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표본의 크기
II. 표본오차
1) 표준오차
2) 비표본오차
본문내용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정확한 모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많은 표본의 수를 뽑아 통계치로 분석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너무 많은 노력과 경비가 들 수 있으므로 연구목적에 맞는 모집단의 특성을 반영한 표본을 추출해 정확한 통계분석 결과를 얻으려면 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다음과 같은 원칙을 고려해 표집이 이루어져야 한다.
첫째, 표본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모수의 정확한 추정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다문화가족 자녀의 장애발생률을 구하고자 할 때 8%의 통계치가 나온 결과와 9%의 나온 결과와의 차이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확한 모수를 측정하려 한다면 표본의 수를 크게 잡아야 한다.
둘째, 모집단 내의 특성들이 서로 상이한 정도를 고려하여 표본의 크기를 증가시켜야 한다. 이는 모집단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가 서로 동일하다면 단 하나의 표본만으로도 모집단의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으나 서로 이질성 정도가 큰 경우에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