간호학] 조현병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다니엘 이즌 리얼>

    목차

    가. 일반적 정보(General Information)
    나. 주호소(Chief Complaint)
    다. 현병력(History of Present Illness)
    라. 과거력(Past History)
    마. 가족력(Family History)
    바. 사회력(Social History)
    사. Mental Status Examination
    아. 신체사정(Physical Examination)
    자. 임상적 검사결과
    차. 약물치료
    카. 의학적 진단명
    타. 간호과정

    본문내용

    가. 일반적 정보(General Information)
    • 성명: 루크 • 성별/나이: M/20대
    • 학력: 대학교 재학 • 종교상태: 알 수 없음 • 경제상태: 빈곤하지도, 부유하지도 않음

    나. 주호소(Chief Complaint)
    “내가 한 게 아니야! 다니엘이야!”
    “내 몸을 돌려줘! 내 몸을 내놔! 내 몸을 내놓으라고!”
    “너 때문에 학교 잘리게 생겼어. 눈 감고 셋 셀테니까 다시 눈 뜰 때까지 내 눈앞에서 사라져.”
    “더는 못하겠어요. 이렇게는 못살겠에요.”
    “내가 잠이 들면 놈이 내 몸에 들어와서 내가 원치 않는 일을 하도록 만들어요. 엄마를 죽이려고 했어요.”
    “너도 봤잖아, 캐시! 놈이 캐시 너를 죽일거야!”

    다. 현병력(History of Present Illness)
    조현병을 앓고 있는 엄마와 루크와 엄마를 버리고 떠난 아빠. 이런 불우한 가정 속에서 자라던 어린 루크는 카페에서 총기 사건을 목격한다. 끔찍하게 죽은 피해자들을 보고 트라우마를 얻게 된 루크는 그 날부터 자신에게만 보이는 상상속의 친구 다니엘을 만나게 된다. 어두웠던 루크가 다니엘과 놀며 밝은 모습을 보이자 엄마는 기뻐했지만 다니엘의 장난은 점점 과격해졌고, 결국 루크는 다니엘을 인형의 집에 가두고 만다.
    그렇게 시간은 흘러 대학생이 된 루크는 클럽에 갔다가 쓰러지면서 그 곳의 사람들이 괴물로 보이는 경험을 한다. 이 일로 정신과를 방문한 루크는 상담을 받으며 어릴 적 친구 다니엘의 이야기를 하게 되고, 의사의 “그 상상을 두렵다고 억누르지 말고 다시 본인의 일부로 받아들이도록 해봐요.” 라는 조언에 집으로 돌아와 어릴 적 다니엘을 가두었던 인형의 집을 열었다. 밖으로 나온 다니엘은 그 후 루크에 대한 모든 것에 영향을 주었고 루크도 그런 다니엘이 싫지 않았다. 하지만 다니엘은 점점 루크가 자신의 뜻대로 움직이지 않자 분노하는 일이 잦아졌고 끝내 루크와의 유합을 시도한다. 이 과정에서 루크는 다니엘을 저지하려고 하지만 손목이 잘리는 끔찍한 경험을 하게 되고, 결국 다니엘을 없앨 수 있는 방법은 오직 자신이 죽는 것이라고 생각한 루크는 옥상에 뛰어 내린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아동간호학실습] 신생아실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본론
    1. 질병에 대한 기술(문헌고찰)
    2. 대상자 사정
    3. 대상자 간호문제 (간호진단 아님)
    4. 대상자 간호과정 (우선적인 간호문제 2개 선정)
    5. 퇴원 시 부모교육

    Ⅲ. 결론 및 제언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상자 사례 –
    대상자는 2022년 11월 8일 오전 8시 29분에 출생한 신생아로 성별은 남아, 재태기간은 37주 5일 제왕절개로 태어났다. 산전 초음파에서 Cardiac anormaly(TR(+), RA 커 보이고 LA 작아보임, foramen ovale 커보임, dilated coronary sinus, PLSVC, RA 벽이 두꺼워 보임, RV>LV (1.96cm>1.03cm)), renal hypoplasia(Rt.)-R/O, horseshoe kidney 소견 있었던 환아로 아프가 점수는 1분 7점, 5분 9점이었다. 분만장에서 initial crying 있었고 출생 3분대 SpO2 60%대에서 오르지 않아 40초간 O2 3L blow by로 주었고 이후 SpO2 85% 이상으로 회복되어 NICU 입실하였다. 산모는 34세로 산과력은 2-0-0-2, 현 병력으로는 임신성 당뇨가 있었고, 이 전에 제왕절개 한 과거력이 있었다. 대상자의 주 진단은 patent foramen ovale, 부 진단은 sinleton born in hospital (c/s delivery), Testis ascending (cryptorchidism), Feeding problem od new born (unspecified), Horseshoe kidney로 진단 하 수유 진행하여 desaturation 양상 호전 되었고 활력징후 안정적으로 퇴원 결정하였다.

    1. 연구의 필요성
    고위험 신생아는 출생 후 적응이 어렵거나 사망률과 이환율이 평균 이상인 신생아로 미숙아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미숙아는 재태주수 37주 미만으로 태어난 경우를 지칭하며 출생 체중에 따라 2500g 미만은 저체중 출생아, 1500g 미만은 극소저체중 출생아, 1000g 미만은 초극소저체중출생아로 구분된다. 미숙아는 전체계적으로 매년 약 150만 명이 태어나고 한국의 경우 1995년 18,232명에서 2005년 20,521명, 2015년 30,462명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는 국내 출생아수 감소에 반하는 현상이며 출생체중과 재태주수가 낮을수록 사망 위험은 증가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실습] 사례연구 보고서 대퇴 전자간 골절 case study 인공관절부분치환술 (Bipolar hemiarthroplasty)

    목차

    Ⅰ.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1. 병명
    2. 정의
    3. 병태 생리
    4. 임상 증상
    5. 치료
    6. 간호

    Ⅱ. 간호사정
    1. 간호력
    2. 진단명
    3. 초기 사정 자료
    4. 질병 진행 과정(Process of Disease)

    Ⅲ. 투약

    Ⅳ. 특수 치료

    Ⅴ. 간호과정

    본문내용

    1. 병명:
    Fracture of intertrochanteric section of femur, closed

    2. 정의
    – 대퇴골: 대퇴골은 몸에서 가장 길고 큰 강한 뼈이고, 서 있는 자세에서 몸무게를 볼기뼈에서 정강뼈로 전달한다. 길이는 키의 약 1/4로 살아 있을 때의 키를 추정할 때 사용한다. 넙다리뼈는 위끝, 뼈몸통, 아래끝으로 구성된다.
    – 대퇴 전자간 골절: 대퇴 전자간 골절은 대퇴골 근위부 전자간 선으로부터 소전자 5cm이하까지의 부위에 발생된 골절을 말한다. 젊은 환자에서 전자간 골절은 교통사고나 추락과 같은 고에너지 손상으로 발생하며 노령에서는 대부분 단순 낙상으로 발생한다. 노인들은 낙상시 고관절 주변으로 떨어지는 빈도가 높으며 보호성 반사 반응이 약하고 느리며 충격흡수 역할을 하는 근육이나 지방 등이 부족하고 뼈 자체의 강도가 약해 골절이 일어나기 쉽다.

    3. 병태 생리
    골절은 외부적 힘에 의하여 골 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이다. 골절로 인한 손상의 범위는 경미한 근염좌에서부터 심한 골절로 인해 불구를 야기하는 것까지 다양하다. 골절의 원인은 자동차 사고, 낙상, 구타, 뒤틀림, 기계에 눌리는 압축 손상 또는 병리적 골절이다.
    1) Boyd와 Griffin분류
    제 1형: 대전자에서 소전자를 따라 골절된 것으로 정복과 유지가 용이하며 결과도 만족스럽다.
    제 2형: 주 골절 선이 전자간을 지나고 분쇄가 있어 정복이 용이하다.
    제 3형: 기본적으로 전자하 골절로 적어도 하나의 골절선은 소전자 직하를 지나며 정복도 어렵고 수술 시나 수술 후에도 합병증이 많이 생길 수 있다.
    제 4형: 전자부와 대퇴골 근위부를 침범하며 적어도 2개의 평면상에 골절 선이 있다. 따라서 정복을 시행할 때에는 나선형, 사상형 및 나비형 골절이 근위부에 있어 이를 고정하여야 한다.

    2) Evans분류
    골절 형태의 안정성과 불안정한 골절 형태의 안정된 정복의 가능성에 의해 분류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성인간호학실습 TKRA 간호 대상자사례 case study 간호과정

    목차

    I. 간호력
    II. Conceptual Mapping
    III.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황

    손OO씨는 64세 기혼 여성으로 직계 가족과는 절연하여 현재 혼자 살고 있다. 내원 1달 전부터 양쪽 knee discomfort가 느껴져 5/9 휠체어를 타고 외래를 통해 입원했다.
    신체사정 및 입원 시 V/S 모두 stable 했다. 기저질환으로는 HTN, DM이 있으며, DM 조절이 어려워 당뇨식이 및 q6h BST를 진행했고, 개인 지참약(Tuojeo)이 있어 self Inj. 하기로 했다.
    DJD(degenerative arthritis) 진단받아, 통증이 심한 오른쪽 다리에 TKRA(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수술을 5/11에 진행했다.
    수술 후 pain 심하다고 하고 NRS 6점 사정돼서 medication 하고 있다.

    * 대상자는 5/18일 퇴원했으나, 자료의 양이 너무 많기에 5/13까지 조사하였다.

    <중 략>

    주요 문제 / 간호 진단
    CC: Rt. Knee Pain
    Dx: 수술 창상과 관련된 급성 통증

    Subjective Data
    – “지금 통증이 심한데 이 꽉 깨물고 참고 있어요.”
    – “움직일 때 통증이 심해요.”

    Objective Data
    – 5/11 OP V/S BP 160-180대 측정됨. (고혈압)
    – 5/11 AM11 TKRA 실시함.

    출처 : 해피캠퍼스

  • 급성위장염 AGE 체액부족 변비 case study 간호과정

    목차

    1. 문헌고찰
    2. 건강력
    3. 간호문제 사정
    4. 투약기록
    5. 간호진단
    6. Concept mapping
    7. 간호과정
    8. 참고문헌

    본문내용

    【병 명】 급성 위장염 (acute gastroenteritis, AGE)

    【정 의】 급성위장염은 위와 소장에 오는 급성 염증으로서, 급성 설사병이라 불리기도 한다. 어느 연령층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저개발국에서는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나타난다. 급성 위장염은 아동에게 가장 흔히 오는 위장관계 질환이며, 심한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이 주된 합병증이다. 흔히 위장관염은 구역과 구토(nausea & vomiting)가 주된 증상으로 나타나며, 열과 복통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여러 가지 다양한 원인균에 의해 발병되며, 과도한 수분손실로 탈수의 위험에 빠질 수 있다.

    【원인과 병태생리】 급성 위장관염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이질아메바(Entamoeba histolytica), 박테리아, 항생제로 인한 반응, 효소결핍, 식품알레르기, 독물섭취(ingestion of toxins), 기생충, 바이러스를 꼽는다. 이 중에서 가장 흔한 것은 Rotavirus에 의한 위장관염으로 입원한 소아 설사 아동의 약 40~50%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매년 늦가을부터 겨울 사이에 이 바이러스에 의한 위장염으로 전국적으로 설사가 유행한다.

    급성 위장염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유발 원인에 대해 장관이 반응하여 장액(luminal fluid)이 흡수할 수 없을 정도로 증가하고, 이로 인해 복통, 구토, 심한 설사가 나타나며, 이차적으로 세포내액의 고갈을 초래한다. 따라서 탈수와 전해질 손실이 병행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