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기초실험(표준 용액 및 중화 적정)

    목차

    1. 실험 목적 및 소개
    2. 실험 이론
    3. 기구 및 시약
    4. 실험 방법
    5. 실험 결과
    6. 고찰 및 토의
    7. 결론
    8. 참고 문헌
    9. MSDS 요약 정보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지시약을 이용한 산-염기의 적정을 통해서 적정법을 이해하고 농도를 모르는 산의 농도를 구한다.

    2. 실험 이론
    2-1) 중화적정
    표준 용액으로 미지 용액의 농도를 찾는 실험이며, 산과 염기가 만났을 때 물이 나온다.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중화 적정은 산을 띠는 레몬을 염기성을 띄는 생선에 넣으면 가 발생하여 비린내를 제거해준다.

    2-2) 용액
    용액은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고, 용질과 용매로 나뉜다.

    <중략>

    4. 실험 과정
    4-1) 0.1N NaOH 표준 용액 제조 실험 방법
    ① 0.1N, 100mL NaOH 용액에 들어있는 NaOH의 질량을 계산한다. (NaOH의 몰질량은 40g/mol)
    ② 계산한 질량 만큼 저울로 NaOH의 질량을 측정한다.
    ③ NaOH를 바이알에 담아 증류수를 약간 넣어 녹인 후 100mL 부피 플라스크에 넣는다.
    ④ 같은 비커에 증류수를 담아 충분히 흔들어 주고 다시 부피 플라스크에 넣는다.
    ⑤ 4의 과정을 용액이 100mL 부피 플라스크의 눈금에 채워질 때까지 반복한다.

    4-2) 중화 적정 실험 방법
    ① 농도를 모르는 Acetic acid 용액 10mL를 피펫을 이용하여 비커에 넣고,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을 한 두방울 넣는다.
    ② 50mL 뷰렛에 NaOH 표준 용액 50mL를 채운다.
    ③ Acetic acid 용액을 넣은 비커를 적당한 강도로 교반 시키며, 뷰렛의 콕을 조금씩 열어 가면서 NaOH 용액의 부피를 측정한다.
    ④ 용액의 색이 변하는 시점에서 적정을 마치고, 비커에 들어간 NaOH 용액의 부피를 측정한다.
    ⑤ 측정한 부피를 바탕으로 사용한 Acetic acid의 농도를 계산 후, 실제 농도와 비교한다.

    6. 실험 결론 및 고찰
    중화 적정 실험은 산과 염기의 양을 정확히 측정하여 중성화 되는 지점을 찾아내는 실험으로, 이 실험ㅇ르 통해 미지시료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피크노미터를 이용한 밀도 측정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3. 시약 및 기구
    4. 실험 과정
    5. 실험 결과
    6. 결론 및 고찰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피크노미터를 이용하여 증류수와 에탄올의 부피와 밀도를 구하고, 이를 이용해 미지 부피의 피크노미터 부피를 구한다. 또한 몰분율이 0.25, 0.5, 0.75, 1.00인 에탄올의 밀도를 구하고 그래프로 나타낸다.

    <중략>

    4. 실험 방법
    4.1 과정1. 부피가 적혀 있는 피크노미터의 정확한 부피 구하기 (온도 : 20)
    ① 피크노미터의 질량을 측정한다.
    ② 피크노미터에 증류수를 가득 채우고 피크노미터 + 증류수의 질량을 측정한다.
    ③ 피크노미터의 질량을 빼 증류수만의 질량을 구한다.
    ④ 밀도표에서 증류수의 밀도를 찾고 앞에서 구한 증류수의 질량을 이용해 피크노미터의 정확한 부피를 측정한다.
    ⑤ 이를 3회 반복하여 피크노미터의 평균 부피를 구한다.

    4.2 과정2 부피가 적혀 있는 피크노미터를 이용하여 에탄올의 밀도 구하기
    ① 피크노미터의 질량을 측정한다.
    ② 피크노미터의 에탄올을 가득 채우고 피크노미터 + 에탄올의 질량을 측정한다.
    ③ 피크노미터의 질량을 빼 에탄올만의 질량을 구한다.
    ④ 과정 1에서 구한 피크노미터의 평균 부피와 앞에서 구한 에탄올의 질량을 이용해 에탄올의 밀도를 구한다.
    ⑤ 이를 3회 반복하여 에탄올의 평균 밀도를 구한다.

    4.3 과정3 미지 부피 피크노미터의 부피 구하기
    ① 미지 부피 피크노미터의 질량을 측정한다.
    ② 미지 부피 피크노미터에 에탄올을 채우고 질량을 측정한다.
    ③ 미지 부피 피크노미터의 질량을 빼 에탄올의 질량을 구한다.
    ④ 과정 2에서 구한 에탄올의 밀도를 이용해 피크노미터의 부피를 구한다.
    ⑤ 이를 3회 반복하여 평균 부피를 구한다.

    4.4 과정4 에탄올 수용액의 몰분율에 따른 밀도 구하기
    ① 부피가 적혀 있는 피크노미터의 질량을 측정한다.
    ② 피크노미터에 0.25 몰분율의 에탄올 용액을 채운 후 질량을 측정한다.
    ③ 피크노미터의 질량을 빼 0.25 몰분율 에탄올 용액의 질량을 구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기초실험(용해도 측정)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3. 시약 및 기구
    4. 실험 과정
    5. 실험 결과
    6. 결론 및 고찰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용질의 양에 따른 용해도의 변화를 살펴보면서 용해도를 나타내는 표현과 용해도에 미치는 요인들을 알 수 있다. 또한 용해도를 구할 수 있다.

    2. 실험 이론
    2.1 물질
    물질은 물리적 방법으로 순물질과 혼합물로 나눌 수 있다. 또, 순물질은 단일 물질인 원소 예를 들어, C와 Au가 있고, 두 개 이상의 원소가 화학적 결합으로 이루어진 화합물 예를 들어, 분자 , 이온 로 나눌 수 있다. 혼합물 중에서는 물질의 조성이 모두 일정한 균일 혼합물 예를 들면, 바닷물과 물질의 조성이 모두 다른 불균일 혼합물 예를 들면, 광석으로 나눌 수 있다.

    2.2 용액
    용액은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고, 녹는 물질, 적은 물질, 한 종류 이상인 용질과 녹인 물질, 많은 물질, 한 종류인 용매로 나뉜다. 특별히 용매가 물인 경우를 수용액이라고 한다.

    2.3 용해도
    용액을 형성하는 원동력은 계가 무질서하게 되려는 경향(열역학 제2법칙)과 용매-용질 사이의 인력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용해도(solubility)는 용매에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양을 뜻하며, 정확하게 용매 100g 당 녹아 들어가는 용질의 g수를 의미한다. 용해도는 온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용액의 포화 정도는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고체와 액체는 온도가 높을수록 용해도가 올라가고, 기체는 온도가 낮을수록, 압력이 높을수록 용해도가 올라간다.

    2.4 용액의 농도
    용액의 농도(concentration)는 일정한 양의 용매 또는 용액 속에 녹아 있는 용질의 상대적인 양을 뜻한다.
    일정한 조건에서 어떤 물질이 용매에 용해될 수 있는 만큼 용해되어 더 이상 용해되지 않는 상태를 말하며, 용질의 농도와 용해도가 같을 때를 포화 상태라고 한다. 용매에 그 물질이 더 녹을 수 있는 상태를 불포화 상태라고 하며 용질의 농도가 용해도보다 작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입 닥치기의 힘

    목차

    없음

    본문내용

    요즘 우리는 말잔치 사회에 살고 있다. 입 다물고 있으면 뭔가 손해를 보는 느낌이나 뒤처지는 느낌이 드는 것은 나뿐 만은 아닐 것이다. 말의 본질은 의사소통이다. 우리는 말의 본질을 잊은 채 남에게 관심을 끌려고 한시도 가만히 있지 않고 떠들어 댄다. ‘말로서 흥한 자는 말로서 망한다’ ‘말 한마디로 천냥 빚을 갚는다’는 속담도 있듯이 말의 중요함과 무서움을 알아야 한다. 저자는 말 많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말 많은 것이 삶에 얼마나 해로운지 독자들에게 말을 적게 하는 방법과 침묵의 중요함을 알려주고 있다.

    말이 많은 사람들은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또는 불안감을 느끼지 않으려고 계속 지껄인다. 하지만 지나치게 말을 많이 하면 불안감에서 벗어나기는커녕 더 심해지고 허탈한 느낌이 든다. 즉 말을 많이 할수록 더 불안해지는 ‘불안의 쳇바퀴’속을 빠져든다. 그러니 가능하면 입을 다물어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의료복합단지 조성 국내 사례

    목차

    1. 위례길병원
    2. 하남h2병원
    3. 마곡 이대서울병원
    4. 용인 동백세브란스병원
    5. 의정부 을지대학병원
    6. 광명 중앙대학병원

    본문내용

    1. 위례길병원
    [사업개요]
    – 사업 및 매각방식 : 민간사업자 컨소시엄(10개사 이내), 제한경쟁입찰 방식
    – 계획내용 : 로봇수술센터 및 바이오헬스 센터 등 R&D센터, 메디텔·업무시설, 상업 및 리테일 시설
    – 지구단위계획 시행지침 : 기정(안)은 주용도:부용도 비율이 60:40였으나 변경(안)에서는 삭제

     하남 H2병원
    ● 사업개요
    ― 사업방식 : 민관공동사업(민간 컨소시엄은 7개사 이하), 제한경쟁입찰 방식
    ― 병상규모 : 총 587병상 (일반 506 + 한방 81)
    ― 특화영역 : 뇌병원, 관절·스포츠의학병원, 급성기 거점병원, 재활병원, 한방전문병원
    ― 기타시설 : 지상 49층 주상복합 및 오피스텔, 시니어 레지던스, 청년주택, 호텔·컨벤션, 어린이체험시설, 생태문화공원 등

    ● 사업현황
    ― 2021년 8월, IBK컨소시엄(IBK투자증권, 명지병원, 롯데건설, 금호건설, 기업은행, SDAMC) 우선협상자 선정
    ― 2022년 3월, 대상지 중 개발제한구역이 환경평가등급 상향됨에 따라 개발행위 불가
    ― 하남시, 개발행위허가 제한지역 해제 결정(안) 취소
    ― 하남시, H2 문화복합지구 도시관리계획(개발제한구역 해제)결정(안) 취소
    ― 하남시,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취소 통보

     마곡 이대서울병원
    ● 사업진행 과정
    ― 2011년 마곡지구 의료시설 용지 공개입찰
    ― 같은 해, 이화의료원 단독입찰로 낙찰

     용인 동백세브란스병원
    ● 사업개요
    ― 사업 및 매각방식 : 수의계약 방식
    ― 계획 내용 : 첨단의료산업체, 의학연구소, 장례식장

    ● 사업진행 과정
    ― 2005년 연세의료원과 용인시 의료사업 협약 체결
    ― 2007년 용인시 신축부지 기증
    ― 2008년 자연녹지를 도시계획시설(종합의료시설)로 결정
    ― 2012~2019년 대상지 일대 토지이용계획 변경을 통한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

    출처 : 해피캠퍼스

  • 프로이드 성장 발달단계,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목차

    1. 프로이드 성장 발달 단계
    2. Eriksn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
    3. Piaget의 인지발달론

    본문내용

    1. 프로이드 성장 발달 단계
    – 프로이트는 인간은 본질적으로 충동적이며, 리비도 중심으로 발달한다.
    – 성적본능의 발달은 주로 출생 이후부터 아동기에 결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이 시기의 경험이 성인의 인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인간의 초기 발달단계 중 간 단계에서 욕구가 충족되지 못하면, 특정 단계에서 고착되어 정신병리가 발생할 수 있다.

    2. Eriksn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
    – 프로이트 모형과 다르게 아동기에서 성인기에 이르기까지의 성격발달에 미치는 환경적 요소를 비롯하여 부모와 사회를 영향요인에 포함시킨다.
    – 에릭슨의 이론은 출생 후 인간의 자아가 어려운 상태에서 맞닥뜨리게 되는 정신사회적 위기를 어떻게 극복하느냐 하는 결과에 따라 심리발달을 본다.
    – 각 발달단계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원을 정의하며, 그 다음 단계로 성공적으로 발달하는데 필요한 행동이 무엇인지 설명한다.
    – 프로이트와 다르게 성격을 일생을 통해 발달하며, 아동기의 갈등이 성인기까지 만족스럽게 해결되지 못할 수 있다고 보았다.

    3. Piaget의 인지달론
    – 인지란 외계의 자극을 받아들이고 처리하는 것이다.
    – 인지의 발달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전개되며 한 단계를 뛰어넘어 다음 단계로 딘행되거나 그 순서가 바뀌지 않는다.
    – 출생 직후 반사 행동을 사용하여 환경에 반응하고, 점차 시행착오와 간단한 문제해결 방법을 통해 환경과 상호작용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일본 명문 감상 4과 본문 해석 및 후리가나

    목차

    없음

    본문내용

    古池(ふるいけ)やかわず飛(と)び込(こ)む水(みず)の音(おと)
    오래된 연못에 개구리 뛰어드는 물 소리
    あたりは、うっそうとしげった林(はやし)で、草(くさ)ぼうぼうの土手(どて)は、くずれかかっていた。古(ふる)池(いけ)が、(、) 梅雨空(つゆぞら)の下(した)に、水草(みずくさ)をうかせてよどんでいる。
    주위는, 울창하게 우거진 숲으로, 풀이 덥수룩한 둑은, 허물어지고 있었다. 오래된 연못이, 장마철 하늘 아래에서, 수초를 띄우고 고여있다.
    トボン!
    첨벙!
    静(しず)かな空気(くうき)をひびかせて、一(いっ)ぴきのカエルがその古池(ふるいけ)に飛(と)びこみ、そのまますがたを消(け)した。後(あと)はまた、なに一(ひと)つ音(おと)もしない静(しず)けさだ。なんとすばらしい自然(しぜん)だろう。心(こころ)をすませてくれる水(みず)の音(おと)だけがひびいた。

    출처 : 해피캠퍼스

  • 13가지의 전문간호사 요약

    목차

    1. 전문간호사

    본문내용

    1) 정의
    전문간호사는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정하는 전문간호사 자격을 가진 자로서 해당분야에 대한 높은 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자율적으로 의료기관 및 지역사회 내에서 간호대상자(개인, 가족, 지역사회)에게 상급수준의 전문적 간호를 수행하는 것이다.

    2) 전문간호사가 되는 방법
    – 간호학 학사 및 간호사 자격을 취득 후 3년 이상의 실무 경력과 대학원 과정을 겨처 전문간호사 자격 시험을 응시해야 한다.
    – 전문간호사는 특정 분야에서 임상 실무자로서 갖추어야 할 뛰어난 지식과 간호실무능력을 바탕으로 실천능력과 지도능력이 뛰어난 간호사이다. 전문간호사가 되기 위해서는 간호사 면허를 소지하고 최근 10년 이내에 해당분야의 간호실무 3년 이상의 경력자로서 대학원(전문간호사과정) 또는 그 수준에 준한 전문간호사 교육과정을 이수해야 하며, 전문간호사 자격시험 합격한 자나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정하는 외국의 해당 전문간호사 자격을 가지고 인증을 받아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아동간호학미숙아 출산의 모체요인과 관련된 문제 REPORT

    목차

    Ⅰ미숙아의 특징

    Ⅱ모체요인과 관련된 문제
    – 1. 태아알코올증후군
    – 2. 약물중독 어머니의 신생아
    – 3. 당뇨병 어머니와 신생아
    – 4. 전치태반
    – 5. 태반조기박리
    – 6. 양수과다증

    본문내용

    Ⅰ미숙아의 특징
    1. 미숙아
    1) 정의
    – WHO에 의하면 재태 기간 37주 미만 또는 최종 월경일로부터 259일 미만에 태어난 아기를 미숙아라고 한다.

    2) 원인
    –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다.
    – 낮은 사회경제적 여건, 산모 나이가 16세 미만이거나 35세 이상인 경우, 오랜 기간 서 있거나 물리적 스트레스를 받는 활동을 필요로 하는 경우, 급성 또는 만성 질환이 있는 경우, 다태아인 경우, 이전에 미숙아를 분만한 경우, 자궁기형이나 전치태반, 임신성 고혈압이나 임신성 당뇨 등의 산과적 질환이 있는 경우, 태아 상태가 안 좋은 경우에 미숙아로 출생할 확률이 높다.

    3) 증상
    – 솜털이 거의 없으며, 생식기가 완전히 발달하지 못하고, 대체적으로 머리가 큰 데 비해 몸은 마르고 작다.
    – 뇌혈관의 자율조절 기전 미비로 허혈 상태에서도 뇌혈류가 성인처럼 어느 정도 유지되지 못하고 전신 혈압의 변동에 따라 함께 떨어지게 되어 허혈 손상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일본 명문 감상 3과 본문 해석 및 후리가나

    목차

    없음

    본문내용

    いわゆる頭(あたま)のいい人(ひと)は、言(い)わば足(あし)の早(はや)い旅人(たびびと)のようなものである。人(ひと)より先(さき)に人(ひと)のまだ行(い)かない所(ところ)へ行(い)き着(つ)くこともできる代(か)わりに、途中(とちゅう)の道(みち)ばたあるいはちょっとしたわき道(みち)にある肝心(かんじん)なものを見落(みお)とす恐(おそ)れがある。頭(あたま)の悪(わる)い人(ひと)、足(あし)ののろい人(ひと)がずっとあとからおくれて来(き)てわけもなくそのだいじ な宝物(たからもの)を拾(ひろ)って行(い)く場合(ばあい)がある。
    소위 머리가 좋은 사람은, 말하자면 발 빠른 여행자와 같다. 남들보다 먼저 사람이 아직 가지 않은 곳에 다다를 수도 있는 대신에, 도중의 길가 또는 작은 옆길에 있는 중요한 것을 간과할 우려가 있다. 머리가 나쁜 사람, 걸음이 느린 사람이 훨씬 나중에 와서 손쉽게(간단히) 그 소중한 보물을 주워 가는 경우가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