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s case study

  • 성인간호학 구불결장암 케이스 자료입니다. A+받은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간호 사정
    1. 간호 정보 조사지
    2. 진단검사
    3. 투약

    Ⅱ. 간호과정

    Ⅲ. 결론 및 제언
    1.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간호 정보 조사지
    A. 대상자 입원 정보
    성명 홍OO 성별 M 연령 66세 혈액형 B Rh+
    입원일 2023년 01월 15일 진단명 sigmoid colon cancer (T2N0M0)
    입원경로 ■외래 □응급실 키 160cm 체중 79.2kg
    체온 36.6 호흡 20 맥박 73 혈압 149/78
    수술일 23.01.17 수술명 laparoscopic-AR
    B. 입원 동기와 주증상
    · 입원 동기 : 건강검진 상 colon ca 수술 위해 입원함.
    C. 건강력 수집
    1) 현병력
    – HTN, DM
    * foley catheter, rectal tube, PICC, JP-drain 적용 중
    2) 과거력
    ① 과거력 : 고혈압 및 당뇨, 음주(의존도X)
    ② 과거의 수술경험 : □무 ■유
    ③ 흡연력 : □현재 □과거 ■비흡연 □ 확인 불능
    ④ 기호식품 : ■ 무 □ 유
    알레르기 : □무 ■유
    3) 가족력
    ➀ 가족 중 앓았던 질병 : ■무 □유
    4) 건강과 관련된 정보
    ① 신체적 상태
    활력징후:
    호흡기 장애 : ■ 무 □ 호흡곤란 □ 청색증 □ 가래 □기침 □ 객혈 □ 이상호흡음
    순환기 장애 : ■ 무 □ 심계항진 □ 흉통 □ 청색증 □ 부정맥 □호흡곤란 □ 기타
    피부상태(신체사정) : ■ 정상 □ 두드러기 □ 황달 □ 양감 □ 발진 □ 물집 □ 반점 □ 발한
    욕창 : ■ 무 □유
    낙상 과거력 : ■ 무 □유
    시력장애 : ■ 무 □안경 □ 콘텍트렌즈 □ 의안 □ 기타

    출처 : 해피캠퍼스

  • 노인간호학 다발성 골절 질병보고서 및 케이스 자료입니다. A+자료이고 성인간호학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질환 선정 이유
    2.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치료
    5) 합병증 및 간호

    Ⅱ. 간호 사정
    1. 간호 정보 조사지
    2. 진단검사
    3. 투약

    Ⅲ. 간호과정

    Ⅳ. 결론 및 제언
    1.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질환 선정 이유
    노인은 골격과 근육이 노화되면서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조금의 낙상으로도 큰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 7병동 대상자 질환을 찾아보면서 골절환자가 대부분이었으며, 선정한 사례 대상자는 낙상으로 인해 다발성 골절이 발생하여 하반신 마비까지 나타난 경우이다. 대상자와 대화를 하면서 골절로 인해 나타날 수있는 증상 외에도 노인에서 볼 수 있는 정서, 인지기능에 관하여 많이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 환자 중 골절환 자에게는 어떤 간호를 제공해줘야 할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선택하게 되♘다.
    2. 문헌고찰
    1) 정의
    뼈나 골단판 또는 관절면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를 말한다. 대부분은 외부적 힘에 의하여 발생한다. 뼈의 주변에 있는 연부 조직이나 장기들의 손상도 흔히 동반된다.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크게 사지 골절, 척추 골절 그리고 늑골, 두개골, 안와 등과 같은 기타 골절로 나눌 수 있다.
    ① 상처 상태에 따른 분류
    – 개방골절 (open fracture): 골절 부위의 피부가 손상되어 외부로 창상이 있고 골절된 뼈가 노출된 것이다.
    – 폐쇄골절 (closed fracture): 피부의 창상이 없어서 골절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
    ② 골절 형태에 따른 분류
    – 완전골절 (complete fracture): 골막과 뼈가 모두 양쪽으로 분리되어 두 개의 골절편이 뚜렷이 나타나는 상태
    – 불완전골절 (incomplete fracture): 뼈의 한쪽 면만 파괴된 상태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학과 성인간호학 실습 case 자료입니다! A+자료에용! DM. foot 당뇨발 케이스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간호 사정
    1) 간호 정보 조사지
    2) 진단 검사

    Ⅱ. 간호진단

    Ⅲ. 제언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간호력: 간호 정보 조사지
    A. 대상자 입원 정보
    성명 성별 M 연령 56세 형제
    종교 직업 결혼 정보제공자 본인
    입원일 2022년 01월 23일 진단명 DM foot Rt 4
    th toe
    수술일 2022년 01월 25일 수술명 DM foot. Ray amputation of toe
    입원경로 □외래 ■응급실 키 165cm 체중 78kg
    체온 36.7˚C 호흡 18회/분 맥박 88회/분 혈압 145/87mmHg
    B. 입원 동기와 주증상
    · 입원동기 : 1/16일 우측 발목 접질려 응급실 내원. 자의 퇴원하였으며, 집에서 우측 4번째 발가락 괴사
    발견하여 1/23일 응급실 내원
    · 주증상 : 괴사된 발가락 심한 통증과 부종
    C. 건강력 수집
    (1) 현병력
    – 현재 고혈압과 당뇨 있으며, 약 복용 중.
    – C2VD로 stent 2개 삽입 후 경구약 복용 중.
    (2) 과거력
    ① 과거력 : 고혈압과 당뇨 있으며 진단받고 현재 약물복용 중
    ② 과거의 수술경험 : □무 ■유 (stent 삽입술 시행, 당뇨망막병증 수술)
    ③ 흡연력 : □ 현재 ■ 과거 □ 비흡연 □ 확인불능 횟수/기간: 7년 전 끊음. 평균 3pack/day
    ④ 기호식품 : ■ 무 □ 유
    알레르기 : □무 ■ 유 : 사과껍질, 복숭아
    (3) 가족력
    ➀ 가족 중 앓았던 질병 : □무 □유 ■모름
    (4) 건강과 관련된 정보
    ① 신체적 상태
    활력징후 : 145/87- 88 – 18 – 36.7˚C
    호흡기 장애 : ■ 무 □ 호흡곤란 □ 청색증 □ 가래 □ 기침 □ 객혈 □ 이상호흡음
    순환기 장애 : □ 무 □ 심계항진 □ 흉통 □ 청색증 □ 부정액 □ 호흡곤란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학과 성인간호학 실습 case 자료입니다! A+자료이고 직장암 케이스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간호 사정
    1. 간호 정보 조사지

    2. 진단검사
    3. 투약 .

    Ⅱ. 간호과정

    Ⅲ. 결론 및 제언
    1.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간호 사정
    1. 간호 정보 조사지
    A. 대상자 입원 정보
    성명 황OO 성별 M 연령 76세 혈액형 A Rh+
    입원일 2022년 05월 25일 진단명 직장암 (malignant neoplasm of rectum)
    입원경로 □ 외래 ■응급실 키 167cm 체중 56.2kg
    체온 36.6 호흡 20 맥박 89 혈압 112/78
    B. 입원 동기와 주증상
    · 입원 동기 : 내원 1주 전부터 back pain을 호소. 2년 전 내과에서 피검사 후 전립선
    안 좋았음. 정밀검사 원했으나 병원 치료 없이 술 하루 한 병씩 꾸준히
    하심. 1주 전 화장실 가던 중 다리에 힘 풀려 주저앉으며 허리통증 발생.
    이후 누운 채로 지내다 내원하심.
    · 주증상 : back pain으로 입원하셨다가 colonoscopy에서 rectal cancer 발견
    C. 건강력 수집
    1) 현병력
    – HTN, DM, dyslipidemia
    * foley catheter, Rt. lung PCD, 필요시 paracentesis, PICC 적용 중
    2) 과거력
    ① 과거력 : 고혈압 및 당뇨, 음주 (하루 소주 1병씩), 흡연 (하루 1갑)
    ② 과거의 수술경험 : ■무 □유
    ③ 흡연력 : □현재 ■과거 □비흡연 □ 확인 불능
    ④ 기호식품 : ■ 무 □ 유
    알레르기 : ■무 □유
    3) 가족력
    ➀ 가족 중 앓았던 질병 : ■무 □유
    4) 건강과 관련된 정보
    ① 신체적 상태
    활력징후: 112/78-89-20-36.6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학과 아동간호학 실습 질병보고서 +case 자료입니다! A+자료에용! 부족함 없이 충분한 정보 담아져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주제 선정 이유
    Ⅱ. 문헌고찰
    1. 뇌수막염
    2. 세균성 뇌수막염
    3. 바이러스성 뇌수막염
    4. 결핵성 뇌수막염

    Ⅲ. 본론
    1. 간호 사정
    1) 간호 정보 조사지
    2) 신체검진 결과
    3) 진단검사
    4) 투약
    2. 간호과정

    Ⅳ. 결론
    1. 결론 및 제언
    2.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주제 선정 이유
    중추신경계의 급성감염은 소아에서 중추신경계 질환에서 나타내는 발열 원인 중 가장 흔하다. 일반적으로 중추신경계의 감염은 바이러스 감염이 세균 감염보다 훨씬 많다. 아동에서 뇌수막염은 주로 2개월~7개월 미만 소아에게서 나타나는 질환이지만 최근 성인에게서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나 뇌수막염은 독감과 비슷한 고열과 극심한 두통, 구토 증상으로 감기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초기 치료를 받지 않으면 후유증이 발생하게 되기도 한다. 게다가 세균성 뇌수막염은 주 원인균인 폐렴구균과 B형 인플루엔자균에 대한 예방접종을 만 12세 이하 어린이에 한해 예방접종이 가능하지만, 바이러스성은 예방 방법이 없다. 따라서 뇌수막염에 대한 문헌고찰을 하고 이에 해당하는 환자의 적절한 간호중재에 대해 탐구하고싶어 선정하게 되었다.

    Ⅱ. 문헌고찰
    1. 뇌수막염 (meningitis)
    1) 정의
    일반적으로 거미막과 연질막 사이에 존재하는 거미막 밑 공간(subarachnoid space, 거미막하 공간)에 염증이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이다.
    (1) 뇌수막 (meninx)
    – 뇌를 둘러싸고 있는 얇은 막
    – 해부학적으로 뇌수막은 가장 깊은 곳에서 뇌를 감싸고 있는 연질막 (pia mater), 연질막의 밖에서 뇌척수액 공간을 포함하고 있는 거미막 (arachnoid mater), 그리고 가장 두껍고 질기며 바깥쪽에서 뇌와 척수를 보호하고 있는 경질막(dura mater)으로 구성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자궁경관무력증(간호진단3개, 간호과정 3개)-사례연구보고서, Case study

    목차

    Ⅰ. 서론
    A. 간호사례 선정 이유
    B. 대상자 질환에 간단히 기술

    Ⅱ. 문헌고찰
    A. 정의
    B. 원인
    C. 병태생리
    D. 증상
    E. 진단적 검사
    F. 치료 및 간호

    Ⅲ. 간호사례
    A. 간호력
    B. 신체검진
    C. 진단적 검사 및 투약
    D. 병의 경과
    E. 간호과정 적용

    Ⅳ. 결론
    A. 간호사례 대상자에게 간호과정 적용하면서 느낀 점 기술
    B. 여성건강간호학 실습 소감 간단히 기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A. 간호사례 선정 이유
    자궁경관무력증은 자연 유산이나 습관성 유산 및 조산의 주요 원인이 되는 질환으로 모든 분만의 0.05~2% 정도이며 조산의 10%, 임신 중반기 태아 손실의 20~25% 정도의 높은 위험성을 가지고 있어 원인과 증상, 진단, 치료법과 간호방법을 정확히 알아보고 숙지하여 질 높은 간호와 교육을 제공하고자 선정하였습니다.

    B. 대상자 질환에 대해 간단히 기술
    자궁경관이 선천적 또는 외상으로 약화되어 자궁 수축 및 통증과 같은 특별한 증상 없이 정상 분만 시기보다 일찍 경관이 열려 태아가 배출되어 유산이나 조산의 원인이 되는 질환입니다.

    Ⅱ. 문헌 고찰
    A. 정의
    – 자궁경부의 구조나 기능이 선천적으로 약화되어 결함이 있어서 임신 2기 또는 3기 초에 자궁수축 및 통증 없이 자궁 경부가 개대되는 것
    – 이러한 경우 질 내로 양막 탈출이 동반되어 결과적으로 태아, 태반, 양수를 임신 말기 혹은 분만까지 자궁 내에 유지하지 못하여 유산이나 조산의 원인이 됨

    B. 원인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3가지로 발생할 수 있음
    – 선천성: 경관의 길이가 짧거나 자궁의 기형
    – 외상성: 과거 분만 및 유산시술로 인한 자궁경부의 손상, 자궁경부 원추절제술 등의 수술 관련된 외상
    – 임신 중 약물의 노출: 인공호르몬인 DES(Diethylstylbesterol)에 노출로 자궁경부의 비정상적인 발육

    C. 병태생리
    자궁 경부의 안쪽 입구(내구)가 부드러워지면서 얇아지고 T, Y, V, U 자형으로 변화하며 열림 > 자궁 경부가 약해서 점점 커지는 태아와 양수를 지탱하지 못함 > 자궁 문이 꽤 열리면서 양막이 질쪽으로 돌출되어 파열되고 미숙아가 출생

    D. 증상
    – 대개 임신 중기(14주~28주)에 자궁경부가 통증 없이 개대되어 대부분에서 임상적으로 전형적인 증상이 없을 수 있음

    출처 : 해피캠퍼스

  • A+알코올성 간질환 케이스 스터디, Alcoholic liver disease (문헌고찰,간호과정,다 있어요), 내과 실습

    목차

    Ⅰ. 서론
    –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과 병태생리
    (3) 알코올성 간질환의 종류
    (4) 합병증
    (5) 진단
    (6) 치료

    Ⅱ. 본론
    – 자료수집 및 간호과정
    1. 대상자 간호사정을 위한 자료수집
    (1) 개인력
    (2) 건강력 사정
    (3) 간호진단을 위한 자료수집
    (4) 신체검진
    (5) 임상검사 및 진단적 검사 결과
    (6) 투약
    2.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목록
    (1) 간호진단
    (2) 간호계획
    (3) 간호중재
    (4) 간호평가

    Ⅲ. 결론
    – 대상자에 대한 종합소견 및 사례를 통해 알게 된 점
    – 참고문헌

    본문내용

    –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1) 정의
    간은 여러 가지 대사기능과 조절기능을 수행하는 복합적인 기관이다. 간의 복잡성으로 인해 간질환은 임상적 양상과 생리적, 심리적 증상이 다양하다. 간은 자체 재생능력이 있어서 일정수준의 치유가 일어날 수 있다. 간의 기능으로는 탄수화물 대사, 아미노산 및 단백질 대사, 지방 대사, 담즙산 및 빌리루빈 대사, 비타민 및 무기질 대사, 호르몬 대사, 해독 작용 및 살균 작용 등 다수의 대사작용이 있다. 이렇듯 간은 여러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므로 간의 기능이 저하되면 감염, 독성물질과 간세포성 염증 또는 파괴를 일으키는 종양등의 임상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간질환은 간염, 간경화증, 간 신생물, 간 농양, 지방간 등을 포함한 약 160개 이상의 종류로 다양하다. 간질환을 크게 급성질환과 만성질환으로 분류할 수가 있는데, 급성 간질환은 대부분 바이러스에 의란 질환으로 증상이 경미하여 환자 자신도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만성 간질환의 경우 6개월 이상 간에 지속적인 염증이 있는 상태로 대부분 간경변으로 비가역적으로 진행된다.
    그 중 알코올성 간질환은 크게 지방간, 알코올성 간염, 간경변증으로 분류된다.

    (2) 원인과 병태생리
    – 원인
    알코올성 간질환은 과도한 음주로 인해 발생한다. 과도한 음주량의 기준은 유전적인 특징, 성별에 따라 개인적인 차이가 있으나 하루 80g 이상의 알코올을 10~20년 정도 매일 섭취하는 경우, 알코올성 간염이나 간경변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자료 여성건강간호학 자궁탈출증 (uterine prolapse) Case Study

    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적 검사
    5) 치료 및 간호

    Ⅱ. 간호사례
    1) 간호사정
    2) 간호력
    3) 진단적 검사 및 기타자료
    4) 투약

    Ⅲ. 간호과정
    1) 간호진단
    2) 간호과정 적용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자궁경부와 자궁체부가 질 내로 내려오는 것으로 골반저의 과다한 신장, 특히 광인대 저부의 손상에 의한 것으로, 출산에 의해 손상을 입은 후 수년 혹은 몇 십년 뒤 나타난다. 주로 나이 많은 여성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나이가 들면서 근육과 근막의 긴장도가 감소되어 이완되기 때문이다. 드물지만 출산 경력이 없는 여성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데, 골반저의 결손에 의한 자궁 헤르니아라고 한다. 자궁하수의 기준은 과거에는 질이 중심이었으나, 최근에는 처녀막 평면 또는 좌골극과 같은 고정된 해부학적 부위를 기준으로 한다.

    하복부에 힘을 주었을 때 자궁경부가 질 내에 있으면 1도 자궁하수라 하고, 자궁경부가 처녀막링까지 내려와 있으면 2도, 자궁경부가 처녀막링 밖으로 나와 있으면 3도, 자궁경부가 처녀막링을 완전히 빠져 나왔으면 4도 또는 완전자궁하수(total uterine prolapse)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3도와 4도를 함께 자궁하수 3도라고 한다.

    2) 원인
    자궁탈출증은 자궁을 지지해 주는 인대의 접착부인 질상부(supravaginal portion; 질 윗부분)의 지지가 좋지 않아 발생한다. 골반 지지구조물의 약화로 인해 자궁 이외에도 직장, 소장, 방광 등이 질강(vaginal atrium) 쪽으로 탈출할 수 있다.

    3) 증상
    자궁하수의 증상은 개인에 따라 다양하다. 서있거나 걸을 때 자궁인대에 가해지는 견인통과 정맥울혈 때문에 하복부의 압박감, 질을 통한 성기 하수감, 요통, 피로감을 느낀다. 일반적으로 누워있으면 편해지고 아침보다 오후에 증상이 더 심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아두골반불균형 간호과정 3개 급성통증, 감염위험성, 낙상위험성

    목차

    Ⅰ. 문헌 고찰
    1. 아두골반불균형
    2. 제왕절개

    Ⅱ. Case Study
    1. 간호력 사정
    2. 진단검사
    3. 약물치료
    4.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아두골반 불균형(cephalopelvic disproportion, CPD)이란 아두의 조건과 산부 골반의 크기와 모양이 서로 맞지 않아 질식분만이 불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아두가 너무 크거나 산부의 골반이 너무 작아서 분만 시에 아두하강이 어렵고 아두가 골반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없다. 또한 아두골반 불균형은 지나치게 큰 아두나 4kg 이상의 거대아가 종종 문제가 된다 하더라도 선진부의 위치 이상으로 인한 경우가 더 많다. 분만 중단이 흔히 일어나는 부위는 골반 입구이고 때로는 골반강이나 출구에서도 일어난다.

    (2) 병태생리
    주로 태아의 선진부의 위치 이상으로 인해 골반입구에서 분만 중단이 흔히 일어난다. 상태에 따라 pelvic cavity(골반강, 중골반) 이나 pelvic outlet(골반출구)에서도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원래의 정상적인 분만기전은 아두의 내회전에 의해 pelvic outlet에서 나올 시 소사경선으로 만출된다. 골반입구의 횡경선으로 들어가 골반출구의 전후경선으로 회전하면서 분만한다.
    ① 골반강: 골반입구와 출구 사이에 있는 부위로 전벽의 치골결합 길이는 4.5~5cm, 후벽의 천골에서 미골 길이는 12cm이다. 골반강의 가장 짧은 횡경선인 양쪽 좌골극 간 거리는 10.5cm이어야 하며 9.5cm 이하일 때 난산, 8cm 이하일 때 제왕절개를 시행해야 한다. 골반이 입구에서 좌골극까지는 후방을 향해 내려가다가 좌골그게서 출구까지는 전방을 향한다.
    ② 골반 출구: 골반의 아래 쪽에 해당하는 것으로 양쪽 좌골결절, 후면은 미골하단의 정점, 앞면은 치골결합의 하단을 연결하는 3개의 점을 잇는 다이아몬드형 공간이다.

    (3) 원인
    아두골반 불균형은 태아의 머리가 너무 크거나, 산모의 골반이 태아의 머리에 비해 좁거나, 좌골가시가 돌출되었을 때 생길 수 있다. 또한 태아의 머리가 이례적으로 변형되었거나, 산류(caput)가 과도하게 형성되었거나, 이 두가지가 함께 나타날 때도 발생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모성실습 케이스스터디 자궁내막암 Endometrial cancer (진단 8개, 과정2개)

    목차

    Ⅰ. 사례로 채택하게 된 동기
    Ⅱ. 문헌고찰
    Ⅲ. 출처 및 참고문헌
    Ⅳ. <생식기 건강문제가 있는 여성 사례연구>

    본문내용

    Ⅰ. 사례로 채택하게 된 동기
    한국에서 여성 생식기 암 중 자궁내막암은 흔하게 발견되는 질환은 아니지만 최근 그 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근래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자궁내막암의 발병 빈도가 높은 노인층 여성인구가 증가되었고, 전국민 의료보험화에 따른 보다 많은 여성들이 의료혜택을 보게 되어 많은 자궁내막암 환자들이 발견되게 되었으며, 의학발전에 의한 자궁내막암의 진단영역 및 치료방법의 향상, 노인여성의 외인성 난포호르몬 사용의 보편화, 식생활의 서구화 그리고 비만 인구의 증가 등이 자궁내막암의 빈도를 높이는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미국이나 유럽 일부 지역에서는 자궁경부암의 발생은 감소하는데 비해 자궁내막암의 발생은 감소하지 않아 자궁경부암보다 더 높은 발생빈도를 보이며, 여성 생식기 종양 중 자궁내막암이 가장 흔한 암으로 여성암 중 네 번째 흔한 암으로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 또한 식생활이나 생활양식이 서구화됨에 따라 이와 같이 계속 증가추세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자궁내막암 사례를 통해 자궁내막암을 이해하고 이를 치료하고 간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사례로 채택하게 되었다.

    Ⅱ. 문헌고찰
    1) 정의 (Definition)
    자궁내막이란 자궁 체부 중 내벽을 구성하는 공간으로 이곳에 발생하는 암을 자궁내막암이라 하며 자궁체부암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자궁내막암은 2016년 여성에게 발생하는 암의 2.5%를 차지하며 여성 암 발생률 순위 11위인 것으로 보고되며 노인층 연령의 증가, 생활양식의 서구화, 폐경 후 호르몬 요법의 사용증가와 같은 이유로 최근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계속해서 증가될 것이라 예측된다.
    지궁내막암은 일차적으로 폐경 후 여성에서 발생하는 질환이며, 나이가 들수록 악성도도 함께 증가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