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제목
2. 초록 (실험 목표, 이론 및 원리, 기구 및 시약, 실험과정)
3. 수치 및 결과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 실험 목표
KMnO4용액과 H2O2수용액의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H2O2용액의 농도를 확인한다.
-이론 및 원리
핵심 개념
산화-환원 적정 : 산화제 또는 환원제의 표준용액을 써서 시료 물질을 완전히 산화, 환원시
키는데 소모된 양을 측정하여 시료 물질을 정량하는 부피 분석법이다.
-산화-환원 적정법에서 종말점 결정 방법
• 지시약 사용 (요오드 지시약)
• 전기적인 방법 (전위차 적정법)
• 산화-환원 시약 (과망간산 적정법)
– 적정에 의해 화합물이 산화되거나 환원되어 색이 변하는 경우에는 지시약을 따로 사
용하지 않고 용액의 색 변화로 종말점을 알아낼 수 있다.
일차 표준물질 (primary standard)
– 순도가 높고 용액을 만들었을 시 무게 오차가 적어 예상한 농도와 거의 동일한 농도의 용액을 만들 수 있는 물질이다.
– 일차 표준물질이 되기 위한 조건
1. 정제가 용이한 물질
2. 흡수, 풍화, 공기 산화 성질이 없고 변질이 없는 물질
3. 정량적인 반응
4. 당량, 중량이 커서 측정오차가 감소 가능한 물질
과망간산법
산성용액에서 (MnO4-)이 (Mn2+)으로 환원 되면서 다른 물질을 산화 시키는 반응을 이용한다.
MnO4-(적자색)+8H++5e- → Mn2+(무색)+4H2O
NV=N’V’ (nMV=n’M’V’)
• n : 산, 염기(내어 놓는 H+, OH-수)
산화, 환원(받거나 내놓을 수 있는 전자수, 수소수)
• M : 몰농도
• V : 부피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