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asestudy

  • 노인간호학실습 사례연구보고서(흡인성 폐렴)

    목차

    1. 노인질환에 대한 간호과정 적용

    본문내용

    1. 노인질환에 대한 간호과정 적용

    성 명
    김OO
    연 령
    70
    성별
    M
    진 단 명
    Aspiration pneumonia
    입원일

    정보제공자
    자녀(딸)

    1) 입소상태 및 병력
    (1) 입원경로: 외래 √ 응급실 기타
    (2) 입원방법: 휠체어 이동차 √ 스스로 걸어서 기타
    (3) 입원 시 동반자: 가족 √ 친구 기타
    (4) V/S: 혈압 110/60mmHg 체온 37.4℃ 맥박 119회/분 호흡 20회/분 체중 65kg 신장 169cm
    (5) 입원동기와 주 증상: 15년 전 CVA로 15일정도 입원치료함. dementia 있었으며, 가족 등도 못알아 보는 등 지남력 저하, 기억력 저하 보임. 행동장애는 반복적으로 서성이는 행위외에 크게 문제점 보이지는 않았다 하며 self gait 가능하였음. 요양원 입소하여 생활하던 중 aspiration pneumonia로 입원하여 치료 후 본원 입원함.
    (6) 과거력 : HTN, hyperlipidemia, cerebral infarction
    (7) 가족력 : 없음

    출처 : 해피캠퍼스

  • 노인간호학실습 사례연구보고서(치매)

    목차

    1. 노인질환에 대한 간호과정 적용
    1) 입소상태 및 병력
    2) 정신적, 정서적 상태
    3) 일반정보
    4) 건강과 관련된 정보
    5)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
    5) 진단검사
    6) 투약

    2. 간호과정

    본문내용

    1) 입소상태 및 병력
    (1) 입원경로: 외래 √ 응급실 기타
    (2) 입원방법: 휠체어____ 이동차__√__ 스스로 걸어서 기타
    (3) 입원 시 동반자: 가족 √(딸, 사위) 친구____ 기타
    (4) v/s: 혈압 130/90 체온 36.5°C 맥박 81 호흡 18 체중 49kg 신장 146cm
    (5) 입원동기와 주 증상: 집에서 넘어져 이후부터 back pain 있었던 환자로 LMC에서 L3 comp fx 진단받고 척처체 성형술(vertebroplasty) 시행함. 거동불편하여 요양위해 본원 입원함.
    (6) 과거력 : HTN(2~3년 전), 협심증
    (7) 가족력 : 없음

    <중 략>

    5)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
    허리통증을 자주 호소하며 “허리가 아파서 걷지도 못하겠어..”라며 대부분의 시간을 침상에서 보내고 있다. 오늘 시행한 VAS 5점으로 간헐적으로 뻐근하다고 호소하였다. 최근 간병사에게 핸드폰을 맡겨두고 “내 핸드폰이 없어졌어… 누가 훔쳐간 거 같아..”라거나, 아침 식사 후 “밥 안줘? 나 배고파”라는 이야기를 하는 등 인지기능의 변화가 의심되어 MMSE-DS 검사 결과 15점 측정되었으며, GDS상 중등도의 인지장애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어 관련 약물이 처방된 상태이다.

    <중 략>

    8) 간호과정

    간호진단 1
    #1 허리 통증과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허리가 아파서 걷지도 못하겠어..”
    ● “이제 침대에 누워서도 못움직이겠네…”

    출처 : 해피캠퍼스

  • A+) Septic shock CASE STUDY(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

    목차

    Ⅰ. 문헌고찰

    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을 위한 신체사정
    3. 간호대상자의 진단을 위한 검사(일반 생화학검사, 방사선 검사, 특수검사)
    4. 치료 및 간호 (내과적 -약물 -요법․식이요법, 외과적-수술요법, 특수치료법)
    5. 간호과정
    6.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병태생리, 원인, 증상, 치료, 간호)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 병태생리,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간호
    질환명
    septic shock
    병태생리
    감염증이 발생한 경우, 원인 미생물이 혈액 내로 침범하여 패혈증을 일으킬 수 있음. 하지만 미생물이 혈액 내로 침투하지 않더라도 신체 일부의 염증 반응 및 염증 물질의 생성에 의해 전신적인 패혈증이 발생할 수도 있음. 패혈증 증상으로 인해 쇼크가 발생한 상태
    원인
    문헌조사
    – 미생물에 의한 감염
    – 원인이 되는 감염 부위는 신체의 모든 장기가 가능. 폐렴, 신우신염, 뇌막염, 봉와직염, 감염성 심내막염, 복막염, 욕창, 담낭염, 담도염 등
    증상
    문헌조사
    – 오한을 동반한 고열, 저체온과 동반되는 관절통, 두통, 권태감 등
    – 맥박은 빠르고 미약하며, 호흡은 빨라짐. 중증이면 의식이 흐려짐
    – 증상이 더 심해지면 저혈압에 빠지고 소변량이 줄면서 쇼크 상태

    치료
    문헌조사
    – 패혈증의 원인이 되는 장기의 감염을 치료하는 것이 중요. 신체검진과 혈액검사, 영상 검사를 통해서 패혈증의 원인이 되는 신체의 감염 부위를 찾은 후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하여 감염증을 치료함. 패혈증의 원인균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환자의 혈액을 채취하여 균을 배양하는 검사가 필요하지만, 이는 적어도 3~5일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므로 만일 환자의 상태가 위독하다면 배양 검사 결과가 나오기 전에 경험적인 치료를 시행해야 함.
    – 정맥 수액 공급은 혈압의 개선과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음. 종종 약물로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의 상승을 유도함. 또한 산소공급이 필요할 수 있으며 몇몇 환자에게는 호흡 보조용 기계 환기 장치가 필요할 수도 있음. 장기부전이 시작될 때 신장 투석과 같은 기타 장기의 보조 치료가 때때로 필요하기도 함.
    – 카테터처럼 감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의료기기의 제거, 농양 및 체액의 배액, 손상된 조직의 제거 또는 치료, 폐색 부위의 제거 등과 같이 때때로 외과적 시술이 필요함
    간호
    문헌조사
    – 원인 규명(객담, 소변, 혈액, 뇌척수액, 대변 등 균배양)
    – 항생제 투여: 민감성이 나타날 때까지 초기에는 penicillin, aminoglycoside와 clindamycin 또는 chloramphenicol을 포함하는 광범위 항생제 사용
    – 체온조절(저체온과 고체온 모두 패혈성 쇼크에서 주의해야 함)
    – 혈압상승제
    – 항쇼크바지 적용
    – 생리식염수, 5% DW 혹은 콜로이드액 정맥 내 주입
    – 도파민이나 도부타민, 노르에피네프린, isoproterenol, 디기탈리스, 칼슘
    – Naloxone(날록손, 저혈압 예방)
    – Benadryl(알레르기치료제)
    – 스테로이드(dexamethasone, methylprednisolone)
    – 파종혈관내응고가 있으면 헤파린 주사

    출처 : 해피캠퍼스

  • A+) 승모판폐쇄부전증 CASE STUDY(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

    목차

    Ⅰ. 문헌고찰

    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을 위한 신체사정
    3. 간호대상자의 진단을 위한 검사(일반 생화학검사, 방사선 검사, 특수검사)
    4. 치료 및 간호 (내과적 -약물 -요법․식이요법, 외과적-수술요법, 특수치료법)
    5. 간호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병태생리, 원인, 증상, 치료, 간호)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 병태생리,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간호
    질환명
    Mitral (valve) insufficiency
    병태생리
    승모판 부전이 있는 경우, 좌심실이 수축할 때 혈액이 좌심방으로 역류되어 심박출량이 감소되고, 좌심방에서 좌심실로의 혈액 유입이 증가함으로써, 용적과부하가 온다. 좌심실은 대동맥과 좌심방 양쪽으로 혈액을 보내게 되어 후부하가 감소되며, 박출률이 증가하여 유효 심박출량은 정상을 유지한다. 한편 좌심방은 역류 혈량에 적응하여 확대되어 좌심방압도 떨어져 심한 활동에도 호흡곤란을 느끼지 않고 증상 없이 지낼 수 있다. 그러나 보상상태가 지속되다가 좌심실수축력이 감소되면 궁극적으로 심박출량이 저하되어 좌심방압은 다시 상승된다. 이 상태에서의 좌심실 기능 이상은 가역적이어서 치료의 목표는 비가역적 손상이 오기 전에 판막 치환을 하거나 성형을 하는 것이다. 승모판기능부전이 건삭이나 유두근이 단절되어 일어나는 급성에서는 역류 혈액량에 따라 좌심방압은 증가하고 전방 심박출량은 감소하여 전신 쇠약감과 폐울혈로 인해 호흡곤란과 앉아숨쉬기를 호소하게 된다.

    원인
    문헌조사
    – 주원인: 류마틱열, 감염심내막염
    – 판막의 퇴행성 병변
    – 승모판탈출증
    – 비후성 심근증
    – 판막과 좌심실 벽을 연결해 주는 끈이 끊어지면서 심한 폐쇄부전증 발생
    – 판막의 선천적 이상
    – 심장의 종양 등

    출처 : 해피캠퍼스

  • 식도정맥류 간호과정 CASESTUDY / ICU /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 / 친구들이 감탄한 자료

    목차

    1) 대상자 간호사정
    2) 투여되는 약물
    3) 진단검사 결과
    4) 간호사례 요약
    5) 간호진단 5개
    6) 간호진단 우선순위
    7) 간호과정 2
    8) 출처

    본문내용

    1) 일반적 정보
    환자 간호기간 __2022.05.02__ ~ __2022.05.06____

    성명:
    성별: M
    연령: 50
    병록번호:
    주소:

    학력:
    경제수준:
    종교:
    입원일자: 2022년 4월 28일
    입원경로: ☐ 병실 .  응급실
    정보제공자:
    진단명 : Esophageal varix (식도 정맥류)
    수술명

    2) 병력

    (1) 주증상 : 입원시 – hematemesis
    현 재 – hematemesis

    (2) 현병력
    ① 발병 시부터 병원에 오기까지의 상황
    HBV LC(Liver Cirrhosis)로 본원 소화기내과 f/u 하시는 분으로 본원 외래 방문하였을 때 화장실에서 피를 토하여(종이컵 1/3컵, 선홍색) 응급실 내원함.

    ② 병원 도착시 대상자의 상태 및 중환자실 입실 전까지의 경과
    소화기내과 진료 대기 중 소량의 hematemesis하여 ER내원함. ER에서 자판기 종이컵 5개 분량의 피를 토하고 검은변 보았다고 함. EGD(위내시경) 시행 후 close monitoring 하기 위해 ICU 입실 함.

    ③ 입실 후 현재까지의 경과
    ER에서 호소하였던 명치통증은 사라지고 추가적인 출혈 소견 보이지 않음. active bleeding보이지 않음.
    2022년 4월 28일에 입실하고 5월 3일에 전동했다가 아침 6시에 hematemesis하여 EGD함. EGJ(식도위이음부)에 mucosal erosion(점막 부식)관찰되며 band ligation 시행함.

    <중 략>

    <간호결과>
    – 대상자는 내원 시부터 Morse Fall Scale 점수가 35점으로 유지됐다. 단기목표 1은 달성하지 못했다.
    – 단기목표를 ‘대상자는 ICU 내원 동안 Morse Fall Scale 점수가 35점 이하로 유지된다.’로 수정한다. 부진단과 정맥 주사는 내원 동안 계속 유지되기 때문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대학병원 정신병동/폐쇄병동 양극성 장애 case study / 신체증상 장애 간호과정 2개

    목차

    1. 진단명/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2. 주호소(chief complaint)
    3. 현병력(history of present illness)
    4. 과거병력(past history)
    5. 개인발달력
    6. 가족력(family history)
    7. 정신상태검사(mental status exam)
    8. 사정 및 임상 검사 결과(신체 사정 및 임상병리검사 & 심리검사 결과)
    9. 질환에 대한 치료(약물 및 요법들)
    10. 대상자 강점 및 취약점
    11. 간호진단 목록
    12. 간호과정(진단별로 작성)

    본문내용

    진단명 : Bipolar 1 disorder manic

    [정의 및 진단]
    제 1형 양극성 장애는 조증과 우울증이 교대로 또는 조증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장애로, 일생동안 반드시 적어도 한 번 이상의 조증 삽화가 있으면 우울증 삽화와 무관하게 제 1형 양극성장애로 진단된다.

    [증상]
    일반적으로 흥분되어 있고, 행동이 부산스럽고 여러 가지 자질구레한 장신구, 배지, 메달 따위로 기괴한 몸치장, 부적절하고 파격적인 의상이나 짙은 화장을 하기도 한다. 지속되는 활동과 수면욕구 감소로 거의 잠도 안 자거나 피곤함을 느끼지 않고 계속 활동을 한다. 때로는 과민한 기분이나 초조, 심한 감정의 동요와 기복을 보이기도 한다. 좌절에 대한 내성이 적어서 분노와 적개심을 곧바로 표현한다. 충동조절이 어려워 공격적이거나 위협적인 경우가 있고, 때로 자살을 시도하거나 타인을 해하기도 한다.

    [치료]
    1. 치료적 환경 제공 : 입원 치료를 통해 환자 안전을 도모하고, 파괴적 행동을 외적으로 통제하여, 약물을 통해 증상을 안정시킨다.
    2. 신체적 건강과 안전 : 수분섭취를 모니터링하고 규칙적으로 체중, 활력징후, 검사결과를 사정한다. 휴식과 활동의 균형을 유지한다.
    3. 약물치료 : 일차적인 약물은 기분안정제로 우울증과 조증의 순환을 안정화시키며 리튬, 항경련제, 2세대 항정신병약물이 포함된다.
    4. 감정 표현하기 : 느낌에 초점을 맞추어 천천히 말하게 하고 생각이 한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도와준다. 감정을 비판하거나 부정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여성간호실습 case study 자궁탈출 prolapse of uterus

    목차

    Ⅰ.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
    1. 병태생리
    2. 임상증상
    3. 진단적 검사
    4. 치료
    5. 간호중재

    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 진단

    본문내용

    1. 병태생리

    – 골반장기탈출(POP, pelvic organ prolapse)은 골반 내 장기(자궁, 방광, 요도, 직장 등)가 정상 위치에서 벗어나 비정상적으로 하강하거나 탈출하는 것을 말하며 골반저를 구성하고 있는 골반 뼈, 근막, 항문거근 및 회음부 근육들이 선천적 및 후천적으로 약해지거나 외적 및 내적 손상을 받은 경우 지탱하는 힘이 약화되어 골반 장기 탈출이 발생한다.

    – 탈출이 어느 부위에서 일어났느냐에 따라 방광류(cystocele), 직장류(rectocele), 장류(enterocele), 자궁탈출(uterine prolapse)의 유형으로 나뉘고 임상적으로 한 가지만 나타나기보다 복합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탈출 정도는 골반 장기 탈출 표준화 체계(Pelvic organ prolapse quanification system, POP-Q)* 에 따라 분류한다.

    <중 략>

    4. 치료

    – 증상이 나타나지 않거나 불편함이 없는 경우는 치료를 시행하지 않으나 증상이 심각하거나 대상자가 원할 경우에는 건강 상태, 연령, 수술 시 적합성, 요실금 또는 변실금 등의 골반의 다른 상태 등을 고려하여 치료를 시행한다.

    – 비수술적 방법
    ü 골반저근 강화 운동(케겔운동) 같은 물리요법
    – 자궁탈출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경우에 시행한다.
    ü 페서리(pessary)삽입
    – 질 안으로 링 모양의 실리콘 기구를 넣어 자궁이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막거나 질을 지지하 도록 한다.
    – 페서리 삽입 후 매일 질 세척 해야 하며 6~8주 간격으로 페서리 빼서 세척 해야 한다.
    ü 호르몬 대체요법
    – 폐경전후기와 폐경 여성에서 지지조직의 강도, 두께, 혈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질벽의 탄력 성을 증가시킨다.
    ü 식이와 일상생활양식 조절
    – 고강도 운동 피하기, 체중감소, 금연, 식이 조절 등

    출처 : 해피캠퍼스

  • 대퇴골 무혈관성괴사 case study A+자료 간호진단과 간호과정 2개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수술 후 관절가동의 어려움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목차

    I. 문헌고찰
    ◆질환명 : Aseptic Necrosis of femur bone
    1. 정의
    2. 특정 및 빈도
    3. 원인
    4. 병태생리
    5. 증상 및 징후
    6. 진단검사
    7. 치료 및 간호
    8. 경과 및 합병증

    I. 간호대상자 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3. 활력징후
    4. 진단검사
    5. 투약
    6. 통증사정
    7. 배액사정

    II. 간호과정

    III.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대퇴골 무혈관성 괴사란 일명 무균괴사(aseptic necrosis)라고 하며,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해 대퇴골로 가는 혈류가 차단되어(무혈성) 뼈 조직이 죽는(괴사) 질환이다. 이 질환은 괴사된 뼈에 압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면 괴사 부위가 골절되면서 통증이 시작되고, 이어서 괴사 부위가 무너져 내리면서 고관절 자체의 손상이 나타난다.

    2. 특정 및 빈도
    대퇴골두, 수부 주상골, 대퇴골 과상 돌기(무릎뼈), 상완골두(어깨뼈) 등에서 발생한다. 이 중에서 대퇴골두 무혈관성 괴사가 가장 흔하다. 이 질환은 대부분 30~50대에게 발생하고, 여성보다는 남성에게 더 많이 발생한다. 과도한 음주, 각종 피부 질환, 장기 이식 등이 증가함에 따라 스테로이드제를 많이 복용하기 때문에 최근 젊은 사람들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한쪽 고관절에서 대퇴골두 무혈관성 괴사가 진행되면, 다른 쪽의 고관절에도 괴사가 진행될 확률이 높다. 환자의 60% 이상은 양쪽 고관절의 대퇴골두 무혈관성 괴사를 겪는다.

    3. 원인
    대퇴골 무혈성괴사는 원인뿐만 아니라 발생 과정에 대해서도 정확히 밝혀져 있지 못한 상태로, 다만 여러 가지 원인 위험인자가 알려져 있다. 위험인자 중에서도 음주와 부신피질 호르몬제가 전체 원인의 90% 정도를 차지한다. 그러나 아무런 원인적 위험인자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발생하는 경우도 자주 있다.

    원인적 위험인자
    ● 과다한 음주
    ● 부신피질 호르몬(스테로이드)의 사용
    ● 신장 질환
    ● 전신성 홍반성 낭창과 같은 결체조직병
    ● 신장이나 심장과 같은 장기이식을 받은 경우
    ● 잠수병, 통풍, 방사선조사
    ● 후천적 면역결핍증(AIDS)
    ● 외상 (대퇴 경부 골절이나 고관절 탈구에
    자주 합병)
    ● 매우 드문 겸상 적혈구 빈혈증,
    고셔(Gaucher)병 등

    출처 : 해피캠퍼스

  • 대학병원 심장혈관내과, 심방세동대상자, 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입니다.A+을받은과제입니다. 이론부터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5개 이상씩 존재합니다. 참고문헌, 느낀점도 기재되어있어 그대로 사용하시기에 편하실것입니다.

    목차

    1. 서론
    1) 문헌고찰
    (1) 심방세동,조동,심부전의 병태생리
    (2) 심방세동,조동,심부전의 원인 및 위험요인
    (3) 심방세동,조동,심부전의 증상
    (4) 심방세동,조동,심부전의 진단검사
    (5) 심방세동,조동,심부전의 치료
    (6) 심방세동,조동,심부전의 간호
    (7) 심방세동,조동,심부전의 퇴원교육과 예방법

    2. 본론
    1) 대상자 사례연구
    (1) 대상자 간호 정보
    (2) 대상자 진단검사 결과
    (3) 대상자에게 처방된 약물정보
    (4) 간호과정

    3. 결론

    본문내용

    ①심방세동 (AF, Atrial fibrillation)
    -심방세동은 가장흔한 부정맥이다.
    -심방이 350~600회/분이상 수축을 일으켜서, 효과적으로 심방이 수축하지 못하 고 (p파 부재) 미세한 파동(F파)를 나타낸다.
    -방실결절에서는 지나치게 빠른 심방수축에 모두 반응하지 못하고, 불규칙적으로 심실에 자극을 전달한다.
    -그 결과 심실수축횟수는 대개 100~150회/분으로 매우 불규칙하게 나타난다.
    -심방세동은 심전도상에서 매우 불규칙한 QRS파로 진단내릴수 있다.
    -심질환이 없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심장질환시 볼 수 있다.
    *심전도 상의 특징
    -심방수축: 350~600회/분
    -심실수축수: 100~150회/분
    -p파: P파는 보이지 않고 완만한 선으로 보이거나 미세한 진동(F파)로 나타난다.
    -QRS파: 파형은 정상이나 매우 불규칙적이다.
    -전도: 지나치게 빠른 심방수축마다 방실결절에서 모두 반응 할 수 없으므로 심 방수축은 불규칙적으로 심실에 전달된다. 그 결과, 심실은 불규칙하게 수축한다.
    -리듬: 매우 불규칙적이다.

    ②심방조동(AFL, Arterial flutter)
    -심방조동은 심방의 어느 한세포가 흥분하여 심장 수축 자극을 반복적으로 빠르게 내보냄으로써 심방수축속도가 250~350회/분에 달하는 것을 말한다.
    -심방의 수축속도가 너무 빠르기 때문에 심방의 수축자극이 차단되고 그중 심실상 부의 자극을 방실결절에서 His 속에 2:1, 3:1, 4:1 비율로 전달하므로 QRS파의 수는 p파에 비해 적어진다.
    *심전도 상에서의 특징
    -심방수축수: 250~350회/분
    -심실수축수: 60~150회/분(심방의 자극이 방실결절에서 차단되는 정도에 따라 다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간농양 liver abscess case

    목차

    Ⅰ. 환자사정
    1. 간호력
    2. NANDA의 분류체계에 의한 간호 사정 도구
    3. 신체사정
    4. 신체검진
    5. 진단적, 임상병리 검사 및 기타 자료
    6. Medication

    Ⅱ.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및 병태생리
    3. 증상
    4. 진단적 검사
    5. 치료 및 간호

    Ⅲ. 간호과정
    1. 간호과정
    2.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환자사정

    1. 간호력
    (1) 일반적 사항
    작 성 자 최**
    정보제공자 본인

    1) 성 명 : 선** 성 별 : 남자 연 령 : 80
    결혼상태 : 기혼 교육수준 : 고졸 직 업 : 없음
    종 교 : 천주교 경제적 수준(평균 월수입): 측정불가

    2) 입 원 일 : 2024. 01.10
    입원경위 : 2달 전부터 허리-관절 통증 있어 관절약 복용한 뒤로 발열, 체중저하, 식욕감퇴가 있어 타 병원 2차 입원 후 전원 이야기를 듣고 퇴원한 후 증상에 대하여 치료 지속 위해 본원 검사 진행 후 금일 외래 통해 도보로 입원함
    입원방법 : 도보
    퇴 원 일 : 현재 재원중

    3) 주진단명 : liver abscess

    4) 발병일시 : 정확한 일시는 모르나 2달 전부터 증상이 시작 됐다고 함

    5) 주 증 상 : 발열, 식욕저하, 우상복부 통증

    6) 질병과정(brief history) : 2달 전부터 허리-관절 통증 있어 관절약 복용한 뒤로 발열, 체중저하, 식욕감퇴, 우상복부 통증이 있어 타 병원 입원 후 그 병원에서 전원 이야기를 듣고 퇴원한 후 증상에 대하여 치료 지속 위해 본원에서 복부 CT 진행하여 간 S6(우엽 후방절편)에 농양이 6.3cm 정도 발견 되어 간농양이라는 진단을 받게 되었음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