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s case study

  • 여성건강간호학_ 분만실 실습_자연분만_case study 사례보고서

    목차

    Ⅰ.서론
    1) 간호과정: 간호진단 선정 이유

    Ⅱ.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간호진단의 우선순위 목록
    4)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과정

    Ⅲ. 결론
    1) 연구하며 잘한 것
    2) 아쉬운 점
    3) 반성 및 제언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간호과정: 간호진단 선정 이유
    ❶ 불규칙적 자궁수축으로 인한 급성통증
    : 제일 눈에 띄게 도움이 필요해 보이는 증상이 ‘통증 호소’였다. 경산부임에도 통증에 민감하게 반응하셨다.
    대상자는 오전 9:30, 10:30에 비언어적, 언어적 표현을 통해 도움을 절실히 요청하였다.
    이에 간호 중재가 제일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❷ 예측할 수 없는 분만 시기와 관련된 불안
    : 산부의 분만에 대한 심리적 준비 정도는 분만의 전체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산부가 불안
    할 때는 혈청 네프에피네프린이 분비되며, 자궁의 수축을 악화시킨다. 또한 태반으로 혈액의 흐름을 방해하여
    태아심음의 패턴을 방해하여 분만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에 차지하고 있다. 환자는 통증이 발생할 때 불안에
    대하여 정서 상태를 표현하였으며, 이때 불안 정도는 대상자의 안전을 위해 불안에 대한 중재가 필요해 보였다.

    ❸ 분만과 관련된 침습적 처치로 인한 감염 위험성
    : 감염은 산모, 태아 모두에게 응급상황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이다. 산모의 불편감과 수월
    한 분만 처치를 위해 방광 팽만을 완화 시키기 위한 단순 도뇨와 태아 하강감을 측정하기
    위한 내진, IV 시행 등 침습적으로 처치를 진행하기 때문에 주의를 하지 않으면 급속도로
    산모, 태아 모두 위급상황에 처하게 될 것 같아서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❹ 분만 중 과다한 체력소모와 관련된 피로
    : 분만을 위해 산모는 분만이 임박하였을 때 음식 섭취를 멈추고, 관장을 하며 수분 섭취에 제한을 두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_사례보고서 case study_ ER실습_심근경색_A+ 과제

    목차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2.문헌고찰

    Ⅱ.본론
    1. 응급환자 정보
    2. 현병력
    3. 신체검진
    4. 응급처치 및 간호
    5. 진단검사
    6. 약물요법
    7. 간호진단
    8.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ER은 acute한 환자가 많이 내원함으로 빠른 응급처치와 간호가 신속하게 이뤄져야 하는 곳이다. acute한 질환 중 STAMI는 의료체계 2단계에 속하는 질환으로 생명과 직결되어 빠른 처치가 가장 중요하다.
    STEM 환자가 ER에 내원하였을 때 RN 선생님들께서 신속하게 처치를 준비하고, 이 환자를 위한 병원 환경을 제공하는 과정을 보며 ER 실습을 하고 있음을 크게 와닿게 되었다. observation 중 내가 ER RN이였다면 이 환자를 위해 어떤 간호를 제공해 드렸을지에 대한 고민과 함께, 연구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STAMI case는 ER 부서에서 중하게 다루고 있는 질환이기도 하고, ER에서 흔히 볼 수 있는 case라고 생각하여 이번 실습에 적합한 연구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선정하게 되었다.

    2. 문헌고찰
    1) 심근경색 (MI, Myocardial Infarction)
    (1) 정의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하나라도 혈전증이나 혈관의 빠른 수축(연축)등에 의해 급성으로 막히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서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괴사) 상황을 심근경색증이라 한다.

    부분별 심근경색증
    전벽 심근경색증, 하벽 심근경색증
    심한 정도별 심근경색증
    통벽성 심근경색증(Transmutual myocardial infarction),
    심근내막에 국한된 심근경색증(Subendocardial infarction, 심내막하경색증)
    심전도 검사 결과별 심근경색증
    ST절 상승 심근경색증, 비 ST절 상승 심근경색증

    (2) 원인

    출처 : 해피캠퍼스

  • 아동간호 NEC 질병고찰 및 케이스(간호진단3개, 간호과정3개)

    목차

    I.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원인 또는 유발요인
    2. 병태생리 및 주 증상
    3. 진단방법 및 검사소견
    4. 치료
    5. 간호
    6. 합병증 및 예후

    참고문헌 Reference

    본문내용

    진단명: 괴사 소장결장염 NEC(necrotizing enterocolitis)
    – 신생아의 소장과 대장의 점막층 또는 전층의 괴사를 특징으로 하는 괴사성 장염이다.
    –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신생아 중증 질환 중 하나로서, 장 점막의 괴사로 다양하게 일어나는 것이 특징이며 사망률이 20%에 이르는 질병이다.
    – 괴사성 장염의 90%는 재태주수 36주 미만의 미숙아에게 나타나며, 저체중 출생아게도 5~10%에서 발생한다. 만삭아의 경우는 드물지만 심장질환이나 저산소증이 있을 때 발생한다.

    1. 원인 또는 유발요인
    –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장의 허혈, 장 내 세균 증식의 요인이 작용하며 발생한다.
    – 고농도 우유, 저산소증, 너무 빠른 영양법, 적혈구 증가증, 감염증, 장 점막의 손상, 이차적 세균감염이 원인이 된다.
    – 저체온, 약물 혹은 혐기성 세균, 대장균, 로타바이러스 등이 유발요인이다.

    2. 병태생리 및 주 증상
    – 분만 전후에 생길 수 있는 손상으로, 순환 결핍이 오게 되면 장으로 들어오는 혈류가 감소되어 장 점막에 허혈이 발생한다.
    – 장 점막이 손상되어 장 점막을 보호하는 분비물이나 윤활성 점액이 생산되지 않아 세균이 장 점막으로 쉽게 유입되면서, 장벽이 붓거나 파괴되어 lgM을 생산할 수 없게 되고 외독소가 장벽을 통과해서 배출되므로 장내 방어 체계는 더욱 악화가 된다.
    – 증상은 마비성 장폐쇄, 담즙성 구토, 복부팽만, 혈변, 소화가 잘 되지 않으며, 위장에 음식물이 남아있거나, 아기가 잘 빨지 않는다. 이러한 증상은 서서히 시작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아동간호학 case, 폐렴(Mycoplasma pneumonia ),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3개

    목차

    1. 간호정보 조사지(간호력)
    2.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3. 성장 사정
    4. 간호과정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2)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 진단명 : Mycoplasma pneumonia
    • 원인 또는 유발요인 :
    ① 감염성 원인
    – 소아기에 발생하는 폐렴은 주로 다양한 종류의 호흡기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고 이외에도 세균이 폐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바이러스성 폐렴 (Viral pneumonia) – respiratory syncytial virus(RSV), rhinovirus, adenovirrus
    .원발성 비정형성 폐렴 (mycoplasma pneumoniae)
    -mycoplasma pneumoniae
    – 5-12세에 가장 많이 발생. 가을과 겨울 발생
    .세균성 폐렴 (bacterial pneumonia)
    – 3개월 미만 : pneumococcus, Group A streptococcus, staphylococuus, enteric bacilli, chlamydia
    – 3개월~5세 아동: pneumococcus, M. catarrhali staphylococcus, group A streptococci
    – 5세 이후의 아동: mycoplasma pneumoniae, pneumococcus

    출처 : 해피캠퍼스

  • A+ 보장!! 간호학과 실습 성인간호학 CASE STUDY 유방암 간호과정(문헌고찰+간호진단 3개 포함) !!

    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관적 자료>
    – “가슴 쪽이 쑤시듯이 아파요.”
    – “진통제 좀 놔주세요.”

    <객관적 자료>
    – 진단명 : malignant neoplasm of breast Rignt unspecified.
    – 수술명 : BCS(POD #0)
    – 수술 부위 : Rt. axillary
    – 이마를 찌푸리거나 눈썹을 찡그리거나 눈을 꼭 감는 모습 관찰됨.
    – NRS : 5점(XX/XX/XX_20:00)
    – PQRST : XX/XX 20:00
    P : 움직일 때 악화, 쉴 때 완화 Q : 쑤시듯이 아픔 R : 가슴
    S : NRS 5점 T : 간헐적(5분 동안)

    <단기목표>
    – 대상자는 1일 이내 NRS 점수가 5점에서 2점 이하로 감소한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FPRS(Face pain rating scale)의 점수가 4점 이하로 감소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보장!! 간호학과 실습 성인간호학 CASE STUDY 변형성 고관절증_고관절 치환술 간호과정(문헌고찰+간호진단 4개 포함) !!

    목차

    1. 사례선정 이유 및 필요성

    2. 문헌고찰
    1) 변형성 고관절증(Coxarthrosis)/퇴행성 골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

    3. 간호사정
    1) 일반적 사정
    2) 대상자의 건강력
    3) 건강사정
    4) 약물 요법 ※ 약물의 약리작용 중 사례 대상자에게 해당되는 것은 붉은색으로 표시함.
    5) 검사결과 (임상병리검사, 진단검사 등)
    6) 대상자 흐름도 (경과 기록) 작성

    4. 간호 과정 적용
    1) 가능한 간호 진단 목록
    2) 간호 진단 적용(우선순위 순서에 따라 3개 이상)

    본문내용

    Ⅰ. 사례선정 이유 및 필요성
    다양한 환자가 존재하였지만, 해당 대상자로 선정한 이유는 고관절증 환자에 대해 심도 있는 공부와 그에 따른 문헌 고찰을 해보고 싶은 마음이 있었기 때문이다.
    (케이스 대상자 내원 동기 및 병원력 적기)
    해당 질환은 노년층에서 많이 발생하며 고관절 주변의 통증으로 인해 다리를 절게 되거나 걷기 힘들어져서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주게 된다. 이를 교정하려는 방법으로 수술이 사용되고, 이러한 수술의 위험도로 인한 사망률도 높기에 수술 후 어떠한 간호 중재를 통해 경과가 좋아지는지 예후를 지켜보기 좋은 case일 것으로 판단하여, 이번 실습 case study의 사례로 선정하게 되었다.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해보고 이 진단에서는 무엇을 특별히 살펴봐야 하는지 이번 사례와 연관 지어서 공부해보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한다. 또한, 고관절증의 문헌 고찰을 통해서 해당 질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고관절증의 치료 및 간호에 대해서 알아보면서 실제 고관절증에 적용할 수 있는 간호가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볼 기회와 그에 따른 지식을 가지게 한다. 그리고 간호 과정을 통해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대상자에게 시행할 수 있는 간호를 알아보고 직접 수행해볼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고 여겨진다.

    Ⅱ. 문헌고찰
    1. 변형성 고관절증(Coxarthrosis)/퇴행성 골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
    1) 정의

    관절의 노화에 따라 관절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해주는 연골이 점차 마모되고 뼈가 드러나면서 변형되어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이 질환은 젊은 층에서도 변형성 고관절증이 발생하기도 하나 주로 40~50대 이후의 중년층에게 많이 발생한다.
    고관절증은 퇴행성 관절염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점진적인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일어나서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관절의 염증성 질환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위암 case study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P. 1

    Ⅱ. 문헌고찰 : 위암 P. 1

    Ⅲ. 연구기간 및 방법 P. 7

    Ⅳ. 간호력 P. 7
    1. 일반적 사항
    2. Lab data & 진단검사
    3. 투여되는 약물

    Ⅴ. 간호과정
    1. 수술과 관련된 급성 통증 P. 15
    2. 배액관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P. 18
    3. 건강관리와 관련된 불안 P. 20

    Ⅵ. 교육자료 : 배액관 관리P. 21

    Ⅷ. 참고문헌P. 22

    본문내용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전 세계적으로 암으로 인한 사망률 중 위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세 번째로 높다.
    우리나라는 1999년도부터 국가에서 2년마다 40세 이상의 전 국민을 대상으로 위장조영촬영 또는 위내시경을 이용한 위암 검진을 시행하여 이를 예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H.pylori만으로는 발암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보고도 많이 나오면서 인종 차이와 고염섭취와 같은 식생활 차이가 위암 발생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견해도 유력하다.
    2017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위암은 전체 암 발생률 중 1위이며, 40세 이후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더 호발한다. 성별에 따른 위암 발생률은 2:1로 남성에게서 더 높다.

    Ⅱ. 문헌고찰
    1. 병태생리
    위는 점막, 근육층, 장막 3층으로 이뤄져 있다. 위암은 국소 부위에서 시작해 점차 점막, 점막 하층, 근육층 및 장막층 순으로 깊이 파고들며, 심하면 위벽을 뚫고 복강 내로 퍼지게 된다. 위암은 위의 어느 곳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65%가 위의 하부 1/3에서 발견된다.

    조기 위암은 림프절 전이에 상관없이 점막층과 점막 하층에 국한되어 있는 경우로, 수술로 치료한 위암의 절반가량이 조기 위암으로 완치 가능성이 높은 암 중 하나이다.

    진행성 위암은 근육층이나 점막층에 침범하거나 다른 장기로 전이된 경우로 종괴의 크기가 증가해 점막 하층 이상을 침범한 경우를 말한다.
    종괴의 크기가 증가하면서 종양의 표면에 깊은 궤양이 형성되어 속 쓰림, 상복부 통증, 식욕부진, 오심, 구토 등 양성 위궤양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종괴가 매우 커지거나 궤양이 깊어지면 혈변, 흑색변, 토혈, 심한 빈혈, 어지러움 등이 있거나 상복부에 종괴가 만져지기도 하며, 체중이 감소할 수 있다.

    2. 원인
    위암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환경적, 유전적, 문화적 요인이 다양하게 관련.

    출처 : 해피캠퍼스

  • 협심증 케이스

    목차

    1. 문헌고찰
    1) 구조와 특성
    2) 정의
    3) 병태생리
    4) 원인
    5) 증상
    6) 진단검사
    7) 치료
    8) 간호

    2. 사례보고서
    1) 간호정보조사지
    2) 진단검사
    3) 임상검사
    4) 활력징후
    5) 약물

    3. 간호과정
    1) 간호문제
    2) 간호과정
    #1. 심근허혈과 관련된 급성통증: 흉통
    #2. 약물요법,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출혈 위험성
    #3.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조와
    특성
    ▶심장의 구조
    ▷무게 300g 정도의 근육기관으로 길이 12.5cm, 폭 7.5cm 정도이며 보통 성인의 주먹크기만 하다.
    ▷위치: 종격동의 중앙과 흉곽의 왼쪽, 아래쪽에는 횡격막이 있고, 횡격막 위에 심첨이 앞쪽을 향하고
    있다. 심장의 기저부는 약 3번째 늑골 정도에 위치한다.
    ▷좌우 중격으로 분리되어 각각 심방과 심실로 구성된 4개의 방이 있다.
    ▷1분간 72회 정도로 박동하고, 1회 70mL 정도의 혈액을 내보내 1분당 5L 정도, 하루에 약 7,000L
    이상의 혈액을 분출한다.
    ▷신체 활동을 할 때 말초조직의 산소요구가 증가하면 심박출량이 평소보다 두 배 정도 많아진다.
    ▷심장은 심낭에 둘러싸여 있다. 장측심막과 벽측심막 사이인 심낭강에는 약 10~20mL의 심낭액이
    있다.
    ▷이 윤활액은 장측심막과 벽측심막의 접촉면을 매끄럽게 하고, 심장의 펌프작용으로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킨다.

    심외막
    장측심낭으로 이루어진 심장의 가장 바깥층
    심근
    근섬유로 구성되어 심장의 수축을 담당하는 중간층
    심내막
    내피조직으로 되어 있는 심장의 가장 안쪽층
    ▷심장 조직은 3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관상동맥
    ▷대동맥 시작 부위인 대동맥판막 바로 위에서 나온다.
    ▷왼쪽과 오른쪽, 2개의 가지로 나뉜다.
    ▷관상동맥계의 기능은 심근에 필요한 혈액을 공급하는 것이다.
    ▷관상동맥혈은 안정 시 분당 250~300mL로 심실이완기에 심근으로 흐른다.
    ▷관상동맥의 혈액흐름은 75%가 심장이 이완되고 저항이 낮아지는 이완기 동안 진행된다.
    ▷심근의 산소요구가 증가하면 관상동맥으로 가는 혈류가 증가한다.
    ▷관상동맥의 충분한 혈액흐름을 위해 평균동맥압(mean arterial pressure, MAP)은 적어도
    60~70mmHg 이상 유지되어야 한다.
    ▷MAP 계산 방법

    출처 : 해피캠퍼스

  • 여성건강간호학실습 유도분만 케이스

    목차

    1. 사례보고
    1) 일반적인 사항
    2) 현재 산과력
    3) 산전 진찰기록
    4) 입원 시 산모 상태
    5) 진단의학검사결과
    6) 투약 약물
    7) 간호진단

    2. 간호과정
    #1. 분만 1기 진행과정과 관련된 안위의 변화: 통증
    #2. 양막파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3.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사례보고
    1) 일반적인 사항

    ▷이름:
    김**
    ▷성별:
    □남자 ■여자
    ▷나이:
    32세
    ▷혈액형:
    A+
    ▷종교:
    ■기독교 □불교 □천주교 □기타
    ▷키: 159cm 몸무게: 63kg (임신 전: 55kg)
    ▷주호소:
    임신 41주1일, 불규칙한 자궁수축, 아랫배, 허리, 허벅지 통증
    ▷입원 경로: 32세 김** 님은 산과력 G0-T0-P0-A2-0로 임신 41주 1일, Show(+), Labor Pain 있어
    응급실 경유하여 분만실로 입원함
    ▷사회력:

    ▷과거 질병력:
    ■무 □유
    ▷과거 수술력:
    ■무 □유
    ▷가족력:
    ■무 □유
    ▷알러지:
    ■무 □유
    ▷면역 상태:
    VDRL negative, HBsAg negative, Anti-HIV negative
    ▷약물:
    □무 ■유(철분제)
    ▷술:
    ■무 □유(병/주)
    ▷흡연:
    ■무 □유(갑/년)
    ▷수면시간:
    8시간
    ▷수면장애:
    ■무 □유
    ▷보조기구착용:
    ■무 □유
    ▷1차 진단명:
    Primi IUP 41주+1, Labor pain
    ▷현재 통증:
    □무 ■유(5점/10점) 부위: 아랫배, 허리, 허벅지
    ▷수유계획:
    모유수유

    2) 현재 산과력

    ▷G-0 T-0 P-0 A(자연 1 인공 1) L-0
    ▷L.M.P: 2021.11.10. ▷현재 임신주수: 41주 ▷EDC: 2022.08.17
    ▷양막파수:
    ■무 □유(시간: 해당없음)
    ▷이슬:
    □무 ■유
    ▷이전 분만형태:
    경험 없음
    ▷입원 활력징후:
    110/70-80-36.6-20

    출처 : 해피캠퍼스

  • A+) 정신건강간호학 조현병 케이스 스터디(진단 3개, 과정 3개)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1. 조현병의 정의
    2. 조현병의 특성
    3. 조현병의 원인
    4. 조현병의 증상
    5. 조현병의 임상 단계
    6. 조현병의 진단
    7. 조현병의 치료 및 간호
    8. 조현병의 경과 및 예후

    Ⅲ. 대상자 사정
    1. 일반적 정보
    2. 검사 결과
    3. 자료 분석

    Ⅳ. 간호과정

    Ⅴ. 결론 및 소감·

    본문내용

    Ⅰ. 서론
    조현병은 심각한 정신질환으로, 환자들이 현실과 상상을 혼동하거나, 비정상적인 사고와 감정을 경험하는 질병입니다. 이 질병은 환자와 그들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이 매우 심각하며, 그들의 삶에 큰 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번 케이스 스터디에서는 조현병 환자의 사례를 살펴보고, 그들의 증상, 진단, 치료, 그리고 일상적인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구해보겠습니다.

    Ⅱ. 문헌고찰
    1. 조현병의 정의
    조현병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뇌 기능 장애가 발생하여 정상적인 사고기능이 약화되고 망상, 환각, 감정상의 장애, 운동 장애 등 정신 기능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게 되는 질환이다. 조현병은 전두엽, 측두엽 등 연합피질과 변연계, 피질하구조 등이 관여하는 신경망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신경생물학적 뇌질환으로 인정되고 있지만 발병과 진행결과에 심리적, 사회적 요인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현병은 개인이 중요한 정보를 인식하고 처리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며 인지, 지각, 감정, 행동, 사회화 등의 장애를 동반한다. 이러한 증후군들은 대개 이해하기 어렵고 증상이 심하기 때문에 대상자들은 당황하게 되고 대인관계를 잘 유지하지 못하며 심한 무능력상태가 되어 사회로부터 소원해지고 무능해진다.

    음성증상
    (negative symptoms)
    정상적인 기능이 감소되었거나 상실된 것을 말하며 정형 항정신병 약물에 반응하지 않고 비정형 항 정신병 약물에 더 잘 반응한다.
    정서 둔마, 운동성 실어증, 무의욕증/무감동, 무쾌감증/비사교성, 주의력 결함
    인지적 증상
    (cognitive symptoms)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