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 간호과정: 간호진단 선정 이유
Ⅱ.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간호진단의 우선순위 목록
4)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과정
Ⅲ. 결론
1) 연구하며 잘한 것
2) 아쉬운 점
3) 반성 및 제언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간호과정: 간호진단 선정 이유
❶ 불규칙적 자궁수축으로 인한 급성통증
: 제일 눈에 띄게 도움이 필요해 보이는 증상이 ‘통증 호소’였다. 경산부임에도 통증에 민감하게 반응하셨다.
대상자는 오전 9:30, 10:30에 비언어적, 언어적 표현을 통해 도움을 절실히 요청하였다.
이에 간호 중재가 제일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❷ 예측할 수 없는 분만 시기와 관련된 불안
: 산부의 분만에 대한 심리적 준비 정도는 분만의 전체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산부가 불안
할 때는 혈청 네프에피네프린이 분비되며, 자궁의 수축을 악화시킨다. 또한 태반으로 혈액의 흐름을 방해하여
태아심음의 패턴을 방해하여 분만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에 차지하고 있다. 환자는 통증이 발생할 때 불안에
대하여 정서 상태를 표현하였으며, 이때 불안 정도는 대상자의 안전을 위해 불안에 대한 중재가 필요해 보였다.
❸ 분만과 관련된 침습적 처치로 인한 감염 위험성
: 감염은 산모, 태아 모두에게 응급상황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이다. 산모의 불편감과 수월
한 분만 처치를 위해 방광 팽만을 완화 시키기 위한 단순 도뇨와 태아 하강감을 측정하기
위한 내진, IV 시행 등 침습적으로 처치를 진행하기 때문에 주의를 하지 않으면 급속도로
산모, 태아 모두 위급상황에 처하게 될 것 같아서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❹ 분만 중 과다한 체력소모와 관련된 피로
: 분만을 위해 산모는 분만이 임박하였을 때 음식 섭취를 멈추고, 관장을 하며 수분 섭취에 제한을 두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