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 NEC 질병고찰 및 케이스(간호진단3개, 간호과정3개)

목차

I.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원인 또는 유발요인
2. 병태생리 및 주 증상
3. 진단방법 및 검사소견
4. 치료
5. 간호
6. 합병증 및 예후

참고문헌 Reference

본문내용

진단명: 괴사 소장결장염 NEC(necrotizing enterocolitis)
– 신생아의 소장과 대장의 점막층 또는 전층의 괴사를 특징으로 하는 괴사성 장염이다.
–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신생아 중증 질환 중 하나로서, 장 점막의 괴사로 다양하게 일어나는 것이 특징이며 사망률이 20%에 이르는 질병이다.
– 괴사성 장염의 90%는 재태주수 36주 미만의 미숙아에게 나타나며, 저체중 출생아게도 5~10%에서 발생한다. 만삭아의 경우는 드물지만 심장질환이나 저산소증이 있을 때 발생한다.

1. 원인 또는 유발요인
–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장의 허혈, 장 내 세균 증식의 요인이 작용하며 발생한다.
– 고농도 우유, 저산소증, 너무 빠른 영양법, 적혈구 증가증, 감염증, 장 점막의 손상, 이차적 세균감염이 원인이 된다.
– 저체온, 약물 혹은 혐기성 세균, 대장균, 로타바이러스 등이 유발요인이다.

2. 병태생리 및 주 증상
– 분만 전후에 생길 수 있는 손상으로, 순환 결핍이 오게 되면 장으로 들어오는 혈류가 감소되어 장 점막에 허혈이 발생한다.
– 장 점막이 손상되어 장 점막을 보호하는 분비물이나 윤활성 점액이 생산되지 않아 세균이 장 점막으로 쉽게 유입되면서, 장벽이 붓거나 파괴되어 lgM을 생산할 수 없게 되고 외독소가 장벽을 통과해서 배출되므로 장내 방어 체계는 더욱 악화가 된다.
– 증상은 마비성 장폐쇄, 담즙성 구토, 복부팽만, 혈변, 소화가 잘 되지 않으며, 위장에 음식물이 남아있거나, 아기가 잘 빨지 않는다. 이러한 증상은 서서히 시작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