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I.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6. 간호
II. 사례보고서
1. 간호정보조사지
1) 일반정보
2) 건강과 관련된 정보
(1) 병력
(2) 신체적 상태
(3) 의식 및 정서, 행동상태
(4) 건강회복에 대한 기대
3) 진단검사
4) 진단적 검사
(1) CBC
(2) plasma
(3) Blood chemistry
(4) urinalys
5) 약물
2. 간호과정
1) 간호문제
2) 간호과정
(1) #1 오심,구토,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2) #2 저나트륨혈증과 관련된 체액과다
(3) #3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
본문내용
I. 문헌고찰
1) 정의
항이뇨호르몬 분비 부적절 증후군(syndrome of inappropri-ate antidiuretic hormone; SIADH)은 수분 정체로 인한 수분중독증이 오는 상태로 요붕증과는 반대되는 현상이다. 혈청 삼투압 감소로 저나트륨혈증이 발생하나 신기능은 정상인 것이 특징이다.
항이뇨호르몬(ADH) 혹은 항이뇨호르몬 유사물질(ADH-like substances)의 생성과 분비가 부적절하게 지속되어 혈장 바소프레신(plasmavasopressin) 농도가 혈장 삼투압에 비해 부적절하게 높아져 있어 수분저류와 저나트륨혈증 및 삼투압 저하가 일어나고, 순환혈액량이 증가 되었더라도 부종을 동반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또, 항이뇨호르몬 부적절 분비 증후군은 잘 알려져 있는 부종양성 증후군의 하나로 저나트륨혈증, 혈장 삼투질 농도의 저하와 소변 삼투질 농도의 증가를 특징으로 한다.
항이뇨증후군 환자는 혈중 바소프레신을 연속적으로 측정한 결과 4가지 형태의 삼투 조절장애가 관찰됐다.
● A형은 20%의 환자에게 나타나고 혈장 삼투압과 무관하게 혈장 바소프레신이 불규칙적으로 변하는 것이 특징이다.
● B형은 35%의 환자에게 나타나며 과도하게 바소프레신이 분비되지만 삼투압에 비례해 분비된다. 이런 경우 바소프레신 분비의 삼투압 조절이 낮은 농도에 맞추어져 있거나 혈장 삼투압 변화에 비정상적으로 예민하게 반응하는 것처럼 나타난다.
● C형은 35%의 환자에게 나타나고 바소프레신의 기저치가 높고 혈장 삼투압 증가에 비해 오히려 더 증가하는 것이 특징이다.
● D형은 10%의 환자에게 나타나며 저혈량증 상태에서는 바소프레신 분비가 정상적으로 억제되어 있고 삼투압이 증가함에 따라 바소프레신 분비가 정상적으로 증가한다.
<중 략>
◆ 간호진단 우선순위
#1. 오심, 구토,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2. 저나트륨혈증과 관련된 체액과다
#3.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