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 폐렴 간호과정 CASE STUDY

목차

1.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1) 내원동기 및 주호소
2) 현병력
3) 진단검사
4) 투약

2.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질병명
2) 정의
3) 원인 또는 유발요인
4) 병태생리
5) 진단
6) 임상증상 및 주증상
7) 치료

3. 간호진단
1) 간호진단 1
2) 간호진단 2

4. 출처

본문내용

< 대상자의 질병명 : 폐렴(pneumonia) >

1.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이름
정아동
성별/나이
F / 4
출생시 몸무게
2.9kg
출산 및 신생아력
38주 C/S
질병명
폐렴(pneumonia)

1) 내원동기 및 주호소
· 이틀 전부터 심한 기침, 가래, 열 있어 2022년 10월 9일 ER 통해 내원함.
· CT 촬영 후 폐렴 (pneumonia) 진단 받고 치료 위해 입원.

2) 현병력
· 증상 : 심한 기침, 가래, 고열(38.3℃), 빈호흡(38회/분), SpO₂ 94%. pneumonia 진단.
· 처음 증상이 시작한 시기: 이틀 전부터 기침, 가래, 고열 증상 있었으며 점점 심해짐

<중 략>

2.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질병명
소아 폐렴 [pneumonia in children]

2) 정의
폐렴은 폐 실질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임상적으로는 발열 및 기침, 가래 등의 호흡기 증상과 함께 청진상의 이상소견(예: 나음, 거친 호흡음, 호흡음 감소 등)이 관찰되거나 흉부 방사선의 이상 소견(예: 폐음영의 증가 등)이 보일 때 정의할 수 있다. 주로 바이러스 및 세균 등에 의한 감염증에 의하여 발생하게 되지만, 드물게 이물질 및 음식물 등이 기도로 넘어가서 발생하는 흡인성 폐렴 및 방사선 치료, 알레르기 반응에 의한 폐렴도 발생할 수 있다. 폐렴은 소아기의 이환율과 사망률의 중요한 원인이 되는 가장 흔한 감염성 질환 중의 하나이다. 폐렴은 원인 병원체와 환자의 연령, 기저 질환에 따라 감기와 유사한 정도의 경미한 폐렴에서부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심각한 폐렴 등 다양한 임상양상을 보인다. 증상에 따라 정형(일반)폐렴과 비정형폐렴으로 구분할 수 있고, 침범한 해부학적 부위에 따라 대엽 (혹은 소엽) 폐렴과 기관지폐렴, 간질폐렴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구분이 명확하지는 않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