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asestudy

  • 정신간호학실습_조현병(Schizophrenia) 간호과정3개!

    목차

    1. 간호진단(Diagnosis)
    2. 간호목표, 계획, 수행 및 평가(Goal, Planning, Implementation & Evaluation)

    본문내용

    #1. 간호진단

    감각·지각장애와 관련된 수면양상 장애
    정의 : 수면시간 동안에 수면의 양과 질에 방해를 받는 것.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잠을 자려고 누우면 성모님의 목소리가 들려요” (환청)
    – “제가 자려고 할 때를 기다렸다가 성모님께서 이야기하려고 저한테 오시나 봐요.”
    – “아침에 일어나기 힘들어요. 밤엔 잠을 설치고요.”

    객관적 자료
    – 아침 투약시간을 놓칠 만큼 늦게 일어나는 모습을 관찰함.
    – 아침 프로그램 중에 졸린 표정으로 하품을 하는 모습을 자주 관찰함.
    – 가끔 낮잠을 자는 모습을 관찰함.

    간호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수면 부족의 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 대상자는 교육 후 질적인 수면을 위한 방법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한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1월 27일에 전보다 질적인 수면을 한다고 말한다.
    – 대상자는 2주 내 최소 6시간 이상 숙면을 취한다.

    간호계획
    ① 대상자의 수면 양상(수면시간, 수면깊이)를 파악한다.
    ② 대상자의 수면 불량의 원인을 파악한다.
    ③ 환청에 대한 대상자의 인식과 소리를 들었을 때 어떤 생각과 감정이 드는지 확인하고 환청의 정도를 파악한다.
    ④ 낮잠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낮잠을 제한하여야 하는 이유를 교육한다.
    ⑤ 커피, 홍차 등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를 제한하도록 하고, 이유를 교육한다.
    ⑥ 낮 동안 적당한 신체활동을 권장한다.
    ⑦ 잠자기 전 수분 섭취를 제한한다.

    이론적 근거
    ① 대상자의 수면양상 및 활동양상을 사정함으로써, 현 상태에 대한 자료수집 및 수면에 방해되는 원인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
    ② 대상자의 이야기를 거짓말이라 생각하지 않고 실제로 일어나는 상황일 수 있으므로 확인 과정이 필요하다.
    ③ 환청에 대한 대상자의 인식과 반응을 파악하는 것은 원인을 제거하는 데 중요하다.
    ④ 낮잠은 밤에 자는 것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되도록 자지 않아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Liver Cirrhosis (간경화) 사례보고서_성인간호학실습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본론
    A. 문헌고찰
    1. 정의
    2. 유형 및 원인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진단적 검사
    6. 치료 및 간호

    B.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적용

    III.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경화 Liver Cirrhosis

    I.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간은 우리의 인체에서 제일 큰 장기로서 담즙생산, 탄수화물 대사, 지방 대사, 단백질 대사, 응고인자 생산, 스테로이드 대사, 순환기능, 식균작용, 해독작용 등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간에 문제가 생기면 그만큼 여러 가지 합병증을 가져오게 되고, 특히 간경변증은 2차적인 합병증(복수, 정맥류, 간성혼수 등)으로 인해 생명에 위험까지 이르게 되는 예가 많기 때문에 그 예방과 치료가 중요하며, 간경병증에 대한 병태생리 및 원인, 증상, 합병증에 대한 치료 및 간호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환자에게 올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II. 본론
    A. 문헌고찰
    1. 정의
    간경화는 학술적 병명인 ‘간경변증’의 일반화된 명칭이다. 간세포 손상(간염)이 장기간 지속되면 간에 흉터가 쌓이는 간섬유화증이 진행되며, 간섬유화증이 간 전반에 걸쳐 진행되면 간경변증이 된다. 간에 흉터(섬유화)가 과도하게 쌓이면 간으로 혈액이 잘 유입되지 않아 간 문맥압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문맥 고혈압 합병증(복수, 정맥류)이 생기게 된다. 점차 정상 기능을 할 수 있는 간세포의 수가 과도하게 적어지면서 단백질 합성, 해독 작용 등의 간 기능 장애로 인한 합병증(황달, 간성 뇌증)이 발생한다. 간암 발병률도 크게 증가한다.

    2. 유형 및 원인
    우리나라에서 간경변증의 주요요인으로는 만성 B형간염이 70%정도로 가장 많고, 그 다음에는 C형간염과 알코올성 지방간이 있다. 그 외에도 자가면역질환에 의한 간질환, 비알코올성 지방간, 철의 대사장애로 인한 혈색소 침착증 등이 있다.

    3. 병태생리
    ① 간 전체에 상흔조직이 발생한 만성적인 간 염증으로, 돌이킬 수 없는 괴사
    ②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간세포 파괴, 간실질 손상

    출처 : 해피캠퍼스

  • PACU 회복실 사례보고서입니다(case2개)

    목차

    1. 사례1
    2. 사례2

    본문내용

    <수술 후 회복실 간호수행>

    주관적 자료: “목이 불편해요.”
    “가래가 나와요.”
    “추워요.”
    객관적 자료: 수술부위 통증 있으나 참을 만한 정도임(NRS 1점)
    O2 inhalation 중임(종류: mask, 산소량: 5/min L->8/min L->6/min L)
    오한 호소함
    목 불편감 호소하며 가래를 자주 뱉어냄

    [회복실 입실 직후 HR, RR, 혈압, EKG, SpO2 상태 모니터링]

    [환기 불균형 간호]
    -회복실 입실 직후 산소마스크 부착한 상태에서 SpO2 95 나와서 Dr. order에 따라 산소를 8L까지 올렸으며, SpO2 99까지 회복 후에 산소를 6L로 내렸음

    출처 : 해피캠퍼스

  • 케이스스터디_Osteomyelitis(골수염) 간호과정

    목차

    1. 간호사정
    (1) 일반정보
    (2) 입원정보
    (3) 간호일지

    2. 간호진단
    1) subjective, Objective data의 분석과 종합(Maslow의 기본욕구, Erickson의 발달과업)
    2) 실제적, 잠재적 문제를 EPS system으로 서술 : NANDA에서 개발한 진단명으로 서술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입원동기
    22년 9월경 허리통증 있어 Local에서 L4-5 decompression 시행하신 분으로 시행 부위 proas abscess 생겨 발생한 양측 다리의 통증 및 저림 증상으로 본원 입원하여 drainage 치료하셨으나 퇴원 후 다시 발생한 spondylodiscitis L4-5 수술하다가 수술방에서 CPR발생하여 ECMO 삽입 후 집중치료 위해 SICU입실 하였다가 상태 호전되어 전실옴.

    주호소
    Back pain(+)

    의식상태
    Alert

    의사소통
    원만

    심리적 평가
    정서 상태 : 안정
    심리적 고위험군 : N

    사회경제적 평가
    진료비 지원 관련 상담요청 : 무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실습 Case Study 위암

    목차

    없음

    본문내용

    간호날짜
    2015. 03. 25 환자 성명
    정○○ 나이
    59 성장과 발달
    생산성 대 침체감 성별
    M 입원날짜
    2015.01.20
    입원사유
    *입원하게 된 이유를 설명하시오
    2015. 01. 19 밤 9시경부터 gradually onset abd. pain(periumbilical continuous) develop되어 본원 ER visit, 시행한 abd. X-ray상 ileus, abd. CT상 Small bowel obstruction with SMV compression due to adhesion 소견 보여 본원 GE dept. 입원함.

    *의학 진단명
    Malignant neoplasm of Gastric body.
    Small bowel obstruction.
    *병태 생리
    -Malignant neoplasm of Gastric body
    위암이란 위에 생기는 암을 두루 이르는 말로 위암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위선암은 위점막의 선세포(샘세포)에서 발생한 것이며 현미경에서 관찰되는 모양에 따라 다시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 그 외에 림프조직에서 발생하는 림프종, 위의 신경 및 근육 조직에서 발생하는 간질성 종양, 육종(비상피성 조직에서 유래하는 악성 종양), 그리고 호르몬을 분비하는 신경내분비암 등이 모두 위암에 포함된다. 위암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데 흡연, 짠 음식, 탄 음식,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위용종이나 만성 위축성 위염 등 관련 질병, 위 수술, 악성 빈혈, 유전 등의 요인이 있다. 위암은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으나 암이 진행됨에 따라 속 쓰림, 메스꺼움, 구토, 복통, 어지러움, 연하곤란, 체중 감소, 피로, 흑색 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Small bowel obstruction
    장 폐색은 장, 특히 소장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 음식물, 소화액, 가스 등의 장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질환을 말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케이스스터디 영어

    목차

    본문내용

    입원 사유
    입원하게 된 이유를 설명하시오
    irregular mild pain since unknown

    의학진단명: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병태생리 :
    Smoking, uterine distension, vaginal bleeding,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infection or imflammation causes PROM
    증상 및 징후 :
    gushing or leaking of amniotic fluid from the vagina. Fever, abdominal pain and fetal tachycardia.

    <중 략>

    수술 절차:
    Under the adequate general anesthesia, the patient was placed on the op. table with supine position.
    Routine sterile preparation and drape was done as usual method.
    Pfannenstiel transverse incision was made on the skin and dissected into peritoneal cavity.
    On opening of peritoneal cavity, the gross finding was same as above prescription.
    The lower segment transverse uterine incision was made and dissected into uterine cavity and extended by cutting laterally and slightly upward.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간경변 (cirrhosis) Case Study

    목차

    1. 임상자료 수집(Gathering Clinical Data)
    2. 비정상 자료 목록(abnormal data list)
    3. 환자문제의 초안 (관련 자료 묶음)
    4. 간호진단 목록(Nursing Diagnosis list) 확정
    5. 개념도(Concept Care Maps)
    6. 간호계획, 수행, 평가

    본문내용

    *만성질병, 가족력, 과거력

    -만성질병
    -가족력
    -과거력
    Known alcoholic LC, h/o pneumonia(페렴 병력), GB adenomyomatosis(담낭 선근종증)인 smoker heavy alcoholics 인 자로
    내원 3년 2개월 전 alcoholic LC 진단 받고 LMC f/u하였고
    내원 2년 2개월 전 LFT rising으로 본원 GI OPD 내원 med하였고
    내원 2년 1개월 전 pneumonia로 본원 PL dept medi하였고
    내원 2년 전부터 연고지 관계로 LC f/u 하던 중
    내원 1년 4개월 전까지 alcohol intake 하다가 general weakness, chilling sensation develop되었고 poor oral intake develop되어 물만 마시고 지내던 중 drowsy mentality develop되어 본원 ER 내원하여 fever 38.2 check, ascites study 상 PMN 1226개, lab상 myoglobin 3669, CPK 1148, Bil 20.54/14.97, ALP/AST/ACP 123/124/23 abd. CT상 r/o APN, both 소견으로 APN(급성 신우신염), SBP(자발성세균성복막염)에 의한 rhabdomyolysis(횡문근융해증), 그로 인한 hepatic encephalopathy(간성뇌증) assess하에 adm하여 management하였고 이후에도 음주 지속했고
    내원 6주 20일 전부터 항문 통증 있었고 이후부터 음주 중단하였고
    내원 6주 19일전부터 diarrhea c hematochezia(설사와 혈변)(30분 간격, 찔끔거리는 정도) develop되었고 anal abscess(항문 농양) 잡혀 있어 further manage 위해 본원 GI dept. 입원하여 manage하던 중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총담관결석, 담관염 CASE STUDY (A 받음)

    목차

    Ⅰ. 성인건강사정 도구
    1) 일반 사항
    2) 현병력
    3) 과거력
    4) 가족력
    5) 질병 문헌고찰
    6) 간호력

    Ⅱ. 치료 내용 (처치, 임상 검사, 약물)
    1) 진단검사
    2) 임상검사
    3) 검사결과 종합적 해석
    4) 약물
    5) 처치

    Ⅲ. 간호문제
    1) 복합적 요인(치매, 기능상태 인지 부족, 하지 위약감)으로 인한 낙상 위험성
    2) PTGBD 삽입 부위 및 지식 부족으로 인한 감염 위험성
    3) 섭취량 부족으로 인한 영양불균형

    Ⅳ. 간호과정

    본문내용

    1. 담관염
    정의
    담관의 염증상태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병태생리는 담석증과 유사하다.
    담석에 의한 담관의 폐색이 일반적인 원인이며, 좌식 생활 습관과 비만 등이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

    증상
    오한과 열, RUQ의 심한 복통, 황달과 혈청빌리루빈의 경미한 증가 등이 있을 수 있으며, 흔하지 않으나 쇼크와 혼돈, 혼수와 그 외 중추신경계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감염된 담즙이나 농이 담관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상태로 급성독성 담관염의 발병을 의미한다.

    2. 총담관 결석
    정의
    담즙을 십이지장 내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곳에 결석이 생기는 질환이다. 담낭 안에 있는 결석이 담도로 이동하여 발생하며, 담도 내에서 자체적으로 형성되기도 한다.

    총담관결석은 담도폐쇄부터 담낭염, 췌장염, 장기간 담석이 담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이차성 담도경화증(secondary iliary cirrhosis)까지 일으킬 수 있다. 서양에서는 담낭에서 유래된 속발성 총담관결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한국에서는 원발성의 비율이 높다.

    원인
    일반적으로 총담관 결석증의 병리는 담석증과 유사하다.
    담석이 생성되는 기본적인 원리는 담즙의 주요 구성 성분인 담즙산과 인지질이 섞여있는 미포(micelle; 마이셀)성 용액 내에 콜레스테롤 등의 지방질이나 무기염(inorganic acids), 유기염(organic acid) 등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어 과포화 상태가 되면서 침전되는 것이다. 결석으로 침전되는 담즙의 다른 구성요인은 담즙산염, 빌리루빈, 칼슘 및 단백질이다. 결석은 총담관으로 이동하여 관을 통과하면서 통증을 유발하고, 관에 머물러서 폐쇄를 일으킨다.
    나이가 들수록 빈도가 증가되며, 거의 대부분 담낭에서 형성된 콜레스테롤 또는 혼합형 담석이 총담관으로 흘러들어온 것이며, 담관에서 1차적으로 형성된 경우 대개 색소성 결석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대학 대학병원 분만실 cast study, 조기진통 case study, preterm labor case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문헌고찰
    1. Preterm labor 정의
    2. Preterm labor 원인 및 유발요인
    3. Preterm labor 징후와 증상
    4. Preterm labor 진단
    5. Preterm labor 산부와 신생아에 미치는 영향
    6. Preterm labor 치료
    7. Preterm labor 간호중재

    Ⅳ. 사례보고
    1. 사정 (간호정보조사지, 투약상태 및 검사결과)
    2. 진단
    3. 계획
    4. 수행
    5. 평가

    Ⅴ. 결론 및 제언

    Ⅵ.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Ⅰ. 서론
    분만실이라는 특수파트의 주요 대상자는 고위험산모이며, 실습 첫날 수간호사 선생님께서 해주신 오티에서 우리는 많은 대상자가 조기진통(preterm labor)라는 진단명을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실제로 조기진통은 조산과 관련되어 산과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진단이므로, 조기진통의 원인과 증상, 치료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따른 간호중재에 대해 연구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Ⅱ. 연구방법

    1. 연구기간: 20xx년 10월 5일 ~ 10월 9일
    2. 연구방법: 대상자의 EMR과 Kardex 기록으로 정보를 수집하였고, 담당간호사 선생님과 의사선생님 회진 시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해 문헌고찰을 종합하여 연구를 시도하였다.

    Ⅲ. 문헌고찰

    1. 정의
    임신 20~37주 사이에 cervix의 변화와 자궁수축이 시작되는 것을 뜻하며, 조산(preterm birth)은 임신 37주가 되기 전 분만 하는 것이다. 조기진통은 조산을 초래할 수 있으며 조산은 많은 산과적 문제를 야기시킨다.

    2. 원인 및 유발요인
    원인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약 1/3dms 조기양막파열 후에 온다. 조기진통의 20~40%는 산과적, 내과적 합병증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1) 산과적 요인
    양수과다, 다태임신과 같은 자궁의 과도신장,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와 같은 태반문제, 조기양막파열, 조산력, 자궁목무력증, 자궁의 기형, 자궁의 수술력 등
    2) 내과적 요인
    임신성 고혈압, 만성고혈압, 당뇨병, 모체 빈혈, 박테리아성 질염, 융모양막염, 성전파성감염, 요로감염, 신장염 등
    3) 사회행동적 요인
    인종, 연령(19세 이하, 40세 이상), 부적절한 산전간호,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 불량한 모체 영양상태, 임신 중 저체중, 피로, 가정폭력, 정신적 스트레스, 흡연, 알코올 섭취, 약물중독(코카인) 등

    출처 : 해피캠퍼스

  • [A 인증O] 자연분만, 조산 CASE STUDY(간호과정 2개) l 분만실 실습,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목차

    I. 문헌고찰

    II. 간호정보자료
    1. 간호력
    2. 입원 시 건강검진
    3. 분만진행과정
    4. 검사 및 투약 간호

    III. 간호과정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I. 문헌고찰
    1. 조산(Preterm birth, labor)
    임신 20~37주 사이에 진통이 있는 것을 말한다.
    1) 원인: 조기분만의 50%는 원인을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약 1/3은 조기파막 후에 발생한다.
    2) 임신 시 간호
    ⅰ. 예방
    위험요인들을 빨리 파악하고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조기에 치료할수록 조산을 예방할 수 있다. 하부 요로감염은 조산을 유발할 수 있어 임신 22주 이후에 소변과 자궁경관에서 Group B streptococcus 검사를 시행한다. 조산의 징조가 있으면 파수 방지를 위해 절대안정을 취한다. 조산에 위험이 있는 경우 성관계를 피하는 것이 좋은데, 이는 감염에 대한 위험과 정액에 있는 프로스타글란딘이 자궁수축을 자극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ⅱ. 조기진단
    월경통과 유사한 복통이나 장의 통증, 골반의 압력, 설사, 하부 요통 및 질 분비물의 증가와 같은 증상들은 가진통이나 진진통의 불편감과 유사하여 명확히 구분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안정을 취하면서 자궁수축 정도를 계속 확인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ⅲ. 조기진통관리
    비약물적 방법으로는 좌측위로 안정을 취하고 수분공급을 통한 자궁의 혈액 증가를 유도하는 것이다. 분만을 억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진통억제제(tocolytic drug)는 ritodrine hydrochloride(yutopar), magnesium sulfate, nifedipine, oxytocin 길항제인 atosiban(tractocile) 등이 사용되고 있다.
    조기진통 산부의 진통억제를 시도해볼 수 있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 파막이 되지 않았고, 경관개대 4cm 이하, 경관소실(거상) 50% 이하이며, 자궁수축이 20분에 3~4회 정도로 강하지 않을 때
    ∙ 태아가 생존력이 있을 때
    ∙ 태아 질식(fetal distress)의 증세가 없을 때
    ∙ 임상검사에서 내과나 산과적으로 임신을 지속할 수 없는 이상이 발견되지 않을 때
    ∙ 임부가 지시를 잘 이행할 수 있을 때

    출처 : 해피캠퍼스