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질병연구
– 대상자의 진단명
– 정의
– 병태생리
– 증상 및 징후, My patient
– 치료_진단검사, 약물, 처치
– 간호
2. 대상자 간호력
3. 주요 신체 검진 결과
4. 대상자 진단검사, 특수처치
5. 주요 약물
6. 총괄적 소견
7. 간호진단 진술 및 우선순위
8. 간호과정
본문내용
대상자의 진단명
주) Liver cirrhosis(alcoholic) with ascties
복수를 동반한 알코올성 간경변증
정의
* 간경변증(Liver cirrhosis); 간경화
간염 바이러스나 술 등에 의해 간세포 손상(간염)이 오랫동안 지속되면 간에 흉터가 쌓이는 간섬유화증이 진행되며, 간섬유화증이 간 전반에 걸쳐 진행되면 간경변증이 된다. (간 표면이 우둘투둘해지며 딱딱하게 변하게 된다.)
<합병증>
간에 흉터(섬유화)가 과도하게 쌓이면 간으로 혈액이 잘 유입되지 않아 간 문맥압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문맥 고혈압 합병증(복수, 정맥류)이 생긴다. 점차 정상 기능을 할 수 있는 간세포의 수가 과도하게 적어지면서 단백질 합성, 해독 작용 등의 간 기능 장애로 인한 합병증(황달, 간성 뇌증)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간암 발병률도 함께 증가하게 되고, 사망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병태생리
한국 기준, 간경변증 환자의 70∼80%는 B형 간염 바이러스로 가장 많고, 알코올성 간염, 만성 C형 간염이 각 10~15%를 차지하며 그 다음으로 많다. 그 외에도 지방간염, 자가 면역성 간염, 경화성 담관염 및 윌슨병 등의 유전 질환도 간경변을 유발할 수 있다.
간경변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알코올은 그 자체로도 간경변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다른 원인에 의한 만성 간 질환을 빠르게 악화시킨다.
* 알코올성 간질환 (원인)
– 알코올로 인해 간은 세포가 퇴행하고 지방, 백혈구와 림프구가 침투하여 커지게 되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염증성 과정은 감소, 간 세포의 파괴가 진행된다.
– 음주를 중단하면 지방침윤과 염증은 호전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