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실습 급성경부림프절염 (간호진단4개, 간호과정3개)

목차

1. 질병고찰
2. 간호사정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질병 고찰
1. 정의
– 경부 림프절염은 상기도 질환으로, 체내 여러 부위에 있는 림프절 중에서 목 부위의 림프절이 감염이나 기타 악성 종양 등에 의해 커지는 질환이다.
– 세균, 바이러스, 미생물의 감염이나 인체에서 발생하는 자가면역반응에 의해 발생한다.

2. 병태생리
① 림프절 정의
– 림프절은 림프관을 따라 간격을 두고 나타나는 작은 2차 림프기관으로 림프계를 구성하며 전신에 분포되어 있다. 림프절은 콩 모양으로 인체의 척주 앞 부위와 흉강 및 복강에 있는 큰 혈관의 주위, 장간막이나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와 같이 지방세포를 지닌 결합조직이 풍부한 곳에 무리 지어 분포하고 있다.

② 림프절의 기능
– 림프절의 내부에는 림프구와 같은 백혈구가 존재하여 림프절로 유입된 외부 항원이나 이물질에 대한 식세포작용과 면역반응을 일으키며, 림프가 순환계로 돌아갈 때 미생물이나 이물질이 여기서 여과되어 림프절을 통해 제거된다.

3. 원인
– 일반적으로 편도선에 염증이 생기거나 감기에 걸려 염증이 생겼을 때 경부 림프절이 커지는데, 이는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정상으로 돌아가게 된다. 아동의 경우 홍역, 풍진, 볼거리 등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해 경부 림프절 종대가 동반되기도 한다.

4. 증상
– 일반적으로 발열, 압통, 연하곤란, 덩어리가 만져진다.
– 경부 림프절염은 염증성과 종양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염증성은 열이 있고 누르면 통증을 동반하고, 종양성은 단단하고 서서히 커지며 통증이 없는 경우가 많다.
– 전형적인 화농 림프절염은 주위 조직이 부소, 압통과 발적을 동반한 림프절 비대가 심하며 (지름>3~6cm), 대체로 한 곳에만 국한되어 나타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