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s case study

  • 페색전증(PTE, pulmonary thromboembolism) case study/vsim-Vernon Watkins 케이스/간호진단5개/간호과정2개/가스교환장애/폐색전증 케이스

    목차

    Ⅰ. 서론
    1. 간호사례 선정 이유

    Ⅱ. 문헌고찰
    1. 원인
    2. 병태생리
    3. 증상과 징후
    4. 진단
    5. 협동적 관리
    6. 간호

    Ⅲ. 건강사정
    1. 인적 사항
    2. 출처(source)
    3. 진단명(Medical Diagnosis)
    4. 수술명
    5. 주호소(C.C) / 입원 정보, 입원 동기
    6. 현병력(HPI)
    7. 과거력(PMH)
    8. 가족력(Family Hx)
    9. 사회심리적 문제(psychosocial)
    10. Review of system (문진을 통한 주관적 자료수집)
    11. Physical exam (신체검진을 통한 객관적 자료수집)
    12. 환자 기본 상태 사정

    Ⅳ. 약물

    Ⅴ. 진단검사
    1. 정맥 혈액 분석
    2. 동맥 혈액 분석
    3. 방사선 검사

    Ⅵ. 치료 경과 및 계획
    1. 진단명
    2. 현재 치료내용(order 내용)
    3. 향후 치료계획

    Ⅶ. 간호과정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 간호사례 선정 이유
    ‘사다리 타기’라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시된 사례들을 조원들과 나눈 결과, 선정되었다.

    Ⅱ. 문헌고찰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은 색전에 의하여 폐혈관의 일부가 갑자기 막힌 상태이다. 폐색전증이 초래된 혈관의 크기에 따라 치명적인 상태가 될 수 있다.

    A. 원인
    대부분 하지의 심부정맥(깊은 정맥)에서 생긴 혈전이 혈류로 운반되어 발생한다. 혈전 외에 종양, 공기, 지방, 골수, 양수, 심내막염에서 생긴 판막의 증식물로도 발생한다.

    B. 병태생리
    폐로 이동한 색전물은 폐혈관에 머무르는데, 색전의 크기와 숫자에 따라 위치가 결정된다. 색전이 머무는 부위의 혈류가 막히면 그 혈관이 공급하는 폐 부위의 관류가 감소한다. 환자는 계속 환기하지만 조직 관류가 없어 환기-관류 비율이 맞지 않아 저산소혈증이 발생한다.
    색전이 큰 폐혈관을 막으면 무기폐가 유발되고 심박출량이 감소한다. 색전이 작은 혈관을 막으면 심한 증상은 나타나지 않으나 관류는 변화한다. 이 과정에서 히스타민, 세로토닌, 카테콜아민, 프로스타글란딘의 분비가 동반되어 혈소판이 탈과립되고 혈전을 형성하며, 세동맥이 수축한다. 또한 이 화학물질들은 기관지와 폐동맥을 수축시키는데 이러한 혈관수축이 폐색전증에서 발생하는 혈행 문제의 주원인이라고 생각한다. 혈전으로 막히게 되면 그 혈관은 허탈되어 폐혈관 압력이 증가한다. 폐혈관 압력이 증가하면 우심장에 부하가 증가되어 심부전이 발생한다. 심한 경우, 관류 부족으로 저산소혈증과 산독증으로 심폐계가 허탈된다.

    C. 증상과 징후
    흔한 증상은 빈맥, 호흡곤란, 흉통이다. 이 증상들은 심근경색 증상과 유사하여 감별진단하여야 한다. 폐색전증에서의 흉통은 폐실질의 염증반응, 폐경색 혹은 허혈, 작은 폐혈관의 폐색으로 초래된다. 색전물이 큰 혈관이나 폐의 주요 부분을 폐색시켰을 때 호흡곤란이 더 심해진다. 불안, 기침, 발한, 기절, 객혈 등도 발생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감염관리학] 코로나19(covid 19) 환자 case study/간호진단2개/간호과정2개/비효과적호흡양상,고체온/코로나19 케이스

    목차

    1. 환자 소개
    A. 일반적 사항
    B. 건강력
    C. 신체검진
    D. Physical Examination (추가적인 내용)

    2. V/S, SpO2

    3. 진단검사
    A. 전해질 검사
    B. 일반화학검사
    C. 일반혈액검사(CBC)
    D. WBC diff. count

    4. 기타 검사
    A. ABGA – 호흡성 산증
    B. 핵산 증폭 검사 (NAAT), PCR(rRT-PCR) 결과
    C. Chest 검사

    5. 약물

    6. 간호과정

    본문내용

    입원동기
    체온이 38.8°C로 최고조에 달하였으며 기침, 객담, 호흡곤란과 5일 전에 시작된 전반적인 쇠약 있어 내원함. 병원에 오기 2일 전에 가벼운 설사(대변:3~4회/일)가 있었음. 그녀의 증상과 최근 COVID-19 양성 환자인 딸과의 긴밀한 접촉을 감안하여 내원함.

    진단명 (Medical Diagnosis)
    Pneumonia, COVID-19 양성

    주호소(C.C)
    고열, 기침, 객담, 호흡곤란, 전반적인 쇠약

    주관적 자료
    – “숨 쉬는게 힘들어 죽겠어요.”
    – “기침을 해도 뭐가 나오질 않으니 너무 답답해. 목에 가래 좀 빼줘요”
    – “열이 나서 머리가 아파요..”
    – “어지러워… 숨이 차서 간호사실까지도 도저히 못가겠어.”
    – “계속 기침하니깐 힘들어요.”
    – “하루종일 힘이 없어요.”
    – “병원에 오기 3~4일 전에 설사했어요.”

    B. 건강력
    현병력
    : 2020년 2월 11일, 73세의 여성의 체온이 38.8°C로 최고조에 달하였으며 기침, 객담, 호흡곤란과 5일 전에 시작된 전반적인 쇠약 있어 내원함. 병원에 오기 2일 전에 가벼운 설사(대변:3~4회/일)가 있었음. 그녀의 증상과 최근 COVID-19 양성 환자인 딸과의 긴밀한 접촉을 감안하여 내원함.

    과거력 : 간경변, 제2형 당뇨병

    가족력 : 없음.

    C. 신체검진
    ∙ 기형 ■없음 □있음

    ∙ 동통(통증) □없음 ■있음 입원 당시 NRS 4점
    (결리는, 퍼짐, 쑤심, ■예리함, 묵직함, 기타)

    ∙ 식욕 □좋음 □보통 ■나쁨 (기침과 비효율적인 호흡 양상 때문에)
    ∙ 체중변화 ■없음 □있음

    ∙ 수면상태 수면시간 6 시간/1일 수면장애 있음(기침 때문에)

    ∙ 대변 횟수 3~4회/1일 색깔 dark brown ■설사 □변비 □동통 □기타

    출처 : 해피캠퍼스

  • 노인간호학 간호사례 보고서

    목차

    1. 대상자 기초정보 자료
    2. 입원일부터 현재까지 경과요약
    3. 간호 관찰/수행 일지

    본문내용

    1. 대상자 기초정보 수집 참고자료

    일반적 정보
    ● 이름: 박○○
    ● 성별: 여자
    ● 나이: 00세
    내원 관련
    ● 입원일:
    ● 입원목적
    – 22년 ○○병원에서 sarcoma 진단받아 섬유육종 excision 수술, 항암, 방사선 치료를 받았으나 재발 및 폐, 흉벽 등 전이가 상당히 진행되고 병변의 크기가 급격히 증가하여 23년 9월 말기 진단을 받았음. 이후 근치적 치료, 연명 치료 모두 중단하고 호스피스 권유받고 호흡곤란, 통증 조절을 위해 외래를 통해 입원
    ● 입원 당일 주 증상: 전신 쇠약
    ● 주 진단명: Sarcoma of lung (폐 육종)
    기타
    1. 영양 상태
    ● 식습관
    – 종양이 식도까지 전이되어 음식을 삼키기 어려워함.
    – 환자 2주 전부터 식사량 감소하여 밥 1/3공기 식사
    ● 연하곤란: 유
    – 꼬리뼈(coccyx) 쪽 5*5cm 욕창(Grade 1) 있음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EBS명의 '심근경색 돌연사, 막을 수 있나?'/A+받음/심근경색(MI) case/간호진단1개/간호과정1개/심근경색 케이스

    목차

    Ⅰ. 동영상 주요 내용
    1. 심근경색
    1) 극심한 가슴 통증을 유발하는 심근경색은 과연 어떤 병일까?
    2) 심근경색의 증상은 어떨까?
    3) 동맥경화의 위험요인(위험인자)은 무엇일까?
    2. 협심증
    1) 협심증이란?
    2) 협심증의 통증(증상)은 어떨까?
    -스텐트시술
    -관상동맥우회술
    -약물 복용
    [니트로글리세린(NTG)의 원리]

    Ⅱ. 동영상을 보고 알게 된 점 및 자가 학습 내용
    ▷알게 된 점
    ▷자가 학습 내용
    심장의 주요 혈관(관상동맥)
    심장의 구조
    순환(폐순환, 체순환) 요약
    고혈압의 정의와 진단기준
    일반인 고혈압 정상 수준
    고지혈증의 정의와 진단기준
    일반인 콜레스테롤 정상 수준

    Ⅲ. 동영상에 나오는 대상자 1인 간호과정 적용

    Ⅳ. 동영상을 보고 느낀 점과 과제 수행 후 소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동영상 주요 내용

    1. 심근경색
    심근경색은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지면 더 위험해지는 질환이다. 어느 날 갑자기 일상을 무너뜨리고, 이로 인해 자칫 잘못하면 생명을 잃을 수 있다. 돌연사 원인의 70~80%를 심근경색으로 보고 있다. 그렇기에 돌연사와 심근경색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상황이며 이는 아무런 전조증상이 없기에 더 위험하다.

    1) 극심한 가슴 통증을 유발하는 심근경색은 과연 어떤 병일까?

    심장은 우리 몸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펌프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심장은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근육에 영양을 공급해주는 심장혈관이 있는데 모양이 왕관처럼 생겨서 관상동맥이라 하기도 한다.
    심근경색은 이러한 관상동맥에 콜레스테롤이든 다른 문제로 인해서, 혈액의 흐름이 완전히 막혀서 심장근육에 괴사를 일으키게 되는 질환이다. 그러므로 심근경색은 최대한 빨리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치료는 대개 혈관조영술과 혈관 스텐트 시술을 사용한다. 혈관 스텐트 시술은 혈관에 풍선은 넣어 넓혀준 후 다시 스텐트를 넣어 확장된 혈관을 그대로 고정하는 시술이다. 또 혈관조영술은 혈관에 조영제를 넣은 후, 방사선 촬영을 통해 혈관의 모양을 보는 검사법을 말한다.

    [심근경색의 원인]
    콜레스테롤이 약해진 동맥에 침투 → 염증세포와의 반응으로 생긴 죽상경화반 → 커지고 불안정해지는 죽상경화반
    → 혈전 형성→ 동맥을 완전히 막는 혈전 → 완전 폐쇄 → 심장근육 괴사

    우리 몸에서 혈액을 내보내는 역할을 하는 동맥. 동맥경화란 그 혈관이 딱딱해지는 것을 말한다. 동맥경화는 우리 몸에 있는 모든 동맥에 올 수 있다. 동맥 혈액의 흐름 안에는 콜레스테롤이 있는데, 이 콜레스테롤이 병이 생긴 동맥, 즉 약해진 동맥에 침투하면 그 안에 염증세포와 같이 반응해서 점점 부풀게 된다. 부풀어진 모양이 혈관 안쪽으로 오게 되는 것을 ‘죽상경화반’이라 하며, 이것이 점점 커지고 불안정해지면 바깥을 싸고 있는 마개에 약한 부위가 생기게 되고, 이 부위가 파열되어 흘러나오게 된다. 이후 혈관 안쪽으로 흘러나온 여러 가지 물질들이 혈전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혈전이 결국 동맥을 완전히 막는 상황이 오게 된다. 이렇게 완전 폐쇄가 오게 되면 심장근육에 괴사를 일으킬 수 있는 심근경색이 된다. 이런 동맥경화가 바로 심근경색(크게는 관상동맥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정상분만 case study/A+받음/간호진단5개/간호과정3개/정상분만 케이스

    목차

    Ⅰ. 서론
    A. 간호사례 선정 이유
    B. 대상자 질환에 간단히 기술

    Ⅱ. 문헌고찰
    A. 정의+분만의 단계
    B. 종류
    C. 시술(투여)방법

    Ⅲ. 간호사례
    A. 간호력
    B. 신체검진
    C. 진단검사
    D. 투약
    E.병의 경과(Progress of disease)
    F. 간호과정 적용

    Ⅳ. 결론
    A. 간호사례 대상자에게 간호과정 적용하면서 느낀 점
    B. 여성건강간호학 실습 소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A. 간호사례 선정 이유
    태아가 분만예정일을 전후하여 정상 산도를 통해 자연적으로 산모의 만출력에 의해 만출되고, 또한 모아 모두 해가 없는 것을 정상분만(자연분만)이라고 한다. 이는 제왕 절개 수술 따위의 인공적인 도움 없이 임산부의 자연적인 분만력(power)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출산이다.
    우리나라는 2007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제왕절개분만율이 36.8%로 아직 OECD 다른 국가들보다 높은 편이긴 하나, 2001년 40.5%에 비해 4.1%가 감소하였다. 그에 비해 2006년 상반기 우리나라 자연분만 건수는 13만9,235건으로, 2005년 상반기 13만3,454건에 비해 4.3%가 증가하였다. 또 질식분만은 제왕절개분만보다 출혈량이 적고 모체의 회복속도와 기간이 빠르며, 무엇보다 비용이 적게 든다. 이렇듯 자연분만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음에 따라 자연분만율도 자연스레 상승할 것이고, 이와 관련된 간호사의 지식요구도 또한 점차 더 필요할 것이기 때문에 해당 사례를 선정하게 되었다.

    B. 대상자 질환에 간단히 기술
    대상자는 ANC 받던 중 유도분만으로 NSVD를 하신 분으로, 회음절개술(episiotomy)을 정측방으로 받으셨으며, 회음열상이 있고 실혈량은 400ml 정도 있으시다.
    유도분만은 자발적인 분만 진통이 시작되기 전 자궁 수축을 일으키는 외부 물질을 투약하여 인위적으로 분만 진통을 유발하는 방법이다. 산과에서 가장 흔히 시행하는 시술 중 하나로, 유도분만을 진행하면 인위적으로 자궁과 질구를 부드럽게 만들어 자궁이 수축되도록 하여, 진통을 유발시키므로 자연분만과 같은 과정으로 출산이 진행된다. 대개 파막 후 24시간이 지나도 분만이 시작되지 않을 때 시행한다. 성숙아의 분만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자궁수축제인 옥시토신을 이용하는 방법을 많이 이용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아동 A+받은 급성기관지염 케이스,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아동실습, 간호사정, 문헌고찰, 통계, 검사, 약물, 느낀점 포함

    목차

    Ⅰ. 서론
    1. 대상자 선정 이유
    2. 급성기관지염 통계 자료

    Ⅱ. 본론
    1. 대상자 소개
    2.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3. 간호과정

    Ⅲ. 결론

    IV.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대상자 선정 이유
    아동 간호학실습의 케이스인만큼 아동에게 많이 발생하며 아동의 삶의 질과 관련이 깊은 질병을 하고 싶었다. 또한 급성기관지염의 증상이 호흡과 관련된 것으로 아동들의 삶의 질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아동들의 불안과 보호자의 걱정을 불러일으키는 질병이라고 생각하여 이 사례 연구 보고서를 통하여 급성기관지염과 관련된 간호진단을 내리고 간호과정을 적용시켜보고 싶어 선택하게 되었다.

    2. 급성기관지염 통계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16년 학령기 진료현황’을 분석한 결과 급성 기관지염으로 진료를 받은 외래 환자가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다빈도 질병 통계에 따르면 급성 기관지염은 2016년에 이어 2017년에도 가장 많은 외래 진료 환자 수(1619만 명)를 기록했다.
    연령별 진료 인원을 살펴보면 0~9세가 21.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뒤이어 30대(13.6%), 40대(13.1%), 10대(12.8%) 순으로 진료 인원이 높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5~2019년간 ’10대 청소년의 다빈도 질병’을 분석한 질병통계 보도자료를 공개했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0대 청소년 환자가 가장 많은 질병은 급성기관지염(200만 606명)이었다. 다빈도 질병과 비슷한 양상으로 10대 청소년 환자가 가장 많이 외래로 방문한 질병은 급성기관지염(199만 8856명)이었다.

    Ⅱ. 본론
    ● 사례연구 조사 기간 : 2023 년 월 일부터 일 간
    1) 대상자 소개
    환자명
    서**
    성별/ 나이(출생년월일)
    M/1(2022.11.01.)
    의학적 진단명
    주진단: Acute broncholitis
    부진단: Bronchopneumonia
    unspecified Acute otitis media, bilateral
    입원일
    2023.10.29

    출처 : 해피캠퍼스

  • A+받은 혈기흉 케이스, 성인실습, 간호진단4개, 간호과정2개, 간호사정, 문헌고찰, 검사, 약물, 느낀점 포함

    목차

    Ⅰ. 서론
    1. 대상자선정 이유

    Ⅱ.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력
    3. 간호과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 론
    1. 대상자선정 이유
    실습 첫 날 나의 담당선생님의 담당환자인 혈기흉환자가 chest tube를 제거하고 다시 삽입하는 것을 보게 되었다. 그 때 농이 가득차서 안에 고여있던 농이 분출하는 모습을 보았는데 그 모습이 인상 깊었다. 또한 라운딩을 돌 때나 V/S을 측정할 때마다 통증을 호소하는 모습을 보였고 그 환자의 진단명인 혈기흉에 대해서도 잘 알지 못하여 이번 기회에 제대로 공부해보고 싶어 case 대상자로 선정하게 되었다.

    II. 본 론
    1. 문헌고찰
    질환명: 기흉

    정의: 기흉이란 공기주머니에 해당하는 폐에 구멍이 생겨 공기가 새고 이로 인해 늑막강 내에 공기나 가스가 고이게 되는 질환이다. 흉강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되지 않는 경우 양쪽 폐와 심장 사이의 공간과 심장이 한쪽으로 쏠려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원인/문헌조사
    : 기흉은 자발성 기흉과 외상성 기흉으로 구분된다.
    자발성 기흉은 일차성 기흉과 이차성 기흉으로 구분된다. 일차성 기흉은 건강한 사람에게 발생하며, 폐의 가장 윗부분 흉막에 있는 작은 공기주머니에 의해 발생한다. 일차성 기흉의 원인은 분명하지 않지만, 환자의 대부분이 키가 크고 말랐으며 흡연자인 것으로 보아 흡연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이차성 기흉은 원래 폐 질환을 앓고 있던 사람에게 발생한다. 그러한 폐질환의 종류로는 결핵, 악성 종양, 폐섬유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폐기종 등이 있다.
    외상성 기흉은 교통사고나 뾰족한 물건에 찔린 상처 등으로 인해 가슴이 다쳐 폐 실질이 손상되어 발생한다. 폐 조직검사를 시행한 이후 발생하기도 하며,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 등과 같은 기계에 의해 긴장성 기흉이 발생하기도 한다. 여성의 경우 월경과 관련하여 발생하기도 한다.

    원인/사례대상자
    : 대상자는 자전거 사고로 인한 외상성 기흉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자궁근종 case, 모성실습, 여성실습, 자궁근종, A+, 간호진단, 케이스, 사례연구보고서,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1개, 문헌고찰, 검사, 약물, 간호기록지, 느낀점 포함

    목차

    I. 서 론 1
    1. 대상자선정 이유
    2. 해당 질환 통계 자료

    II. 본 론
    1. 문헌고찰
    2. 간호력
    3. 간호과정
    4. 문헌고찰과 대상자 비교
    5. 간호기록

    III. 결 론

    IV.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대상자선정 이유

    실습 첫 날 재원환자의 진단명을 파악하며 case 대상자를 찾고자하였다. 그러다가 수술을 받고 온 한 자궁근종 환자의 V/S을 측정하게 되었고 그 환자가 많이 아파하여 자궁근종이 어떠한 질병인지 찾아보았다. 자궁근종은 여성에서 매우 흔하게 발생하는 질병이며, 35세 이상의 여성의 40~50%에서 나타난다고 나와 있었다. 흔하지 않은 질병이겠거니 생각하였는데 여성에서 발생하는 종양 중에서 가장 흔한 종양이라는 것을 알게 되어 이번에 제대로 공부해보고 싶기도 하였고, 파트장선생님의 도움을 받아 자궁근종 환자를 case 대상자로 선정하게 되었다. 마찬가지로 저널도 자궁근종과 관련된 저널을 선택하였고 저널리뷰를 통해 꼼꼼하게 자궁근종에 대해 공부하는 시간을 가졌다.

    2. 해당 질환 통계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19년 한 해동안 조사한 40대 입원 다빈도 상위 10위 질병에서 자궁근종은 3위를 차지할만큼 흔한 질병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19년 한 해동안 조사한 40대 입원 다빈도 상위 10위 질병에서 자궁근종은 3위를 차지할만큼 흔한 질병이다.
    또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자궁근종으로 병원을 찾는 여성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에는 환자수가 340,191명이었는데 2020년에는 519,391명으로 2016년에 비해 무려 52%나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20년 연령별 환자 비율은 40~49세가 1위로 38.6%를 차지하고 있다. 그 뒤로 50~59세가 30.2%, 30~39세가 17.7% 순으로 차지하고 있는 것을 보면 자궁근종은 30대부터 환자수가 급증하기 시작하여 환자 중 40대 환자가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그 외의 연령대로 60~69세가 8.9% 차지하고 있으며 70세 이상의 환자도 1.5%, 30세 미만의 환자도 3.1%를 차지하고 있어 자궁근종은 다양한 연령대에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간농양 liver abscess case

    목차

    Ⅰ. 환자사정
    1. 간호력
    2. NANDA의 분류체계에 의한 간호 사정 도구
    3. 신체사정
    4. 신체검진
    5. 진단적, 임상병리 검사 및 기타 자료
    6. Medication

    Ⅱ.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및 병태생리
    3. 증상
    4. 진단적 검사
    5. 치료 및 간호

    Ⅲ. 간호과정
    1. 간호과정
    2.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환자사정

    1. 간호력
    (1) 일반적 사항
    작 성 자 최**
    정보제공자 본인

    1) 성 명 : 선** 성 별 : 남자 연 령 : 80
    결혼상태 : 기혼 교육수준 : 고졸 직 업 : 없음
    종 교 : 천주교 경제적 수준(평균 월수입): 측정불가

    2) 입 원 일 : 2024. 01.10
    입원경위 : 2달 전부터 허리-관절 통증 있어 관절약 복용한 뒤로 발열, 체중저하, 식욕감퇴가 있어 타 병원 2차 입원 후 전원 이야기를 듣고 퇴원한 후 증상에 대하여 치료 지속 위해 본원 검사 진행 후 금일 외래 통해 도보로 입원함
    입원방법 : 도보
    퇴 원 일 : 현재 재원중

    3) 주진단명 : liver abscess

    4) 발병일시 : 정확한 일시는 모르나 2달 전부터 증상이 시작 됐다고 함

    5) 주 증 상 : 발열, 식욕저하, 우상복부 통증

    6) 질병과정(brief history) : 2달 전부터 허리-관절 통증 있어 관절약 복용한 뒤로 발열, 체중저하, 식욕감퇴, 우상복부 통증이 있어 타 병원 입원 후 그 병원에서 전원 이야기를 듣고 퇴원한 후 증상에 대하여 치료 지속 위해 본원에서 복부 CT 진행하여 간 S6(우엽 후방절편)에 농양이 6.3cm 정도 발견 되어 간농양이라는 진단을 받게 되었음

    출처 : 해피캠퍼스

  • A+ 자료 노인간호학 Parkinson disease 파킨슨병 Case study(간호진단3개)(간호과정3개)

    목차

    1.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및 병태생리
    3) 임상적 특성
    4) 진단 및 검사
    5) 치료

    2. 간호사정
    1) 개인력
    2) 대상자의 병력
    3) 치료와 간호
    4) 대상자 사정 도구

    3. 간호과정의 적용
    1) 간호진단 우선순위
    2)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문헌고찰
    1) 정의
    파킨슨병은 치매 다음으로 흔한 대표적인 퇴행성 뇌 질환이다. 우리 뇌 속의 여러 가지 신경 전달 물질 중에서 운동에 꼭 필요한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있다. 파킨슨병은 중뇌에 위치한 흑색질이라는 뇌의 특정부위에서 이러한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가 원인 모르게 서서히 소실되어 가는 질환이다.

    2) 원인 및 병태생리
    파킨슨병은 중뇌 흑색질에 존재하는 도파민 분비 신경세포의 소실이 원인이다. 뇌에는 광범위하게 도파민을 이용하는 신경세포가 있으며, 이것들은 운동 조절과 관련된 선조체, 생각과 관련된 전두엽, 감정 등과 관련된 변연계, 호르몬과 관련된 뇌하수체 등에 존재하고 있다. 흑색질에서 만들어진 도파민은 선조체에 작용하여 신체의 운동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흑색질의 도파민 세포가 소실되면 몸의 움직임이 느려지고 운동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3) 임상적 특성
    (1) 운동 증상
    ⓵ 안정 시 떨림(resting tremor)
    파킨슨병 떨림의 주된 특징은 움직이거나 자세를 취할 때보다 가만히 안정된 상태에서 나타나는 것이다. 파킨슨병 초기에 약 70%의 환자들에게서 떨림이 나타나며, 손과 다리 어느 한쪽에서 먼저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을 비벼 마치 환약을 뭉치는 것 같은 동작을 특징적으로 보이다가 종종 팔, 다리 전체에서 떨림이 나타나기도 하고, 때로는 턱, 혀 혹은 입술 등에서 떨림을 보이기도 한다. 떨림은 수면 중에는 없어지고, 스트레스를 받을 때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떨림이 있는 부위에 힘을 주거나 활동을 하는 동안에는 일시적으로 사라진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