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2. 본론
1) 건강사정
2) 약물
3) 진단검사 소견
4) 치료경과 및 계획
5) 간호과정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본 사례는 M/93 (r/o COVID)폐렴을 진단으로 가진 환자이다. 폐렴은 2020년도 기준 인구 10만 명당 폐렴 사망자 43.3명으로 사망원인통계 3위를 보이고 있다.
통계청의 2021년 생명표에 따르면 65세 이상에서 폐렴이 주요 사망원인으로 사망할 확률에서 평균 9.85%를 나타냈고 65세 남성에서는 암 다음으로 폐렴이 사망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연령만을 보지 않더라도 남녀 모두 전 연령대에서 폐렴에 의한 사망확률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폐렴이 암, 심장 질환과 같이 3대 사인에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폐렴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해당 사망원인으로 사망할 확률이 높아지는데 현재 국내 기대수명이 OECD 평균보다 남녀 모두 전년 대비 증가하여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서 최근 5년간 폐렴 진료 환자를 보면 2017년 1,380,730, 2018년 1,345,780, 2019년 1,413,932, 2020년 873,663, 2021년 513,065이다. 코로나가 발생하게 되면서 증가하던 폐렴 환자가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 활동으로 2020년부터 감소된 것이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와 중증 폐렴과 같은 침습성 폐렴 구균성 질환이 동시에 발병할 경우 침습성 폐렴 구균성 질환 단독으로 감염되었을 때와 비교하여 치명률이 약 8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기 때문에 두 질환의 예방은 더욱 더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렇기에 코로나 폐렴 사례에 대해 문헌고찰을 하여 폐렴에 대해서 이해하여 대상자에게 필요한 간호진단을 세워보고 진단에 맞게 대상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간호중재가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문헌고찰
1) 정의
폐렴은 폐(허파)의 세기관지 이하 부위 특히, 폐포(공기주머니)에 발생한 염증을 말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